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friendly polymer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42초

친환경 UM수지를 사용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강도 및 내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ngth and Durability of Polymer-Modified Mortars using Eco-friendly UM resin)

  • 권민호;김진섭;박수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943-94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내구수명 개선을 위한 친환경 수지인 UM수지 화합물을 혼합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친환경수지인 UM수지를 일반 시멘트 모르타르와 일정비율로 혼합하였다. UM수지를 혼합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에 대하여 압축강도, 쪼갬인장강도, 휨강도, 흡수율 및 내약품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재료실험결과 친환경 수지인 UM수지를 함유한 시멘트 모르타르는 압축강도와 쪼갬인장강도는 감소하는 반면 휨강도와 흡수율 및 내약품성에서는 성능이 개선되었다. 친환경 UM수지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는 콘크리트 내구성 보강성능이 우수하였다.

폐글리세롤을 이용한 친환경 가소제의 경구투여독성 및 피부자극성 시험 (The oral dose toxicity test and skin irritation test of eco-friendly plasticizer using crude glycerol derived)

  • 강수정;김희영;박상원;심은영;김진환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22-327
    • /
    • 2015
  • Objectives: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e oral dose toxicity test and skin irritation test of eco-friendly plasticizer using crude glycerol derived from the biodiesel process. Methods: Glyceroldiacetate laurate(GDL) was synthesized from glycerol monolaurat(GML) and acetic acid. The synthesis of the GDL plasticizer was measured with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NMR) and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safety of GDL, we carried out an oral dose toxicity test for GDL in Sprague-Dawley rats. Also, we carried out a skin irritation test for GDL in New Zealand White rabbits. Results: The oral dose toxicity test in Sprague-Dawley rats showed that GDL is a non-toxic material. The result of the skin irritation test on New Zealand White rabbits showed that GDL is non-irritating.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of oral dose toxicity test and skin irritation test, we concluded that the developed plasticizer showed excellent eco-friendly property. Based on our results, we confirmed the development of an eco-friendly non-phthalate plasticizer. Applicability for PVC toys and food and drug packaging materials was found.

바이오디젤부산물인 폐글리세롤을 이용한 친환경 가소제의 개발 (Development of an Eco-friendly Plasticizer using Crude Glycol Derived from the Biodiesel Process)

  • 강수정;배성재;진대언;김진환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65-370
    • /
    • 2014
  • Objectives: The major objective is development of an eco-friendly non-phthalate plasticizer using crude glycol derived from the biodiesel process. Methods: Glycerol monolaurate(GML) was synthesized from glycol and triglyrcerides. Glycerol diacetomonolaurate(GDAL) was synthesized from GML and acetic acid. Results: The synthesis of the GDAL plasticizer was measured with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NMR). Mechanical properties were measured by universal testing machine(UTM) and the experimental values were compared with phthalate plasticizers such as dioctyl phthalate(DOP). In particular, the values for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s with GDAL were higher than with DOP. Conclusions: We confirmed the development of an eco-friendly non-phthalate plasticizer by NMR. Based on our results, applicability for food and drug packaging materials was found.

친환경 UM수지를 사용한 섬유보강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내구성 및 강도 특성 (The Properties of Durability and Strength of Fiber-Reinforced Polymer-Modified Mortars Using Eco-Friendly UM Resin)

  • 권민호;서현수;임정희;김진섭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313-320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환경을 고려한 고성능 보수 보강재료 개발을 위하여 섬유를 보강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친환경 수지인 UM 수지를 일반 시멘트 모르타르와 일정 비율로 혼합하였다. 강도 증진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 PVA 섬유, 강섬유 그리고 PVA섬유와 강섬유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한 하이브리드 섬유를 일정한 비율로 첨가하였다. 강도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섬유를 보강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에 대하여 압축강도, 쪼갬 인장강도, 휨강도 실험을 수행하였다. 내구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에 대하여 흡수율 실험, 내약품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UM 수지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는 내구성능이 개선되었고, 이러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에 섬유를 보강하면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의 취약점인 인장강도와 휨강도가 증가하였다. 향후 외부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향상을 위한 보수보강재료로 사용성을 확인하였다.

생분해성 PLA-PBAT 블렌드 필름을 이용한 친환경 포트의 특성 연구 (Study on Properties of Eco-friendly Pot with Biodegradable PLA/PBAT Blend Film)

  • 박한샘;강재련;송강엽;서원준;이선주;이원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037-1043
    • /
    • 2015
  • Since single-use disposable plastic usage has steadily been increasing, recent trends in polymeric research point to increasing demand for eco-friend materials which reduce plastic waste. A huge amount of non-degradable polypropylene (PP)-based pots for seedling culture are discarded for transpla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 eco-friendly biodegradable material as a possible substitute for PP pot. The blend of poly(lactic acid) (PLA) with 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PBAT) was used because of its good mechanical and flexible properties as well as biodegradation. After landfill, various properties of the blend pot were investigated by UTM, SEM, NMR and TGA. The results showe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blend film rapidly decreased after 5 weeks of landfill due to degradation. From NMR data after landfill, the composition of PLA in the blend was de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biodegradation of the blend preferentially occurs in PLA componen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les in pot bottom and side on root growth, a plant in the pot was grown. Some roots came out through holes as landfill period increas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co-friendly pot can be directly planted without the removal of pot.

전력케이블용 친환경 반도전 컴파운드의 결정화도와 분산 특성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rystallinity and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Eco-Friendly Semiconductive for Power Cable)

  • 한재규;윤준형;성수연;전근배;박동하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3권5호
    • /
    • pp.400-404
    • /
    • 2020
  • In this paper, we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rystallinity of semiconductive compounds for eco-friendly power cables and the dispersive properties of carbon black. The crystal structure of the polymer material is advantageous for mechanical properties and heat-resistance. However, the polymer acts as an inhibitor to the dispersibility of carbon blac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PE semiconductive compound technology. The high heat resistance and ultra-smoothness characteristics which are required for high voltage and ultra-high voltage cables should be satisfied by designing and optimizing the structure of a non-crosslinking-type eco-friendly TPE semiconductive compound. The application of excess TPE resin was found to not only inhibit the processability in the compounding process, but also reduced the dispersion properties of carbon black due to higher crystallinity. After the crystallinity of the compound was identified through DSC analysis, it was compared with the related dispersion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analysis and comparison, we designed the optimal structure of the eco-friendly TPE semiconductive compound.

영상분석을 통한 바이오폴리머로 보강된 제방사면 안정성 해석 (Assessment of Levee Slope Reinforced with Bio-polymer by Image Analysis)

  • 고동우;강준구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6권4호
    • /
    • pp.258-266
    • /
    • 2019
  • 이 연구는 자연에 기반을 둔 하천기술을 제방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친환경 신소재 바이오폴리머를 제체 표면에 적용하여 내구성과 친환경성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월류에 대응하기 위한 제방의 보강 대책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안동하천연구센터에 현장토를 사용하여 높이 1 m, 마루 폭 3 m, 사면경사 1:2, 총 길이 5 m의 중규모 제방모형을 제작하였으며, 바이오폴리머와 흙을 적정 비율로 혼합한 바이오-소일 (bio-soil)을 제방 전면에 5 cm 두께로 도포하여 월류 발생에 대한 제방의 안정성 평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영상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픽셀기반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시간에 따른 제방사면의 붕괴면적을 산정하였으며 그 결과, 신소재 적용 제방의 경우 완전붕괴가 발생하는 시간은 일반 흙 제방에 비해 12배 이상 증가해서 붕괴지연효과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 콘크리트 개발을 위한 고분자 화합물의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High Molecular Compound for Development of Eco-friendly Concrete)

  • 류재석;이용수;송일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5A호
    • /
    • pp.299-305
    • /
    • 2012
  • 본 연구는 수용성 폴리머의 일종인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이하 PVAc)를 사용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와 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평가를 통하여 친환경 콘크리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획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PVAc를 혼입하지 않은 시멘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와 결합재 대비 3%, 6%, 9%, 12%의 PVAc를 각각 혼입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와의 비교분석을 통한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폴리머 혼입에 따라 늘어나는 공기량을 제어하기 위해 소포제를 첨가하여 PVAc 콘크리트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PVAc가 혼입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경우 압축강도는 낮아지나 휨강도와 건조수축의 성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콘크리트의 경우 혼입율이 6%일 때가 압축강도, 인장강도, 휨강도 및 탄성계수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