•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검색결과 1,108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의 과학교육 관련 학회들의 연구내용 분석 (A Study on Research Trends of Korean Academic Societie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 김영민;오종실;한용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20
    • /
    • 1987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Academic Societie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in Korea. In this study ten areas such as historical change of science education, processes of science learning, science curriculum, science instructional method,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equipment for science education, evaluation on science education, survey on Korean science education, policy and management of science education, natural science, and etc were chosen by the criteria for the analysis. All research papers in "Phisics teaching" published from 1982 to 1986, "Chemical education" from 1974 to 1986, "Biology education" from 1977 to 1982, "the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from 1979 to 1986, an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from 1978 to 1986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About 41% of all research papers are about science curriculum and science instructional method. 2. There are few research stuaies on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equipment for science education. processes of science learning. historical change of science education.

  • PDF

한국 공공보건의료 의사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및 평가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urriculum for developing physician's competencies in public health)

  • 김상현;박정훈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5권4호
    • /
    • pp.194-207
    • /
    • 2020
  • 본 연구는 평생교육 차원에서 우리나라 의사를 대상으로 한 초기 연구이고, 지식뿐만 아니라 술기, 태도를 포함하여 의사평생교육(CME)에서 나아가 전문직업성 개발(CPD)로서 역량바탕교육을 지향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으로서 공공보건의료 의사역량개발 교육에서 어느 정도 교육만족도와 교육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교육대상이 소수에 국한되어 있고 객관적인 평가방법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향후 교육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평가가 이루어지기 힘든 평생교육에서도 자기평가가 아닌 객관적 평가(예: 간단한 테스트 등)를 실시함으로써 수행(performance)이 아닌 역량바탕교육(competency based education)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물리치료학 교육목표와 표준 교과과정안 개발 (The Development of Physical Therapy Educational Goals and Standard Curriculum)

  • 안소윤;안창식;이완희;박래준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4권1_4호
    • /
    • pp.37-54
    • /
    • 2007
  • We discuss why many current physical therapy entry-level programs are not designed to educate the type of physical therapy practitioners needed for the 21st century. We face a situation that we have to promote the profession's role in the preventi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movement dysfunctions and the enhancement of the physical health and functional abilities of members of the public. The way how to train professional physical therapists became crucial.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nhance the educational goals of physical therapy and the physical therapy curricula in Korea. In this study, we compared physical therapy training curricula recommended by WCPT with physical therapy training curricula in universities in other countries by dividing physical therapy curricula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into physical therapy students' electives, major required courses, labs and clinical practices, and counting the proportion of each category in the total credit hours. We discuss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curriculum in a university in Korea and curriculum in a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We discussed possibly problematic portions of current physical therapy training curricula in korean universities. Finally, we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gulations of WCPT and Health and Welfare Ministry in Japan, the Physical therapy curriculum of Creighton Entry-level DPT Program in the U.S. and the Inje University in Korea. The progressing direction of curricula in Korea had been researched. The future direction that korean physical therapy is to use an united curriculum that includes basic requirements of WCPT for all universities and colleges in Korea, rather than using each university's own modified version. The results of study can be helpful for developing a basic level of integrated curricula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in Korea.

  • PDF

한국 실내디자인 분야의 교육현황 분석 - 4년제 대학교의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the Educational Conditions of Interior Design in Korea - Focused on the Curriculum of 4 year Universities)

  • 신경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8호
    • /
    • pp.3-13
    • /
    • 2003
  • Now that 15 years have passed since its introduction to 4 year college in Korea and we have 51 majors in the field of Intoner design established at 47 universities as of 2003, we are in the position to seek the improvement of its educational qualify. With a view to provide data for the setup of proper educational purpose, it has classified their divisions(departments) according to their major names and belonged colleges of the universities and considered their geographical distributions, groupings of curriculum, their framing and features of a standard curriculum. 1)Divisions of the universities where the major of interior design belong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of design division (design 8t arts, arts), home economics division (home economics, natural science) and architectural divis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major, universities to which circumstances permit are recommended to establish an independent college of interior design following the . cases in the US. 2) Geographical preponderance of interior design major on Seoul and Gyeongsang Province is desired to be improved. 3) Curriculum of interior design, which is classified into introduction, history of interior design, theory of interior design, design of interior space, digital technology, design elements of inner space, technology of interior design, behavior of environmental psychology, design management and other subjects, was made into a table by divisions. To sum up, curriculum of interior design concentrates on basic design theory throughout all divisions. In connection with the selection of division by high school-graduates or their parents, design division is recommended for those who desire to major in design elements and design management, home economics division for those who desire to major in space design and behavior of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architectural division for those who desire to major in Interior space design, interior design technology and regulations. 4)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the settlement of desirable curriculum for the interior design education, thus upgrading the education level of the major in Korea.

초등학교 실과 교육과정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개선방안 (Teachers' Perceptions of Softwa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Improvement Plan)

  • 이재호;조윤선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2호
    • /
    • pp.99-109
    • /
    • 2021
  •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시작되고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교육도 이를 반영하게 되었다. 이미 여러 나라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2019년부터 정규 교육과정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한 교사들의 느낀 점과 어려움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교육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2019년 초등학교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담당한 교사 96명을 대상으로 개인 역량, 수업 운영 방식, 교과서 및 교육자료, 수업 운영 내용, 교육환경과 관련하여 36개의 문항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3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육 시설과 환경 개선, 양질의 수업자료 개발 및 보급 활성화, 교사 대상의 참여형 연수와 교사 동아리 지원 확대 등의 개선사항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Model Development of Korean Professional Hospice Care Education

  • Park, Euy-Soon;Ro, You-Ja;Han, Sung-Suk;Kim, Nam-Cho;Kim, Hee-Seung;Park, Ho-Ran;Ahn, Sung-Hee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1011-1020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of hospice care for the professional in order to care for nurses for terminally ill patients facing death and their families. The Modified Tyler-Type Ends-Means model was used to guide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the study The curriculum include a philosophical conception of hospice education, fundamental concepts, purpose, objective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The content was developed based upon a 70% or more demand in educational demand analysis. The education program has a total of 360 hours consisting of 172 hours of theoretical study and 188 hours of practice including fundamental nursing care for hospice.

  • PDF

유아 컴퓨터 교사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The Design of the Educational Computing Course for Early Childhood Teacher)

  • 김영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9-28
    • /
    • 2005
  •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컴퓨터 활동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유아의 발달적 적합성과 유아교육과정 상에 컴퓨터 활동의 통합을 고려한 교사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한다. 유아 컴퓨터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과정의 개발 절차는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여 유아 컴퓨터 교육의 실태와 요구도를 파악하고, 유아 컴퓨터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 내용들을 토대로 일차적인 교육과정 시안을 구상하였다. 다음으로 대전지역 병설유치원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5명에게 내용타당도 검사를 거친 후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그리하여 유아컴퓨터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최상위 목표아래 4개의 하위목표를 설정하고 각 목표를 충족시키는 4개의 영역과 관련 교육내용을 최종적으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직전교사교육과 현직교육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교사들이 수업에 컴퓨터를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교육용 풍력터빈제어 실습장치 개발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wind turbine control equipment)

  • 허준영;박성수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75-82
    • /
    • 2011
  • 최근들어 화석 연료의 고갈, 지구 온난화등의 문제들로 인해, 녹색성장 기술이 중요시 되고 있다. 에너지 문제와 녹색성장 기술이 융합된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풍력, 태양광, 연료전지, 바이오 연료등에 많이 투자가 확대되고 있다. 그 중 풍력발전은 다른 에너지에 비해 경제성이 높고, 유해물질의 배출이 거의 없다. 따라서 최근 정부나 기업들에서도 많은 비용을 투자하여 풍력 기술 개발에 적극적인 지원을 하고 있지만, 풍력 기술을 선도하는 해외 선진국들에 비해서 국내에서의 관련 교육과 장비는 연구소 수준에 머물고 있다. 그러므로 관련 산업에서 요구하는 기본 기술의 저변화와 기술적 향상을 위해 실제 산업에서 적용하고 있는 시스템과 유사한 자비와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풍력터빈제어의 이론적인 내용을 수강생들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용 풍력터빈제어 실습장치를 개발하고 교육효과를 알아보았다. 개발된 실습장치를 소개하고, 각각의 실습장치를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반응도 평가를 통한 교육효과를 검증하였다.

  • PDF

21세기 학습 능력 신장을 위한 융합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 (Design and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for Expansion of Learning Ability in the 21st Century)

  • 정재훈;이태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67-174
    • /
    • 2013
  • 본 연구는 21세기에 필요한 핵심적인 학습 능력을 연구하고 미래 사회 국가 발전에 필요한 핵심 인력을 양성하는데 있다. '21세기 학습 능력 프로젝트'는 학습자의 학습 능력과 개인 회적으로 가치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기존 지식과 학문을 다학문적, 통합적으로 접근 하는 것이다. 국내에서도 학습 능력 배양을 위한 다양한 교과 간 통합 교육과정의 시도가 있었으나 각 교과의 내용과 특성의 차이를 충분히 이해하여 효과적으로 교수할 수 있는 교사가 부족하고 현장에서 쉽게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1세기에 필요한 학습 능력 신장을 위해 학문의 지식을 통합하는 다학문적 맞춤형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위해 교육과정 실태를 분석 연구하고 그 결과로 초 중등학교에 적용할 수 있는 다학문 맞춤형 학문 통합 모형을 제안한다.

디자인 교육 강화를 위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교육과정의 개선방안 연구 (Fashion Illustration Curriculum an analysis in Pursuit of Better Design Education)

  • 김미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115-122
    • /
    • 2008
  • In today's college curriculum, fashion illustration courses are regarded as fundamental sources of knowledge in the fashion industry and the fine a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itically examine current curricula and educational objectives of fashion illustration courses offered by domestic fashion-related universities and academic institutions, in order to help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tertiary level fashion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we suggest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irstly, university courses should focus on drawing-centered fundamental education. Secondly, design education linked to fashion illustration should be strengthened. Thirdly, creativity-boosting design education is necessary. The range of curricula that could foster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skills in professionals should be enlarged, and future education should place emphasis on lateral and creative thinking.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better curriculum in fashion-related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