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logical attitude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1초

초등학생 학부모의 환경 소양 관련 변인 (The Effect of Variables on Environmental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 김은희;이상원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3권1호
    • /
    • pp.36-4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elementary school parents' environmental literacy varied according to independent variables, to verify specific variables that affected their environmental literacy,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environmental literacy. Twelv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chosen for purposive sampling. 34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among the 350 questionnaires collected during the study, and their environmental literacy was measured through 55 questions consisted of 12 items for knowledge category, 22 for attitude category, 5 for behavior category, and 3 for skills category with 16 demographic variable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each of the variables that make up environmental literacy through mean t-test, F-distribution, Scheffe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is the difference according to age and career in parent's actual environmental literacy, but there is no difference in geneder, birthplace, residential type, religion and income. The parents in fortie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parents in thirties in subdomains of environmental skill and environmental interest in environmental literacy. And the parents with bachelor's degree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parents with at least a high school diploma in subdomains of ecological knowledge, knowledge on environmental problems & issue, environmental skill and environmental behavior. (2) the most influential media on parents' environmental literacy is TV, then newspaper, internet and book follow. (3) the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crisis and environmental interest is the highest, but the mainly negative correlation is analysed between knowledge subdomains and other subdomains. (4) there is the correl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environmental literacy.

  • PDF

습지교육의 정규교과 채택: 연구동향과 연구주제 (Adoption of Wetland Education as a Part of the Formal School Curriculum: Their Research Trends and Topics)

  • 박준규;서승오;도윤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57-263
    • /
    • 2020
  • 본 연구는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채택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습지교육에 대한 전 세계 연구 동향과 주요 연구내용을 분석하고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는 국가들의 사례를 파악하였다. 습지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과거 습지교육은 습지에 대한 태도와 우리가 가져야할 인식에 대해 연구하다가 최근에는 습지의 생태계 기능과 서비스를 강조하는 주제로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2002년까지 람사르협약에 가입한 국가 중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는 국가는 18개국이었는데 2020년 8월 기준 42 개국으로 확대되었다. 습지에 대한 국가 간 또는 지역 간 과학정보와 지식의 격차가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채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는 국제적 사례를 살펴본 결과 지역단위 또는 학교 단위로 습지교육을 운영하고 있어 이들 사례를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훈데르트바써 주택작품의 외부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External Appearances of Hundertwasser's Housing Projects)

  • 김대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121-13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external appearances of Hundertwasser's housing projects through both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tudy, and to understand how Hundertwasser's architecture philosophy was embodied in the design of external appearances so such projects.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are: Hundertwasser House; In the Meadow Bad Soden; The Forest Spiral Darmstadt; and The Green Citadel Magdeburg.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The fundamental architecture philosophy of Hunderwasser is the close linkage between mankind and nature. He has proven, through his four housing projects mentioned above, that it is possible to build houses without destroying and in harmony with nature. Hundertwasser had identified vitality, irregularity and diversity as being the source of beauty of nature. Using the human creativity, he had embodied such elements into his housing projects, thus suggesting an ideal housing environment whereby humanity is respected. Hundertwasser made use of organic curved line and spiral shapes that exist in nature when designing his housing projects. His creativity was articulated through vitality, diversity, and irregularity in colour schemes and a wide range of form. Indeed, he was an architect pursuing the underlying nature of both human and nature. The current living environment in Korea can be characterized as being standardized and desolate, which is a result of housing projects being focused too much on functionalism. Through its analysis of Hundertwasser's housing projects, one of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a new design paradigm being called for today, including for housing projects to be more ecological and environmental-friendly. By motivating architects and appealing to their clients, this study hopes to motivate those involved in various housing projects to think progressively. Such an attitude change could assist in transforming and thus enhancing the overall living environment in Korea.

제품조형의 내구적 속성에 관한 연구 -장기간 판매 제품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formal durability of consumer products - focused on the cases of long-selling products)

  • 조영식;조민정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97-106
    • /
    • 1999
  • 환경오염이라는 인류의 총체적 위기는 인간 중심적 패러다임을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목표로 하는 생태학적 패러다임으로 변화시켰고, 이에 따라 디자이너 역시 인류의 과제인 환경문제 해결에 동참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책임과 디자이너 자신의 윤리적 책임은 디자인 방향을 환경을 위한 디자인(Design For Environment)으로 전환하게 하였다. 본 연구는 디자인을 통한 환경 문제 해결이라는 측면에서 그 하나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즉, 제품의 조형에서 내구적 속성을 파악하여 이를 제품에 부가함으로써, 경제적 손실과 환경오염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다. 제품의 형태를 결정짓는 디자이너의 입장에서 제품 조형의 내구적 속성을 파악하여 이를 제품에 부여한다는 것은 제품의 수명(Product Life Cycle)을 연장시키는 데 도움을 줌으로써, 제품의 폐기를 유보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제품이 제 수명을 다하기도 전에 새로운 형태의 제품에 밀려 폐기되는 일을 감소시켜 과잉 생산에서 오는 에너지 낭비와 자원의 소모를 막고, 오염물질의 방출과 쓰레기를 줄여 환경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기업의 과도한 경쟁 의식에 의한 무분별한 제품개발과 소비자의 소비 지향적인 태도에 반발하는 것이다. 이 가정 위에서 제품 조형의 내구적 속성을 밝히는 것이 이 논문의 궁극적 목표라 하겠다.

  • PDF

환경 일기 쓰기를 통한 환경 소양 함양 (Cultivating Environmental Literacy through Journal Writing on the Environment)

  • 박정해;최돈형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1권3호
    • /
    • pp.13-25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journal writing on environmental literacy of elementary students. Thirty-one 3rd grade students were involved in the journal writing which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writing activities in elementary students. Topics for the journal writing were chosen from a textbook on the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the journal writing, an instrument was used to measure the environmental literacy of the students. The environmental literacy instrument was originally developed by Jin (2004) then were modified by Kim (2005) for elementary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nvironmental literacy of the students, on average, was improved from 140.84 (74.5%) to 161.84 (85.6%) after the journal writing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t=7.46, p<.001). The environmental literacy scor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every variable after the journal writing: ecological knowledge(t=3.60, p<.01), environmental sensitivity(t=2.54, p<.05), knowledge of environmental issues(t=3.11, p<.01), environmental attitude(t=5.92, p<.001), environmental concern(t=5.27, p<.001), sense of environmental crisis(t=2.97, p<.01), environmental issue investigation and action strategy knowledge (t=2.34, p<.05), environmental skill(t=4.86, p<.001), locus of control(t=5.63, p<.001), and responsible environmental behavior(t=4.64, p<.001). This study also shows that improvement of the stud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each of the four levels of goals in environmental education: EE goal level I (t=4.22, p<.001), level II (t=7.53, p<.001), level III(t=5.01, p<.001), and level IV(t=5.46, p<.001). The results imply that the journal writing on the environment is effective in cultivating elementary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and in achieving goals in environmental education.

  • PDF

사회생태학적 모형에 의한 건강 생활 실천 관련 요인 (Factors Influencing Healthy Living Practice by Socio-ecological Model)

  • 김윤정;박정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351-36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생활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개인 및 지역의 건강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건강형평성 접근과 국민의 건강권을 보호하는데 있다. 2019 지역사회건강조사자료를 사용하였고, SAS 9.4와 IBM SPS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건강한 생활실천율은 전체의 33.8%로 지역별로 11~20%의 차이가 있었다. 개인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직업, 수면시간,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스트레스 정도에서 건강한 생활습관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개인 간 관계 요인에서는 건강한 생활실천을 위한 사회활동에 차이가 있었고, 지역사회 요인에서는 지역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연간 의료불만족, 의료기관 이용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향후 지역별 건강한 삶의 실천을 확대하기 위해서 구체적인 전략과 함께 개인, 사회, 국가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는 종합적인 정책과 협력방안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유비쿼터스 에코시티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연구 (Development of Indicators to Assess the Quality of Ubiquitous-Ecological Cities)

  • 김한샘;정연우
    • 토지주택연구
    • /
    • 제2권2호
    • /
    • pp.111-123
    • /
    • 2011
  • 유비쿼터스 에코시티(U-Eco City)는 첨단 IT기술을 도시공간과 접목시킨 유비쿼터스 도시(U-City)와 지속가능한 생태도시(Eco-City)의 개념이 융 복합된 새로운 도시패러다임이다. 하지만 국내외적으로 처음 시도되고 있기 때문에 U-Eco City에 대한 개발목표, 계획안, 실시설계안, 기술 및 서비스 요소 등이 혼재하여 명확히 정립되지 않고 있다. 무엇보다도 U-Eco City의 무엇을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U-Eco City의 도시 질과 환경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체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국내외에서 논의가 미흡했던 U-Eco City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여 지속가능한 도시의 질을 달성하기 위한 개념적 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U-Eco City의 개념은 기존도시의 경제적 발전과 성장위주 개발방식에서 도시의 질적 환경과 지속성 차원의 복합적인 영향을 종합적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 같은 연구 성과는 향후 도시개발에서 관리체계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개발된 평가체계는 의식조사를 통해 평가지표로서의 완성도를 높였다. 전문가 및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도시의 질적 측면은 안전성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요소로 도출되었다. 도시의 지속성 측면에서는 사회, 환경, 경제 모두 중요도가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그 중에서 환경요소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과거 도시개발시 우선요소로 안전성과 경제성을 둔 반면 현대에 들어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저탄소 녹색성장'과 같은 각종 정책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평가체계를 기반으로 사례대상지역을 선정하였으며 실시설계안을 중심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결과, '안전성'과 '경제성' 부문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이는 의식조사에서는 환경적 지속성이 중요시 된 반면 설계안에서는 아직까지 경제성장 위주의 개발계획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향후 도시개발시 환경적 측면의 보완이 필요하며, 경제성장과 환경적 지속성간의 연계방안도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 번식 연구를 위한 양서류 바이오톱(amphibian biotope) 조성 (Amphibian Biotope Planning to Research on Reproduction of Bombina orientalis)

  • 윤성일;박찬진;반영호;계명찬
    • 환경생물
    • /
    • 제26권1호
    • /
    • pp.22-29
    • /
    • 2008
  •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 Korean fire-bellied toad)는 양서강 개구리목 무당개구리과 무당개구리속(Class Amphinia, Order Anura, Family Bombinatoridae Genus Bombina)의 무미양서류이다. 소형으로 행동이 느리고 온순하여 취급이 용이하며 실험모델로써 많은 장점이 있으나 번식기를 제외한 개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시료확보의 난점으로 무당개구리의 계절번식 특성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다. 최근 지구온난화의 직간접적인 영향으로 전 세계적으로 무당개구리를 포함한 많은 양서류가 감소하고 있으며 야생채집개체를 활용하는 연구는 점차 규제를 받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전 연구에서 시행되었던 바이오톱 조성 목적과 달리 양서류 번식생물학적 연구를 위한 자연서식환경 조성은 시도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무당개구리의 생식, 발생, 생태연구를 실험실 환경에서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자연서식환경을 모방한 biotope 계획과 조성지침, 그리고 표준처리절차(SOP)를 제시하였다. 조성 후 시험적으로 방사한 개체연구결과로 는 실내사육실에서 키웠던 개체와는 달리 자연생태환경에서 관찰되는 계절적 적응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지침서를 기초로 조성된 양서류 biotope을 활용하면 온대지방에 서식하는 양서류의 계절번식 생태를 실험실 환경에서 연구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중국의 생태박물관(에코뮤지엄)형성과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rablishment of an Ecomuseum in China and its Actual States.)

  • 오일환
    • 고문화
    • /
    • 68호
    • /
    • pp.59-75
    • /
    • 2006
  • 중국에서는 21세기에 들어 인간과 자연의 조화 및 생태의 균형 유지가 매우 중시되면서 도시와 농촌간의 경제적 격차를 줄이고 전면적이 협력과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조화로운 사회건설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뿐 아니라 개혁개방 이후 급격한 경제적 변화로 전통 문화의 보존과 중화민족의 역사적 정통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문화유산에 대한 애국주의 교육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이에 중국은 박물관의 문화유산 보존과 전시기능 뿐 아니라 사회교육의 중요성을 더욱 인식하게 되었으며 새로운 박물관 형태인 생태박물관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중국은 대도시에 집중적으로 건설되었던 대규모의 박물관을 대신하여 노르웨이의 지원과 중국박물관협회를 중심으로 꾸이저우성, 꽝시장족자치구, 내이멍구자치구 등 소수민족이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산간 오지지역을 중심으로 생태박물관을 설립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생태박물관의 건설은 서부대개발이 진행되면서 소수 민족의 고유한 문화에 대한 위기의식에서 비롯되었으며 소수민족에 대한 문화적 수요를 창출하고 경제적 생활향상으로 함께 화해사회(조화로운 사회) 건설에 참여하여야 한다는 인식이 커다랗게 작용하였다. 그러나 중국은 생태박물관 조성을 국가사업으로 전환하면서 민족과 지역 특성에 적합한 형태로 만들고 활성화하기 위하여 소수민족 문화유산에 대한 관리를 더욱 강화하면서 점차 중국화, 본토화하고 있다.

  • PDF

주민의식을 반영한 반건조지역의 산림농업 전략 - 몽골 엘센타사라이 지역을 중심으로 - (Agroforestry Strategies Reflecting Residents' Attitudes in a Semi-arid Region - Focusing on Elsentasarhai Region in Mongolia -)

  • 조현길;박혜미;김진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63-269
    • /
    • 2014
  • 본 연구는 사막화가 진행 중인 몽골의 엘센타사라이 지역을 중심으로, 주민 설문조사, 조림지 현장답사, 관련 문헌고찰 등을 통해 환경생태적 및 경제적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산림농업의 전략을 모색하였다. 산림농업의 접근유형은 사막화 및 작물 풍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풍조림, 소득자원 생산을 위한 농경, 대상지역의 주 산업인 축산 등을 함께 배합하는 농림축혼업을 제안하였다. 주민의견과 생육환경을 반영하여, 조림수종은 사막지대의 자생종인 시베리아포플러와 비술나무를, 경제작목은 짧은 생장기간에 재배 및 수확이 가능한 갈매보리수, 감자, 사료작물 등을 각각 선정하였다. 농림축혼업의 다목적 효과를 충족시킬 토지배분 전략으로서, 다열의 방풍용 수목과 소득용 작물을 교호 대상으로 배식하는 간작기법을 권장하였다. 아울러 강풍과 건조에 대응하여, 경제작목 생산 및 수목생장의 조건을 함께 개선하기 위한 간작 시스템 관련 바람직한 식재기법을 모색하였다. 본 결과는 관련 연구가 미흡한 몽골은 물론 유사한 환경의 반건조지역에서, 지속가능한 산림농업을 추진하기 위한 유용한 기반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