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 plan

검색결과 3,389건 처리시간 0.039초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중학교 기술·가정 '청소년기 영양과 식행동' 단원의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for 'Adolescent Nutrition and Dietary Behavior' of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hrough the Use of 'Blended Learning' Teaching Method)

  • 백희연;유세종;김유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19-137
    • /
    • 2021
  • 본 연구는 청소년의 바람직한 식생활 형성을 위해 온·오프라인을 연계할 수 있는 '블렌디드 러닝'의 수업 방식을 활용하여 중학교 기술·가정① '청소년기 영양과 식행동' 단원으로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수·학습과정안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분석-설계-개발-평가 및 수정'모형을 적용하였다. 블렌디드 러닝에 적합한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고, 차시별 주제, 교수전략, 매체 및 평가도구를 선정하여 교수·학습과정안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교수·학습과정안, 활동지,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교수·학습과정안은 전문가 검증을 받아 수정·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청소년기 영양과 식행동' 단원의 교수·학습과정안은 현시점에 부합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온라인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모둠 및 발표 활동을 제시하여 학습자들의 참여도 및 흥미가 저하되지 않도록 구성되었다. 그리고 개발된 교수·학습과정안은 수업 의도에 맞게 패들렛, 띵커벨과 같은 원격수업 도구를 사용하여 온라인 환경에서도 원활하게 수업이 진행되도록 개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교수·학습과정안이 온라인 수업에서 청소년기인 학생들의 올바른 식생활을 실천할 수 있는 수업으로 활용될 수 있고, 더불어 다양한 수업환경을 띠는 블렌디드 러닝 수업에서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과학교육원 및 과학자료실의 역할 정립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 Establishment and the Activition Plan of Science Education Centers and Science Resource Centers)

  • 김창식;김대식;신성현;김종희;이기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2-30
    • /
    • 1993
  • The role establishment and the activation plan were proposed for 11 Science Institute of Education and 4 Education and Science Institutes located in 15 cities/provinces and Science Resource Centers of 179 municipal/provincial Educational Departments. We had conducted a survey of present status of those institutes and also the fact finding survey was conducted toward office workers asking what activities they must conduct, those they are processing well at present and those they don't like to conduct by quesionaire. It was found that since Science Institute of Education and Education and Science Institutes are under the direct control of Board of Education of cities/provinces, there were the Acts. However, many restrictions were in Science Resource Center because they have not the Acts under controled by municipal/provincial Educational Departments. As a result of a study, the standard of equipments and facilities and the activation plan of those institutes were suggested.

  • PDF

과제중심 영어 학습지도안 모형 개발 (Developing a task-based English lesson plan to enhance teaching ability)

  • 현태덕
    • 영어어문교육
    • /
    • 제16권4호
    • /
    • pp.321-346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task-based English lesson plan. The study reviewed the background theories needed to accomplish the study purpose; types of learning, current trends in English teaching, and the task-based teaching. A frame for the task-based English lesson was develop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An actual task-based lesson plan was made after the frame for the task-based English lesson. The author presented task-based English lesson plans at English education conferences, and applied them to pre-teacher training and in-service trainings for English teachers. It is concluded that the task-based English lesson plan was very effective in enhancing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that the pre-teachers and teachers were satisfied with the lesson plans. It is hoped that more teaching material will be developed based on this task-based English lesson plan.

  • PDF

웹기반 학습지도안 관리 및 활용 시스템 (Web-based System for Managing and Utilizing The Teaching Plan)

  • 김선희;정순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53-60
    • /
    • 2005
  • 학습지도안은 학습활동에 있어서 반드시 작성해야 하는 중요한 문서이긴 하지만, 그 중요도나 작성하는데 들이는 시간에 비해 학습활동에 대한 활용도가 매우 낮다. 웹이 발달하면서 개인 홈페이지나 에듀넷과 같은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학습지도안의 공유가 활발해지긴 했지만, 단지 학습지도안을 작성하기 위해 내용을 참고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고 학습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로는 활용되고 있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이 학습지도안을 형식적인 문서로써 재활용하는 데서 벗어나 학습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시한 후, 제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학습지도안 관리 및 활용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

예비교사와 경력교사의 수학 수업지도안에 대한 시선 차이 분석 (An Analysis of Gaze Difference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on Mathematics Lesson Plan)

  • 손태권;이광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3권1호
    • /
    • pp.1-2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와 경력교사가 수학 수업지도안을 읽고 이해하는 과정을 시선 추적(Eye-tracking)을 통해 분석하였다. 두 그룹의 시선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예비 교사들은 수학 수업지도안을 경력교사에 비해 어렵게 느끼고 있었으며 선조적인 방식으로 수학 수업지도안을 읽고 이해하였다. 반면, 경력교사들은 수학 수업지도안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핵심 주제어들을 찾아 연결성을 만들어가는 하이퍼텍스트 읽기 전략을 활용하였으며 수학 수업모형의 핵심 영역을 방문하는 시간이 유의미하게 길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들이 수학 수업지도안을 읽고 이해하는 역량을 지도할 때 숙고해야할 여러 시사점들을 도출하였다.

초등정보영재 대상의 앱 인벤터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 (The Effects of Learning App Inventor Programming Education Plan for Gifted Elementary Students)

  • 서형석;이용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3-22
    • /
    • 2017
  • 초등정보영재교육에 있어서 최근에 강조되고 있는 사안 중 하나는 지식기반 사회를 이끌어갈 정보 분야에서의 창의적 인재의 육성에 있다. 이와 함께 학습자에게는 새롭게 제시되는 문제 상황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차원적인 지적능력과 문제해결능력 신장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정보영재 학생들에게 적용 가능한 앱 인벤터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 후 초등정보영재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및 자기효능감, 프로그래밍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초등정보영재 학생들 수준에 적합한 앱 인벤터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과정을 설계하였으며 설계한 프로그램을 렌줄리(Renzulli)의 심화학습 3단계 모형을 변형한 교수 학습 모형을 통해 적용하였다. 초등정보영재 20명을 대상으로 5주간 15차시에 걸쳐 교수 학습활동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앱 인벤터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이 초등정보영재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로그래밍 개념과 알고리즘을 이해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웹 2.0 기반의 도구를 활용한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 방안 (Design a Plan of Robot Programming Education Using Tools of Web 2.0)

  • 유인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99-508
    • /
    • 2014
  • 최근 SW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Computational Thinking의 계발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프로그래밍 교육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로봇을 프로그래밍 교육에 활용하는 연구들이 다양하게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소통과 협력을 강조하여 웹 2.0 기반의 도구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Gagn{\acute{e}}$ & Briggs의 교수 사태를 기본 모형으로 삼고 각 단계에서 학습자가 웹 2.0 도구를 활용하여 협력 학습을 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방안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서 방안 적용 전후로 협동성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학생들의 협동심에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STEAM 프로그램의 초등학교 차시 대체 적용을 위한 개발 방안 모색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Development Plan for a Subject Substitute Application on Elementary School of STEAM Program)

  • 채동현;현종환;현동걸;임성만;김오범;한제준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26-233
    • /
    • 2014
  • This study is to develop a subject substitute STEAM program which can be applied instead of classes in school field and to seek development plan of a subject substitute STEAM program based on that. The program was developed by experts on science education an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developing STEAM program business conducted by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and one 6th grade located in small and medium city was chosen for application. As a result, the subject substitute STEAM program attracted students' interest and helped to understand for them. In addition, the development plan was found that teachers' participation is very important, an inquiry activity related to real life is to be included and enough activity time is helpful in students' understanding, when developing a subject substitute STEAM program.

′학교도서관′ 학교의 중심으로 육성 (Rebuilding the School Library as Center in the School)

  • 홍강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5-12
    • /
    • 2003
  •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창의적$\cdot$자율적 인재양성을 위해 학생들의 책 읽기 습관 함양과 탐구 중심의 수업방법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제7차 교육과정의 시행에 따라 수행평가, 재량활동$\cdot$특별활동 등을 지원하기 위한 기본시설로서 학교도서관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이에 따라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방안'을 수립하게 되었는데 그 주요내용은 열악한 학교도서관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시설, 장서, 재정, 인력운영 계획과 함께 학교도서관이 교수-학습활동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도서관 활용 수업 방안까지 포괄됨으로써 학교도서관이 명실상부하게 학교의 중심부로 자리잡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 PDF

과학교육의 체제모형 연구 (A Study on the Systems Model of the Science Education)

  • 윤선진;우종옥;김범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1-50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losely the flow process of science education phenomena for the political direction and improvement of science education. Therefore the science education system is analyzed in a view of the legislative syst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science education system is divided into the plan system, do system and see system by the criteria of plan do see that is the general process of human activity and the area is established as the field of science education administration, school science education, and science education evaluation. 2. The system model that the system characteristics and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ystems are conceivable is suggested as the conceptions of boundary, components, variables, parameters, linkage and mishap, gatekeeper et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