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eHealth literacy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reby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42 university students aged 19 and over in a university located in K province in South Korea. Participants responded to structured questionnaires in September 2018. eHealth liter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were measured by eHealth Litaracy (EHL) and a translated version of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HPLP-II),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between eHealth liter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Health literacy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Results: The participants had a moderate level of eHealth literacy with the greatest score recorded in the sub-domain of functional eHealth literacy and the lowest in the sub-domain of critical eHealth literacy. Female students and students who majored in healthcare had higher levels of eHealth literacy than male students and those with non-healthcare majors. The degre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was moderate or lower with the highest score being in the sub-domain of interpersonal support and the lowest in the sub-domain of health responsibility. Health promoting behaviors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eHealth literacy, exercise hours,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ealth concern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engaged more in health promoting behaviors when they had greater eHealth literacy (β=.18, p<.001), interest in their own health (β=.33, p<.001), exercise hours (β=.18~.23, p<.001),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β=.17~.18, p=.007~.031). Conclusion: In order to facilitat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interventions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s need to be developed including strategies to improve competencies relevant to critical eHealth literacy and to increase exercise hours.
Objectives: This study aimed identify of the level and effect of the e-health literacy and health behavior in health science majors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5 to March 15, 2018 for student majoring in health science at a university in the C cit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21.0. Results: First, the e-health litera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grades (F=5.769, p=0.001), health interest (F=10.553, p<0.001) and health care time (F=3.841, p=0.023), and health behavio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ubjective health condition (F=5.476, p=0.05), health interest (F=16.716, p<0.001), and health care time (F=28.479, p<0.001). Second, the e-health literacy were correlated with grades, health care time, economic level and health interest, and health behavior were related to health care time, e-health literacy,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health interest. Third, health behavior related factors were health care time, e-health literacy, grades,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health interest. Conclusion: The related knowledge and skills should be applied to basic classes in order to ensure that health science majors care can accurately utilize the information on the e-health.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Health literacy, reproductive health knowledge, and self-esteem on early adult women's health-promoting behaviors (HPB). This study was based on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as a theoretical underpinning. Methods: Early adult women aged 18 to 35 years (n=165) were recruited by posting advertisements on social network sites for a student club and a faith-based community in Ansan, Korea. Willing individuals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online survey from June 1 to June 30, 2022. Standardized instruments were used to measure HPB, eHealth literacy, reproductive health knowledge, and self-esteem.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ed income level, perceived subjective health, and internet usage tim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ndependent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ean age of the respondents was 21.97±3.87 years. The total HPB score was 120.69, corresponding to a moderate level; and the total scores for eHealth literacy (30.24), knowledge of reproductive health (23.04), and self-esteem (35.62) were higher than the midpoint. The model explained 53.3% of variance in HPB, and self-esteem (β=.48, p<.001)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ther influential factors were, in descending order, higher economic level, higher subjective health status, greater eHealth literacy, and less internet use time (<2 hours/day). Conclusion: In order to promote the health of early adult women, counseling or programs that positively improve self-esteem appear promising, and eHealth literacy should be considered as a way to promote HPB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e-헬스 리터러시, 구강건강지식, 구강건강행동 정도를 확인하고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성인의 구강보건행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변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2021년 6월 22일 부터 8월 1일 까지 만 19세 이상의 성인 남녀 350명을 대상으로 웹기반 설문지 폼을 이용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방법은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일반 특성에 따른 구강보건행동은 성별, 학력, 1년 이내 치과 방문 경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구강 건강관심도, 구강관련 인터넷 사용 빈도 및 인터넷 구강 건강 정보의 신뢰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e-헬스 리터러시는 구강보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e-헬스 리터러시가 구강보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e-오랄 헬스 리터러시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과 e-오랄 헬스 리터러시를 활용하여 성인의 구강보건행동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1) the patterns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search with respect to seeking and scanning, and (2) how online search, along with eHealth literacy, predicts perceived information usefulness in the context of diet and weight control. Methods: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99 adults from the consumer panel recruited for the purpose of quality assessment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formation Portal in 2016. We conducted paired sample t-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 24.0 (IBM Corp., Armonk, NY, USA) and SAS ver. 9.3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Results: Of the respondents, 38.8% were 'high seek-high scanners,' 35.8% were 'low seek-low scanners,' 13.0% were 'high seek-low scanners,' and 12.4% were 'low seek-high scanners.' eHealth literacy was a significant, positive predictor of online information scanning (odds ratio [OR], 2.46; 95% confidence interval [CI], 1.41-4.29), but not for online information seeking (OR, 1.75; 95% CI, 1.00-3.05). With respect to perceived usefulness of online information seeking, online seeking (OR, 4.90; 95% CI, 2.19-11.00) and eHealth literacy (OR, 2.30; 95% CI, 1.11-4.75) were significant predictors. Perceived usefulness of online scanning ha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online scanning (OR, 2.38; 95% CI, 1.08-5.22), but not with eHealth literacy. Conclusion: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health policy for online information search and related outcomes in the context of diet and weight control, it is important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promoting eHealth literacy.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세대의 e-헬스 리터러시 수준과 주관적인 건강상태 및 건강추구행동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로당과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중 최근 1개월 이내 1회 이상 인터넷을 이용하는 102명을 편의표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주일 평균 인터넷 이용 시간은 '3시간 미만'이 54.9%로 가장 많았다. 지역사회 노인의 e-헬스 리터러시(r=.349, p<.001)와 주관적 건강상태(r=.466, p<.001)는 건강추구행동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대상자의 성별(β=.22, p=.012), 질병유형(β=.23, p=.013), 주관적 건강상태(β=.38, p<.001)가 건강추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인터넷을 사용하는 지역사회 노인의 e-헬스 리터러시 및 주관적 건강 수준을 높이고 건강추구행동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 wit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of nursing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e-Health literacy. Methods: The study surveyed 177 nursing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COVID-19.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5.0,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through the SPSS Process macro model 4. Results: Nursing professionalism (β=.26, p=.002) and e-Health literacy (β=.18, p=.021)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 wit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In addition, e-Health liter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 wit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Conclusion: e-Health literacy was a mediating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ing intention of nursing students for patients wit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In order to improve nursing intention of nursing students for patients wit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hat can enhance their e-Health literacy as well as nursing professionalism.
Purpose: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dentify level of health literacy and factors influencing health literacy of migrant work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cross sectional correlational design. Participants were 128 migrant workers in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18.0 program. Results: The health literacy level of migrant worker was low and they ha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patient education materials and medical forms. Factors influencing health literacy were residential areas (city or rural), education level, length of stay in Korea, and ability to understand spoken Korean. Regression model accounted for 14.2% of the variance in health literacy. Conclusion: Lower levels of health literacy make it difficult for migrant works to visit medical facilities and perform health behaviors appropriately. Therefore, diverse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by nurses to enhance the health literacy level of migrant workers.
Purpose: To define the concept of digital health literacy and identify its attributes. Methods: Walker and Avant's approach was employed for concept analysis. Attributes, antecedents, consequences, and the definition of digital health literacy were derived from a review of 28 studies. Results: Digital health literacy was identified to possess the following five attributes: health information seeking, health information processing, health information communication, health-related knowledge translation, and utilizing digital technology. Basic literacy skills, health concerns, motivation to use technology for health information, and access to digital technologies were all antecedents of the concept. The consequences of the concept were health behaviors, patient engagement,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Digital health literacy is the ability to seek relevant health information utilizing digital technology to solve health problems and improve quality of life. Furthermore, it refers to the translation of health-related knowledge obtained through health information processing-finding, understanding, and evaluating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information communication-into the context in which individual and social factors interact.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a new definition of digital health literacy that goes beyond existing internet-based eHealth literacy, by incorporating the context of emerging digital technologies. This proposed definition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instruments and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individuals' digital health literacy.
본 연구는 여성노인의 건강관심도, 건강정보지향, 인터넷 건강정보 문해력 및 건강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C시 여성노인 20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기술통계, t-test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건강관심도, 건강정보지향 및 건강행위는 60대 군과 70대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인터넷 건강정보 문해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60대군에서는 건강정보지향으로 나타났으며 14.8%의 설명력이 있었다. 70대군인 경우 거주형태이었으며 6.6%의 설명력이 있었다. 이는 정보화시대에 여성노인의 건강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건강정보, 인터넷 건강정보 문해력 등에 대한 관심을 포함하여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시 고려해야 할 함의를 제시한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