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logical education

검색결과 954건 처리시간 0.026초

생태 예술을 활용한 환경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 음악극을 중심으로 - (Effec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Ecological Art Education on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cused on Music Drama -)

  • 이현민;이상원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3권3호
    • /
    • pp.35-49
    • /
    • 2010
  •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ecological art education focused on music drama, on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5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A reconstructed questionnaire through Kim(2008)'s test tool was used to the effects of applying an ecological art educational program. The SPS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 was able to develop and apply a professor-learning model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the ecological art education focused on music drama by extracting and recreating environment related contents from the 5th grader curriculum. Second, this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tudents' environmental sensitivity. Third, according to qualitative results, students appear to be more concerned and interested in the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problems in their daily lives. In conclusion, the ecological art program focused on music drama has a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5th graders. Therefore, more intensiv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link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s a follow-up activity.

  • PDF

우리나라 대학에서 응용생태공학 교육의 현황과 개선 (The Current Status and the Improvement of Ecological Engineering Education in South Korean Universities)

  • 박제량;정진호;남경필;이애란;조강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1호
    • /
    • pp.12-21
    • /
    • 2015
  • 국가 경제력이 성장함에 따라서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국토의 환경역량을 제고하려는 요구가 크게 증가하였고 이에 부응하여 생태공학 기술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2013년에 응용생태공학회가 창립되어 생태공학 분야의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회적 수요에도 불구하고 생태공학 분야 인력양성 체계가 아직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생태학적 원리와 기능을 충족시킴과 동시에 생태계 서비스를 확보할 수 있는 생태계 보전, 복원, 창조 기술을 갖춘 유능한 인력을 배출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응용생태공학회에서는 "2015 응용생태공학 포럼 - 생태교육의 터잡기"를 개최하여 대학에서 생태공학 교육체계를 정립하기 위한 논의를 하였다. 본 고에서는 포럼에서 토론되고 제안된 내용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대학에서 토목과 건설, 생물과 환경 및 조경과 계획의 다양한 분야에서 생태공학 관련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국외의 우수한 교육 사례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에서 생태공학 교육을 개선하여 정립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전반적으로 아직까지는 생태 및 각 응용분야 교과목들이 단편적인 교과목과 영역별 교육으로 한정되어 있어 향후 융합교육, 기후변화의 생태적 대응, 연구대상의 확대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교육전략과 체계적인 생태융합적 커리큘럼의 개발이 요구된다.

초등학생의 식물에 대한 경험 분석 및 생태적 소양과의 관계 (Analysis of Children's Experiences in Plant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Ecological Literacy)

  • 주은정;김재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4호
    • /
    • pp.404-414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experiences in plant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ecological literacy. 578 primary students participated in our survey, who consisted of 240 urban and 338 semi-rural children. The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was composed of items about their experiences in plants and ecological literacy. Children's experiences in plants were classified to 5 factors; indirect/observable, living, investigative, negative, and active experiences in plant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them is indirect/observable experience which tends to be passive. Children's ecological literacy and experiences in plants were not different with a place of residence but had difference with sexual. Most children's experiences in plants had correlation with ecological literacy. Ecological sensibility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for explan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ecological literacy and experiences in plants. It is recommended that supplying experiments in plants to children is important for promoting their ecological literacy.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지향 생태미술활동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연구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ESD-Oriented Ecological Art Activities)

  • 정영란;김희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291-301
    • /
    • 2023
  •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 지향 생태미술활동에 관한 유아교사 인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는 생태미술활동의 교육적 의의에 대해 자연매체의 시각예술, 공동체적 가치추구, 사회구성원의 참여와 소통의 순으로, 실천하는데 장애요인으로는 교육환경의 어려움, 생태미술 수업자료 및 구체적 예시부족, 교사의 생태미술에 대한 이해부족의 순으로, 생태미술활동을 통해 함양할 수 있는 누리과정 예술경험영역의 핵심역량으로 자연친화적 소통능력, 생태친화적 감수성, 창의융합능력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생태미술활동을 실시하는데 예술경험영역의 자료가 충분하지 않다고 보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생태미술활동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해 거의 모든 교사가 둘 간에 연관성이 있으며, 실천에 있어서 어려운 점으로 지속가능발전에 관한 인식부족, 교재교구 및 자료의 부족, 교육정책과 지원의 부족, 연수프로그램의 미흡 등의 순으로, 이러한 교육실행을 위한 지원은 교재교구 및 자료의 확충, 교육정책과 지원 확대,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 확대, 연수프로그램 확대 등의 순으로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생태미술활동에서 실천할 수 있는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에서 교사들은 '기후변화 대응', '깨끗한 에너지', '물과 위생', '양질의 교육', '건강과 웰빙'과 '해양생태계'의 순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생태미술활동 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활용할 것으로 응답한 비율이 높아, ESD 지향 생태미술활동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속가능 발전교육 활성화를 위한 환경교육 시범학교 운영 개선 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Manage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Model School)

  • 남영숙;장호창;지승현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1권4호
    • /
    • pp.1-1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 environmental education model school and to devise proper plans for school management through the school eco-aud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environmental education model school is analysed from view point of planning and executing. So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model school put emphasis on executing rather than planning. It requires to emphasis planning, for example, establishing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ecological measures, environment reporting. Secondly, environmental education model school is in the incipient stage as the environment prevention. The preparation for planning is inefficient compared to the ecological pretest of school eco-audit. In the aspect of ecological measures and education, the participant of all the school staff is unsatisfactory. In conclusion, the school eco-audit could be presented as a key role for establishing basic organizational conditions, ecological measures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drive environmental education model school to achieve extended effect for sustainable society.

  • PDF

생태공원 조성 및 생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조사 (A Survey of the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Ecopark and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of Ecopark)

  • 박태윤;노경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95-106
    • /
    • 2006
  • Ecopark enables sustainable use of natural resource and can be used as a place for site-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as well as for recre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pinion for the development of ecopark and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of ecopark. Nine hundred and fifteen (918) students, 388 teachers, 341 adults, 200 administrators of district education offices, and 40 administrators of environmental office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with a response rate of 89.7%. Results of this survey indicated the followings are needed to develop ecopark : natural resources and facilities, ecological educational program and its operation, human resourc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system with educational and environmental office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way of improvement was discussed and proposed.

생태도시에 대한 인식과 이주의사 (The Awareness of an Ecocity and A Willingness to Move to an Ecocity)

  • 곽인숙;박정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77-188
    • /
    • 200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an ecological city and its related variables and the willingness to move to an ecological city and its related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given to 491 residents in Mokpo, Kwangju and Muan in Chollanam Province. Awareness of the ecotogical city was medium level, half of the respondents were not aware of the ecological c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on the awareness of the ecological city.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was environmental knowledge. Next, experience i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homeownership effected on the awareness of the ecological city. Those who knew abou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nvironmental disruption had a self-reported higher degree of awareness of the ecological city. Those who had experience in environmental education as well as those who lived in their own house were more aware of the ecological city. Other variab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alf of the respondents were willing to move to the ecological city. Seven variables were related with willingness to move to the ecological city. Those who knew about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nvironmental disruption preferred to move to the ecological city. Those who lived in multi-housing had more of a willingness to move to the ecological city. People with a higher education as well as the younger group preferred to move to the ecological city. Those who were more aware of the ecological city and had more ecological-oriented values had more willingness to move to the ecological city. Salaried men and professionals were more willing to move to the ecological city than non-employed people. Among those variables environmental knowledge was the only influential variables on willingness to move to the city.

  • PDF

응용생태공학 교육의 임무와 교과내용 (Task and Curriculum Contents of Applied Ecological Engineering Education)

  • 김정규;이우균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1호
    • /
    • pp.1-11
    • /
    • 2015
  • 자연생태계와 인간사회의 공통적인 이익을 위한 생태공학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응용생태공학회가 설립되어 생태공학 분야의 연구와 기술개발에 기여하고 있는데, 생태공학분야 인력 양성에 필수적인 교육의 목표나 내용은 체계가 잡혀있지 못하다. 2015년 응용생태공학 포럼-'생태공학 교육의 터잡기'에서 생태공학 교육의 국제적 동향과 국내 실정에 대해 발제하고 토의한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생태공학 교육은 인간에 의해 교란된 생태계를 지속가능하도록 복원시킴과 아울러 인간과 생태계의 공동이익을 추구하는 새로운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설계 운영할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할 수 있어야 한다. 생태공학이 직면하게 될 세 가지의 도전에 대응할 수 있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인간과 생태계의 공동 이익이라는 목표에서 인간사회와 자연 사이의 균형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하는 윤리적 도전, 유관학문 분야는 물론 산업, 정책, 교육, 훈련의 융화를 꾀하는 관계적 도전, 마지막으로 생태학과 공학뿐 아니라 사회과학과 인문과학이 소통하여 융합하는 지적 도전을 극복할 수 있는 교과과정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생태학과 생태공학을 중심으로 하는 핵심교과목의 하위에 자연과학과 공학 기초과목을 두어 학부과정에 편성하고, 상위에 전공학문 별로 심화된 핵심교과목을 두어 대학원과정으로 편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태학적 기독교 영성을 통한 기독교교육의 방향과 실천적 제언 (Direction and Practical Proposal for Christian Education through Ecological Christian Spirituality)

  • 김은주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3권
    • /
    • pp.347-376
    • /
    • 2020
  • 본 연구는 생태 위기 앞에서 요구되고 있는 생태학적 기독교 영성을 통항 기독교교육의 방향과 실천을 제언하는 글이다. 환경파괴와 생태계의 문제는 인류의 생존까지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위기로 인식되고 있다. 그로 인하여 지금까지 인류가 당연히 여기고 있던 물질문명의 발전에 의문을 던지게 되었고 생태 위기의 근원에 자리하고 있는 인간의 의식과 사고의 변화가 불가피하게 되었다. 문명의 위기는 새로운 영성을 요구하며 생태 위기 앞에서 요구되는 영성은 생명 친화적인 영성이어야 한다. 1970년대 이후 등장한 생태 위기에 대한 담론들은 생태 위기에 대한 근본적인 시각을 제공해준다. '내재성', '상호 관련성', '치유와 해방', '지속성'이라는 생태 영성의 개념들은 위의 다양한 담론들의 논의들을 이해하고 집약할 수 있는 개념들이다. 이를 기초로 하여 본 논문은 하나님과 인간, 몸의 영역으로 나누어 기독교적 생태 영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만물 위에 군림하시는 초월적인 하나님이 아니라 만물이 출현하도록 자신을 비우시고 만물의 고통을 함께 나누시며 만물을 유지하시고 그 안에 거하시는 하나님 이해를 통하여 소박한 삶을 위한 자기 비움의 실천적 자리로서 기독교교육을 제안하였다. 거기에서 묵상과 환대는 소박한 삶을 위하여 내면을 풍성하게 할 수 있는 실천적 기독교교육의 자리가 될 수 있다. 몸을 경시하는 이분법적 사고와 내세지향적인 시각에서 몸의 영성을 강조하는 생태학적 기독교 영성을 통하여 통전적인 앎의 자리로서 기독교교육을 제안하였다. 거기에서 성만찬은 몸의 영성을 회복하는 통전적인 교육과 생태학적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자리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를 통하여 기독교교육은 이성만이 아니라 통전적으로 그리스도를 알아나가며 생태계와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교육의 장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