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tomycorrhizal mushroom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1초

송이 발생림의 송이 균환 주변에 출현하는 외생균근성 균류 (Ectomycorrhizal Mushroom Occurrence around the Fairy Ring of Tricholoma matsutake at a Pine-Mushroom Forest)

  • 박현;가강현;류천인;김교수;김현중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3호통권86호
    • /
    • pp.306-313
    • /
    • 1998
  • 대한민국 홍천의 송이 발생림에서 외생균근성 버섯의 발생상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송이 균환은 3년간$(1995{\sim}1997)$의 송이 자실체 발생위치를 토대로 파악하였고, 다른 외생균근성 버섯의 출현 위치는 x축과 y축의 좌표를 표시하며 2년간$(1996{\sim}1997)$ 조사하였다. 송이 균환의 직경은 $2{\sim}10m$의 범위를 나타내어, 송이 균은 대체로 연간 10 cm 정도 생장하는 것을 감안할 때 균환의 연령은 $5{\sim}50$년에 달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무당버섯(Russula bella), 회갈색무당버섯(R. sororia), 푸른주름무당버섯(R. delica), 애기꾀꼬리버섯(Cantharellus minor)이 조사기간에 주로 출현한 버섯이었는데 그 출현빈도는 전체 조사된 종류의 각각 16.0%, 12.8% 12.4% 및 7.0%를 차지하고 있었다. 조사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지는 송이의 생산량이 감소하는 숲으로 여겨졌다. 또한, 마귀광대버섯(Amanita pantherina), 황소비단그물버섯(Suilllus bovinus), 다박싸리버섯(Ramaria flaccida) 및 졸각버섯(Laccaria amethystea)은 송이의 균환주변에 많이 출현하여 송이 생산성이 감소하는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지표종으로 여겨겼다.

  • PDF

Cloning and Expression Analysis of Phenylalanine Ammonia-Lyase Gene in the Mycelium and Fruit Body of the Edible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 Yun, Yeo Hong;Koo, Ja Sun;Kim, Seong Hwan;Kong, Won Sik
    • Mycobiology
    • /
    • 제43권3호
    • /
    • pp.327-332
    • /
    • 2015
  • Phenylalanine ammonia-lyase (PAL) gene is known to be expressed in plants, and is involved in the differentiation, growth and synthesis of secondary metabolites. However, its expression in fungi remains to be explored. To understand its expression in mushroom fungi, the PAL gene of the edible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Fvpal) was cloned and characterized. The cloned Fvpal consists of 2,175 bp, coding for a polypeptide containing 724 amino acids and having 11 introns. The translated amino acid sequence of Fvpal shares a high identity (66%) with that of ectomycorrhizal fungus Tricholoma matsutake. Distinctively, the Fvpal expression in the mycelium was higher in minimal medium supplemented with L-tyrosine than with other aromatic amino acids. During cultivation of the mushroom on sawdust medium, Fvpal expression in the fruit body correspondingly increased as the mushroom grew. In the fruiting body, Fvpal was expressed more in the stipe than in the pile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 velutipes PAL activity differs in the different organs of the mushroom. Overall, this is first report to show that the PAL gene expression is associated with mushroom growth in fungi.

Promotion of Tricholoma matsutake mycelium growth by Penicillium citreonigrum

  • Doo-Ho Choi;Jae-Gu Han;Kang-Hyo Lee;An Gi-Hong
    • Mycobiology
    • /
    • 제51권5호
    • /
    • pp.354-359
    • /
    • 2023
  • Tricholoma matsutake has been the most valuable ectomycorrhizal fungi in Asia because of its unique flavor and taste. However, due to the difficulty of artificial cultivation, the cultivation of T. matsutake has relied on natural growth in forests. To cultivate the T. matsutake artificially, microorganisms in fairy rings were introduced. In this study, we isolated 30 fungal species of microfungi from the soil of fairy rings. Among them, one single fungal strain showed a promoting effect on the growth of T. matsutake. The growth effect was confirmed by measuring the growth area of T. matsutake and enzyme activities including a-amylase, cellulase, and b-glucosidase. In comparison with control, microfungal metabolite increased the growth area of T. matsutake by 213% and the enzyme activity of T. matsutake by 110-200%. The isolated fungal strain was identified as Penicillium citreonigrum by BLAST on the NCBI database. The Discovery of this microfungal strain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rtificial cultivation of T. matsutake.

흰가시광대버섯(Amanita virgineoides) 발생지역의 기온변화 특성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variation in the collection area of Amanita virgineoides)

  • 이강효;한재구;조재한;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34-337
    • /
    • 2018
  • 유버섯자원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용용 흰가시광대버섯(A. virgineoides)의 정점조사지역 내 발생양상과 기온의 변화양상을 조사하였다. 버섯발생전 60일간의 기온변화는 조사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발생전 20일간의 기온분포는 발생여부와 조사지역에 따라 상반되는 양상을 보였다. 흰가시광대버섯은 활물공생균으로 기온, 강수량, 상대습도 등과 같은 기상환경뿐만 아니라, 식물분포, 토양미생물, 토양유기물 등 다양한 환경요인이 자실체의 발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온변화 양상만을 분석한 결과, 흰가시광대버섯의 발생과 기온과의 관련성은 조사지역별로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흰가시광대버섯의 재배생산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식물상과 토양환경에 대한 정밀한 조사분석을 통해 자실체발생을 좌우하는 요인의 구명이 필요하다.

이분지털곰팡이(털곰팡이목): 송이의 괴사성 균기생균 (Syzygites megalocarpus (Mucorales): A necrotrophic mycoparasite of Tricholoma matsutake)

  • 가강현;박현;김현중;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345-348
    • /
    • 1999
  • 외생균근성 버섯인 송이는 동북아시아지역에서 가장 비싼 버섯이다. 이 버섯은 식용버섯이므로 자실체 표면에 병원균이 발생한다면 매우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송이 자실체의 기생균을 발견하였으므로 이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고 Syzygites megalocarpus Ehrenberg ex Fries로 동정하고 이분지털곰팡이로 명명하였음을 보고한다.

  • PDF

소나무림에서 간벌률이 산림 내 환경과 외생균근성 버섯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inning ratio on the forest environment and fruiting of ectomycorrhizal mushrooms in a Pinus densiflora stand)

  • 박용우;김진건;이화용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2-32
    • /
    • 2023
  • 간벌률이 산림 내에서 환경 요인과 외생균근성 버섯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34%, 45%, 60%의 간벌 처리 후 10년이 지난 소나무림에서 수관 울폐율, 수관 통과우량, 토양 온도, 토양 수분량, 하층 식생의 광반응과 외생균근성 버섯 발생 특징을 조사하였다. 수관 울폐율은 4월에 34% 처리구와 대조구가 80~85%로 유의적으로 높았고 11월에는 모든 간벌 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하여 5~10%가량 낮아졌다. 60% 처리구의 수관통과우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총 200 mm이상 많았으며 월별 수관통과 우량은 10월에 100 mm 이상 큰 차이가 나타났다. 각 처리구의 토양 온도는 60% 처리가 45% 처리에 비하여 0.3~0.5℃ 정도 높아 큰 차이는 없었으나 대조구와는 1℃이상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간벌 처리구에서 강우 시 토양 수분량이 5% 이상 더 증가하며 34% 처리구에서는 수분 감소 속도도 느려졌다. 소나무를 제외한 주요 수종의 광합성량은 신갈나무가 7 µmolCO2·m-2·s-1로 가장 많았다. 800 µmol·m-2·s-1의 동일한 광도에서 신갈나무는 45% 처리구에서 6±0.3 µmolCO2·m-2·s-1로 가장 높은 광합성 수준을 보여주었으며 때죽나무와 쇠물푸레는 간벌률이 높을수록 광합성량이 증가하였다. 균근성 버섯의 SWI에서 종수는 각 처리구간에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버섯의 발생량은 34%와 45%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약 360~840 g 더 많이 발생하였고 60%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하여 860 g 더 적은 양이 발생하였다. 특정 종에 따라 애광대버섯은 대조구가 간벌 처리구에 비하여 더 많은 개체수가 발생하였으나 황소비단그물버섯은 34% 간벌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10배 이상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소나무림에서 간벌률에 따른 수관 울폐율의 감소는 산림 내에 광량과 수관통과우량을 증가시키며 토양 온도 상승 및 토양 수분량의 증가와 하층 식생의 광합성량을 증가시켜 특정 버섯의 발생량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산림생태계의 복잡성을 고려할 때 간벌과 버섯 발생에 대한 정확한 상관관계를 알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Cloning and mRNA Expression Analysis of the Gene Encoding Phenylalanine Ammonia-Lyase of the Ectomycorrhizal Fungus Tricholoma matsutake

  • Yoon, Hyeokjun;You, Young-Hyun;Kim, Ye-Eun;Kim, Young Ja;Kong, Won-Sik;Kim, Jong-Gu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8호
    • /
    • pp.1055-1059
    • /
    • 2013
  • The ectomycorrhizal fungus Tricholoma matsutake grows symbiotically with Pinus densiflora. Phenylalanine ammonia-lyase (E.C. 4.3.1.24) catalyzes the conversion of L-phenylalanine to trans-cinnamic acid. The role of fungal phenylalanine ammonia-lyase, however, has not been clear until now. In this study, the gene encoding phenylalanine ammonia-lyase (PAL), which was isolated from T. matsutake, was cloned and characterized. The PAL gene (tmpal) consists of 2,160 nucleotides, coding for a polypeptide containing 719 amino acid residues.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tmpal from T. matsutake shows high identity (70%) with that from Laccaria bicolor.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AL genes among T. matsutake and other species of the class Agaricomycetes showed that both active sites and binding sites were significantly conserved among these genes. The transcriptional analysis of the PAL gene revealed a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pattern depending on the developmental stages (mycelium, primordium, stipe, pileus, and gills) of T. matsutak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AL gene in T. matsutake plays an important role in multiple physiological functions.

다양한 배양 환경에 따른 국내 수집 외생균근성 Tricholoma속 종의 균사생장 특성 (Mycelial Growth Properties of Domestically Collected Ectomycorrhizal Tricholoma Mushrooms in Various Culture Conditions)

  • 강정아;가강현;김준영;김성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71-280
    • /
    • 2018
  • 외생균근성 버섯균인 송이(Tricholoma)속 균은 현재 인공 재배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성공적인 자원이용을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조건에서 균사생장 특성을 규명하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야생버섯 자실체로부터 순수 분리한 4종의 Tricholoma bakamatsutake (가송이), T. fulvocastaneum (구실잣밤나무송이), T. matsutake (송이), T. terreum (땅송이)로부터 물리적, 화학적 환경조건에서 균사생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4종 모두 균사생장에 적합한 물리적 환경으로서 최적 배양 환경 조건은 온도가 $20{\sim}25^{\circ}C$, pH가 4~7, 암 배양 조건인 것을 확인하였다. T. matsutake는 $30^{\circ}C$에서 균사생장이 멈추는 매우 민감한 특성을 보였다. 균사생장에 미치는 화학적 요소 조사 결과, NaCl 농도조건에서 4종의 Tricholoma 모두 1.0% 농도수준 까지 생장이 가능하였다. T. matsutake는 2.0% 농도에서도 균사생장이 가능하였다. 중금속인 카드뮴(50 ppm 농도)과 농약인 emamectin benzoate이 첨가된 배지에서 네 가지 송이속 균의 균사생장이 가장 많이 저해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금속구리(Cu) 이온(50 ppm 농도)이 함유된 배지에서는 4종 송이속 균주 모두 균사생장이 거의 저해되지 않았다. T. matsutake는 emamectin benzoate 외에 다른 세 가지 살충제에 대해선 균사생장 억제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세포외효소는 T. bakamatsutake와 T. fulvocastaneum만 발색배지에서 Amylase, ${\beta}$-glucosidase 등의 효소활성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4종 송이속 균주의 균사배양에 적합 또는 유해한 환경조건을 구분 할수 있어서 향후 응용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속리산 국립공원의 버섯발생과 환경요인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Macrofungi Fruiting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Songnisan National Park)

  • 박용우;구창덕;이화용;류성렬;김태헌;조영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57-679
    • /
    • 2010
  • 버섯발생과 환경요인(강수량, 토양수분량, 온도, 식생)과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2003년부터 2008년까지 6년 동안 매년 6월~10월에 속리산 국립공원 내 소나무 우점림과 참나무 우점림에서 버섯 발생종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버섯 발생종은 연간 94종~167종으로 연간 변이가 있었으며 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주로 외생균근성버섯으로 송이과(Tricholomataceae), 광대버섯과(Amanitaceae), 무당버섯과(Russulaceae), 끈적버섯과(Cortinariaceae), 그물버섯과(Boletaceae)의 종이었으며, 가장 많이 발생한 시기는 7월부터 8월에 13~90종이었다. 버섯발생종수는 6월~10월의 강수량과 r=0.897의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장기적으로는 파머가뭄지수와 단기적으로는 표준강수지수와도 관련이 있었다. 또한 토양수분량에 따라 버섯발생종과 수가 달랐다. 토양수분량이 20% 이상인 시기에 버섯발생종수는 50여종이었으나, 10%이하 에서는 5~20종이었다. 노란젖버섯(Lactarius chrysorrheus), 기와버섯(Russula virescens) 등은 토양수분량이 20% 이상일 때 발생하였다. 발생버섯의 종수는 대기온도와 r=0.77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21^{\circ}C{\sim}25^{\circ}C$에서 많았다. 대기온도가 $25^{\circ}C$이상에서 주로 발생하는 종은 금버섯(Tricholoma flayayirens), 구근광대버섯(Amanita gymnopus), 굴털이젖버섯(Lactarius piperatus), 삿갓땀버섯(Inocybe asteropora), 마른산그물버섯(Xerocomus chrysenteron) 등이었고, 온도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장기간 발생하는 버섯은 졸각버섯(Laccaria laccata), 독우산 광대버섯(Amanita virosa), 수원무당버섯(Russula mariae) 등이었다. 식생에 따라 발생버섯종이 달랐는데, 소나무 우점림에서만 발생한 종은 황소비단그물버섯(Suillus bovinus), 흰굴뚝버섯 (Boletopsis leucomelas) 등 38종이었다. 굴참나무 우점림에서만 발생한 종은 좀벌집버섯(Polyporus arcularius), 노루궁뎅이(Hericium erinaceum)등 42종이었다. 그리고 졸각버섯(Laccaria laccata), 말불버섯(Lycoperdon perlatum) 등 50종은 두 식생림에서 모두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버섯 발생종과 종수는 강수량, 토양수분, 온도 그리고 우점 기주수종에 따라 크게 달라졌다.

Cloning, characterization and expression of glucoamylase gene from ectomycorrhizal basidomycete, Tricholoma matsutake

  • Wan, Jianing;Yi, Ruirong;Li, Yan;Kinjo, Yukiko;Sadashima, Aki;Terashita, Takao;Yamanaka, Katsuji;Aimi, Tadanori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53-58
    • /
    • 2011
  • In order to confirm the presence of putative glucoamylase gene in Tricholoma matsutake genome, the genomic DNA was prepared from T. matsutake NBRC30773 strain and was used as template to clone the glucoamylases gene (TmGlu1). We obtained the nucleotide sequence of TmGlu1 and its franking region. The coding region (from ATG to stop codon) is 2,186 bp. The locations of exons and introns were determined from the nucleotide sequences of 3'- and 5'-RACE PCR and RT-PCR products. On the other h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sition of medium and glucoamylase expression, we checked the expression level of glucoamylase gene by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 PCR and measurement of glucoamylase enzyme activity. It was found that enzyme activity of glucoamylase was very low in different medium. Expression of glucoamylases gene appeared to not be affected by different carbon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