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초

교사-어머니의 의사소통과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만족도 및 양육스트레스 (Teacher-Mother Communication : Its Effect on Satisfaction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on Parenting Stress)

  • 이미자;문혁준
    • 아동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4
    • /
    • 2008
  • This study reviewed communication between mothers and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effect of communication on mothers' satisfaction with the institution and on parenting stress. Results showed that (1) the most discussed topic pertained to children's friendships at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2) Attitudes during communication were comparatively favorable. (3) Increased communication of mothers with the teachers showed increased satisfaction with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4) Mothers with positive understanding of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of teachers showed higher satisfaction rate towards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5) Mothers showing higher satisfaction towards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and positive attitudes during communication with teachers exhibited less parenting stress.

  • PDF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개인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간의 구조적 관련성 분석 (Structur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and Environment Factors on Adjustment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of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 김선희
    • 아동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21-142
    • /
    • 2011
  • This study explor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 factors (young children's self-esteem and language abil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mother's acculturation, parenting, and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 on young children's adjustment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150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of aged 3, 4, and 5, their mothers, and 108 classroom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reveal the following : (1) Mother's integrative acculturation significantly affected mother's parenting. (2)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cculturation and young children's adjustment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are significantly mediated by mother's parenting and the young children's self-esteem. (3)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in multi-cultural families significantly affected their degree of adjustment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교사가 지각하는 유아교육기관의 서번트 리더십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Teacher's Perspectives on Job Satisfaction and Perceived Servant Leadership in 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 백경숙;윤지영
    • 아동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7-79
    • /
    • 2006
  • Participants were 272 teachers from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who responded to 2 survey questionnaires: translated and revised versions of Laub's (1999) Servant Organizational Leadership Assessment(SOLA) and Jorde-Bloom's(1989)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ECJSS). Components of SOLA were values people, develops people, displays authenticity, builds community, provides leadership, and shares leadership; components of ECJSS were co-worker relationships, administrator relationship, job itself, working environment, possibility of rewards/promotions, feelings about the organization.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computer program,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servant leadership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and job satisfaction. Components of perceived servant leadership that predicted job satisfaction were 'develops people', 'displays authenticity', 'values people' and 'provides leadership.'

  • PDF

유치원 행정업무담당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경상남도 O시 중심으로- (A Study on Job Stres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for Administrative Personnel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 With a Focus on O City, Gyeonsangnam do -)

  • 신소정;조성제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203-213
    • /
    • 2015
  • 본 연구 목적은 유치원 행정업무담당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 방안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경상남도 ${\bigcirc}$시에 소재하는 유치원 행정업무담당자 119명을 대상으로 2014년 9월 10일부터 12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WI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연령, 결혼유무, 종교, 직급 등 요인별 차이가 있었다. 둘째, 상관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안의 하위변수인 경험자의 조언, 문제 상항에 대한 방어기제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회귀모형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음주회수, 직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치원 행정업무 담당자의 업무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발달적으로 적합한 실제(DAP)에 관한 어머니의 신념과 아동기 양육경험,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의 관계 (Mothers' Beliefs i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 Relationships with Mother's Childhood Experience,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 서기남;문혁준
    • 아동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3-40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eliefs i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DAP) of 447 mothers of 4- and 5- year-old children by mother's childhood experience,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Results showed that mother's beliefs in DAP were related to children's ag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monthly household income,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mother's childhood experience,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Mothers with higher beliefs in DAP were mothers of kindergarten rather than mothers of daycare children; they had 4 years or more college education, and more than $3000 monthly household income.

  • PDF

유치원 학부모 자원봉사자의 양육효능감과 교사로서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as a Teacher of the Volunteer in the Kindergarten)

  • 이세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77-387
    • /
    • 2008
  • The study is to research their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practices of a parent teacher as a volunteer(PTV) in the kindergarten. The subjects were mothers (N=127) in Choongbuk Province who had had volunteer education as a teacher assistant. The data were collected by their completing a questionnaire about Parenting efficacy and a Parent As A Teacher inventory (PAAT). The results include as follows: firstly, in PTV's parenting efficacy, 'the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children are attending' is an important variable. Secondly,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children attending' are important variables in volunteer parents' parenting practices. Besides,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in volunteer activity' are important variables in parenting practices of 'control/permission' and of 'teaching/learning', and in general parenting practices. Finally, 'parenting efficacy',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sex of children' are important variables in volunteer teachers' parenting practices.

유아교사의 5세 누리과정 실행수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acticing Level of the NURI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태성란;황혜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53-272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5세 누리과정이 유아교사의 다양한 변인(연령, 교사경력, 학력, 자격증, 근무기관)에 따라 실행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5세 누리과정을 보완하고 나아가 3-5세 누리과정의 전면적 시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5세 누리과정을 실행하고 있는 만 5세 담임교사 201명이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의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실행수준은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구성영역별로 살펴보면, 5세 누리과정의 교육내용에 대한 실행수준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이 교수 학습 방법, 이론적 근거 및 성격, 교육목표, 교육자료, 교육평가의 순으로 나타났다. 5세 누리과정 실행수준을 교사변인에 따라 살펴본 결과, 연령대가 높은 교사가 30세 미만의 교사에 비해 실행수준이 높았다. 그리고 경력이 2년 미만인 교사에 비해 경력이 8년 이상이 되는 교사가 실행수준이 높았다. 또한 대졸 이상 교사가 전문대졸 이하 교사보다 실행수준이 높았으나 소지한 자격증의 종류와 근무하는 기관에 따라서는 누리과정 실행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유아교사들의 직무실태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atus and Job Satisfaction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 조명선;이재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469-478
    • /
    • 2019
  • 본 연구는 유아 교사들의 직무실태 및 직무만족도를 심층 조사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 소재의 유아교육 전문 기관에 근무하는 보조교사를 포함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유아교육 기관은 국공립 어린이집, 사립어린이집, 국공립유치원 및 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255명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회수된 설문지를 대상으로 SPSS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분석은 t-test, χ2-검증, ANOVA 분석을 수행하였고 사후분석으로 Scheffé 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의 도출을 위하여 직무실태는 교육기관의 유형, 연령, 교육정도, 교육경력 등을 조사하였다. 교육기관의 만족도는 국공립 유치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은 50대 이상에서 교육수준은 대학원 졸업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유아교사들의 직무 만족도가 동료교사와의 관계, 원장과의 관계, 자아정체감 및 교사환경에 대해 유의하게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육 교사들의 현재 직무실태와 만족도를 이해함으로서 그들의 직무 수행 능력을 높이고 업무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유아교육기관의 어플리케이션 사용에 대한 학부모 관점에서의 만족도 및 활용도 분석 (An Analysis of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from the Parents' Perspective on the Applic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임정희;한상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40-152
    • /
    • 2020
  • 이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어플리케이션 사용에 대해 학부모 관점에서 만족도와 활용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5개 사립유치원에 자녀를 둔 학부모로 최종 443부 자료를 분석하였다. 인구 통계적 기술통계, t검정, F검정 통계분석방법으로 이용에 따른 만족도, 활용도 차이를 확인하였고, 각 만족도 하위요인과 활용도 변수 간 영향 관계의 검증은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부모의 직업 유무에 따른 만족도와 활용도 차이 t검정 결과, 전체 만족도에서 이용편리성, 전체 활용도에서 의사소통, 자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만족도와 활용도 차이에 F검정 결과, 만족도에서 학력은 모든 변수, 이용 동기는 교육 활용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활용도에서 학부모 학력은 기본생활과 전체 활용도, 자녀연령은 의사소통과 자녀관계, 이용동기는 기본생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이용편리성, 의사소통, 교육활동만족도 등 모든 예측변수는 활용도 준거 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상대적 기여도는 의사소통 만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관용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학부모와 활발한 의사소통 및 교육 활동에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다양한 교육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으로 유아기 학부모와 적극적인 의사소통과 교육활동에 활용하여 교육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검증한 것에 의의가 있다.

예비유아교사의 따돌림 인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Bullying)

  • 배재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417-426
    • /
    • 2019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따돌림에 대한 인식을 확인해봄으로써, 유아교육현장에서 발생하는 따돌림에 대한 예방 및 대처를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313명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SPSS 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따돌림 인식은 학년과 보육실습유무, 현장관찰수업유무, '학교폭력 예방 및 학생의 이해' 교과목 수강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따돌림 행동에 대한 인식으로 '때리거나 발로 차는 등 폭력을 가하는 일이 빈번함', '공동으로 쓰는 물건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경우가 많음', '다른 친구 앞에서 창피를 주거나 모함을 하는 일이 잦음'을 높게 인식하였다. 셋째, 따돌림 가해자의 특성에 대한 인식으로 '공격적인 행동과 말을 많이 함'이 가장 높았고 따돌림 피해자의 특성에 대한 인식으로 '수줍음이 많고 말이 별로 없음'이 가장 높았다. 넷째, 가해 이유에 대한 인식으로 '특별한 이유없이 그냥 재미로'가 가장 높았고 따돌림 현상 원인에 대한 인식으로 '부모의 양육태도나 가정환경의 문제'가 가장 높았다. 마지막으로, 따돌림 예방 및 대처의 주요 수행기관은 교사, 부모와 가정, 지역사회 및 국가, 유아교육기관, 교육청 순이었다. 교사의 역할로는 '학급에서 고립되는 유아들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기'가 가장 높았고, 부모의 역할로는 '자녀에게 관심을 갖고 대화를 많이 하기'가 가장 높았으며, 유아교육기관의 역할로는 '교육과정 중에서 따돌림 방지교육 시간을 마련하여 운영하기'를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따돌림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