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 eye syndrome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7초

초고선명 텔레비전 시청 시 정상안과 건성안에서의 눈깜박임 양상 비교 (Comparison of Blinking Patterns When Watching Ultra-high Definition Television: Normal versus Dry Eyes)

  • 강병수;서민원;양희경;서종모;이상훈;황정민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58권6호
    • /
    • pp.706-711
    • /
    • 2017
  • 목적: 초고선명 화질의 화면 시청이 눈깜박임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건성안과 정상안에서 눈깜박임이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만 13-69세 남녀 59명(118안)을 대상으로 초고선명 텔레비전의 채도가 높고 움직임이 큰 영상을 10분 동안 시청하도록 하였다. 시청 전후 각각 최대교정시력, 자동굴절검사, 세극등검사로 평가한 눈물막 파괴시간, 각막염색 정도, 결막 충혈 정도를 조사하였고, 이와 함께 눈의 피로도 또는 건성안 증상 평가를 위한 설문조사를 함께 시행하였다. 눈물막 파괴시간이 양안 중 하나라도 5초 이하이거나 결막 충혈이 경도 이상으로 있거나, 각막미란이 뚜렷하게 있을 때를 건성안으로 정의하였고, 시청 초반과 후반에 각각 눈깜박임 횟수 및 시간 등을 영상 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 정상안군에서 영상을 시청한 후 평균 눈물막 파괴시간이 감소하고(p<0.001), 평균 각막미란 정도도 심해졌지만(p=0.023), 피검사자가 느끼는 주관적 눈의 피로도 및 건성안 증상은 변화가 없었다(p=0.080). 건성안군에서는 눈깜박임 양상이 시청 초기와 후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정상안군에서는 시청 초기에 비해 후기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평균 깜박임 시간이 증가하였다(p=0.030). 결론: 초고선명 텔레비전 시청은 정상안에서 눈물막 파괴시간과 각막미란 정도에 영향을 주며, 눈깜박임 변화를 초래하여 건성안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겠다.

안과 질환으로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에 의뢰된 한방병원 입원 환자에 대한 고찰 (A Study of Korean Medicine Hospital Inpatient Consulted by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 Dermatology Department for Ophthalmology Disease)

  • 정미래;허은나;권강;서형식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9-29
    • /
    • 202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trospectively analyze 3 years of inpatient ophthalmology consultation to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 dermatology department in Korean medicine hospital. Methods : We classified ophthalmological inpatient consultations between September 1st, 2019 and August 31st, 2022, based on electronic medical record by gender, age, hospitalized department, categories of diseases. Results : Total number of consultations were 111, and the average of age was 63.6. The proportion of female and male were 2.5:1. Among the 136 cases of eye disease referred, lacriminal production and discharge diseases accounted for the most at 54 cases(39.7%), of which 44 cases were dry eyes syndrome. Excluding dry eye syndrome, conjunctival disease occurred the most with 24 cases(17.6%). Consultations from department of Korean rehabilitation medicine, and Korean internal medicine were most common, because they have a comparatively large number of inpatients and long hospitalization period. Conclusions : This study identified the frequency of consultation and the disease group with many requests for each department. When inpatients complain of eye disease, consultation to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 dermatology department should be encouraged as accurate diagnosis and treatment using specialized equipment is possible and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progress observation and examination.

신축건물에서 안구건조증이 작업생산성과 일상활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y Eye Symptoms on Work Productivity and General Activity in Newly Building)

  • 김효진;박찬정;임병서;김호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89-396
    • /
    • 2014
  • 목적: 신축건물 재실자들의 안구건조증을 조사하고, 안구건조증이 작업생산성 및 일상적인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법: 신축한지 3개월이 지난 건물에서 일 평균 8시간 이상을 근무하는 사무직 근로자 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내공기질은 알데하이드류와 온습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안구건조증은 Ocular Surface Disease Index(OSDI)를 이용하여 정상, 경도, 중등도 및 중증으로 분류하였고, 라식수술, 눈 화장, 일일 컴퓨터와 스마트폰 사용시간, 그리고 일일 평균 근무시간을 조사하였다. 작업생산성과 일상활동 관련 설문은 Work Limitation Productivity 설문을 사용하여 손실정도를 10점 척도로 체크하였다. 결과: 사무실의 폼알데하이드 농도는 $42.42{\pm}6.30{\mu}g/m^3$ 이었고, 온습도는 각각 $26.2{\pm}0.7^{\circ}C$$40{\pm}1%$ 였다. 안구건조증은 정상, 경도, 중등도 및 중증이 각각 15.2%, 18.2%, 18.2%, 48.5%였다. 안구건조증의 심한 정도와 작업생산성 및 일상적인 활동의 손실 정도는 각각 0.599와 0.655의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p<0.001). 안구건조증이 중증인 경우는 정상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작업생산성 손실과 일상활동 저해를 나타냈다(p<0.001). 안구건조증이 심한 경우는 정상에 비해 작업생산성 손실과 일상활동 저해가 3점 이상일 확률이 각각 3.26배(p=0.032)와 2.25배(p=0.045) 높았다. 결론: 신축건물 사무직 근로자들의 안구건조증은 작업생산성과 일상적인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교정영양요법(OCNT)을 이용한 복합질병 환자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Use of Ortho-Cellular Nutrition Therapy (OCNT) in Patients with Complex Diseases)

  • 하현아
    • 셀메드
    • /
    • 제13권3호
    • /
    • pp.9.1-9.4
    • /
    • 2023
  • Objective: A case report on improvements in complex diseases (recurrent cystitis, etc.) through the use of nutritional therapy Methods: A 56-year-old Korean female. The patient has various diseases and her quality of life has been reduced due to health problems. Results: Complex diseases were improved after undergoing nutritional therapy. Conclusion: Nutritional therapy can assist in treating complex diseases.

한방 안과에 내원하여 안저 검사를 시행한 환자 463명에 대한 후향적 연구 보고 (The Retrospective Study of 463 Patients who had Funduscopy Examination at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이마음;정미래;김철윤;권강;서형식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1
    • /
    • 202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report status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patients who did funduscopy examination. Through this, we hope that the development of our diagnosis and treatment. Methods : From June 1, 2010 to May 31, 2019, Based o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had funduscopy examination at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Busan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the gender, age, visiting motives and paths, diagnosis, examination number of years, other eye examinations and treatments method were summarized and analyzed. Results : 463 patients were able to check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They were 283 females and 180 male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1.5 years and elderly patients who 50s and 60s were 49.3% of whole patients. The most common motives for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visitation was 'combination treatment with other department in Korean Medicine Hospital'. Outer eye diseases were 283 cases, inner eye diseases were 198 cases. Dry eye syndrome, asthenopia, visual discomfort, conjunctivitis, and eye discomfort were most common in the outer eye diseases. Cataracts, Vitreous floater, Macular Degeneration, Glaucoma and Ocular Pain were most common in the inner eye disease. The most common parts of outer eye diseases were Conjunctival, lacrimal gland, paralytic, corneal, eyelid and front uveal, scleral disease and then in inner eye diseases parts, Retinal, lens, vitreous, glaucoma, optic nerve, behind uveal, choroid disease were most common. The number of funduscopy examination was ups and downs. Herbal medicine was the most common used. Conclusions : The funduscopy examination is essential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eye disease. We hope that the use of fundus examination and other ophthalmologic examination will be expanded soon in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개에서 제3안검 제거 후 전기소작법을 이용한 누점폐쇄 효과 (The Effect of Punctal Occlusion with Thermal Cautery after Third Eyelid Resection in Dogs)

  • 최장윤;박현정;이주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0-54
    • /
    • 2006
  • To evaluate the effect of punctal occlusion on tear preservation after third eyelid resection, 10 eyes were operated in dogs and observed changes in tear preservation using Schirmer tear test (STT). Punctal occlusion was performed on five healthy dogs with no clinical sings of ocular irritation and no history of dry eye syndrome. The STT was performed for 10 days before surgery, and on the day 0, 1, 3, 5, 7, 9, 11, 13, 17, 21, 25, and 30 after third eyelid resection. The mean STT was $17.4{\pm}0.15$ mm/min($mean{\pm}SEM$) for 10 days before surgery. And, it was $11.5{\pm}0.55$mm/min for 30 days after surgery in puntal occlusion(PO) group. The mean STT was $17.3{\pm}0.32$ mm/min for 10 days before surgery. And, it was more decreased to $6.5{\pm}0.60$ mm/min for 30 days after surgery in control group. The paired t-test was performed. Mean STT after the third eyelid resection was higher in PO group than that of control throughout experimental period (p<0.05). In summary, the effect of thermal punctal occlusion significantly increased on the tear preservation by $28.86{\pm}7.96%$. These results suggest that application of thermal punctal occulsion in dry eye syndrome will promote tear preservation.

새 학교 건물 내 실내공기질이 재실자의 안구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Indoor Air Quality on the Eye Conditions of Occupants in Newly-built University Buildings)

  • 김우재;김선덕;김효진;김호현;이철민;김윤신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01-207
    • /
    • 2011
  • 목적: 신축된 대학교 건물 내에서 수업 등을 수강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질이 안구증상 및 새집증후군 증상 등의 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법: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교 신축건물을 선정하여, 1개학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총 참여대상자는 33명이었고, 개개인의 특성 파악을 위해 사전 설문조사(성별, 연령, 흡연여부, 콘택트렌즈 착용여부, 음주여부 등)를 실시하였다. 1차 실내유해물질 및 연구조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설문조사(1차) 및 안구증상은 10월 학기 중에 실시하였고, 2차 조사는 2개월 후인 12월 학기말에 실시하였다. 실내공기질 측정은 1차 설문조사 시와 2차 설문조사 시 측정하였으며 실내공기 중 가스상 물질인 알데하이드류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측정하였다. 결과: 새 건물 내 실내공기질 평가항목 중 폼알데하이드는 1차 측정 시 22.90 ${\mu}g/m^3$, 2차 측정 시 16.79 ${\mu}g/m^3$로 감소되었고, 그 외 대부분 물질에서도 1차 입주 시 높은 결과를 보였다. 총휘발성 유기화합물은 1차 측정 시 448.54 ${\mu}g/m^3$, 2차 측정 시 62.55 ${\mu}g/m^3$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눈의 자극 증상은 안구증상 등 임상평가에서 1차와 2차 노출에 따른 연구참여자들의 건성안 유발이 확인되었으며, 1차와 2차 측정을 비교한 결과, 2차 측정시의 오전은 1차에 비해 건조감이 심해졌다. 결론: 재실자는 오전에 비해 오후에 건조안이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안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알데하이드류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실내공기질 측정결과와 안구증상과의 연관성에서 유해물질에 의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일관성 있는 결과는 도출되지 않았다.

신축사무실 내 식물 적용 후 재실자 안구 증상 및 실내공기질 평가 (Assessment of Indoor Air Quality and the Eye Symptom of Occupants in Newly-built Office Building after Planting Indoor Plants)

  • 김효진;김호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65-274
    • /
    • 2016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신축사무실 건물 및 재실자를 대상으로 식물적용에 따른 안구건조 증상 및 실내공기질 등에 대한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세종시 정부청사 신축건물 및 사무실 재실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식물적용에 따라 실내공기질을 측정하였으며, 휘발성유기화합물류와 알데하이드류 및 온 습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안구건조 증상은 Ocular surface disease index(OSDI)를 이용하여 정상, 경도, 중등도, 및 중증으로 분류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식물적용사무실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류의 감소율이 다소 높게 나타나 식물적용으로 인한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물적용 재실자에서 새건물증후군 증상 점수가 점차적으로 감소하였고, 식물미적용사무실 재실자에서는 새건물증후군 증상 점수가 상승하였다. 재실자의 안구건조설문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식물적용 사무실 내 유해물질의 감소효과가 있었고, 재실자를 통한 설문조사결과 안구건조 및 새건물증후군 증상에 긍정적인 효과는 있었다. 개인의 민감도 등에 의한 차이 및 현장조사로 인한 연구의 제한점 등을 보완한 장기 연구가 필요하다.

VR 기반 시기능 강화 콘텐츠 설계 및 제작 (Desing of VR Contents for Visual Function Enhancement)

  • 김용주;정상중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70-75
    • /
    • 2022
  • 각종 디지털 기기의 보급으로 현대사회는 기기들이 일상화되었다. 더욱이 COVID-19라는 팬데믹 동안 실내에 머무르면서 기기 사용량의 증가와 온라인 학습의 증가로 눈 피로도에 따른 어린이들의 근시 증가, 젊은 노안 증가, 안구 건조증과 같은 증상이 증가하고 있고, 이제는 눈 건강에 대한 관심이 예전과 다르다. 눈 건강에 대한 처방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VR 콘텐츠를 활용한 시기능 강화 훈련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시기능 강화 훈련에 관한 기존의 교구에 의한 아날로그 방법들을 디지털 콘텐츠로 기획 및 제작하였으며, 일반 시기능 훈련센터에서 교구를 가지고 진행하는 다양한 방법 중 콘텐츠화가 가능한 7가지의 방법을 선택하여 VR 기반의 훈련콘텐츠로 개발하였다. 각 콘텐츠의 훈련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훈련의 참여에 대한 피드백을 주기 위해 VR 기기에 아이트래킹을 적용하여 훈련 과정에 대한 관리와 집중도를 분석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습도 변화가 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umidity Changes on Eyes)

  • 한선희;김봉환;김소빈;김민정;박희경;김현지;김헌태;김형수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616-1624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anges in tear break-up time, accommodative response amount, and accommodative microwave on the eyes due to changes in humidity. Methods. A total of 48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s (21.1±1.56 years old) were surveyed on dry eye questionnaires (OSID questionnaires), tear destruction time was measured by humidity (40%, 60%, 80%), and controlled reactions and controlled fine waves were measured through tactile tests. Result. As a result of the OSID questionnaire, there were 10 normal patients, 8 mild dry eyes, 1 moderate dry eye, and 5 severe dry eyes. The initial tear film destruction time was 7.34±4.67 seconds at 40% humidity, 8.99±4.75 seconds at 60% humidity, 10.26±4.52 seconds at 80% humidity, and the average tear film destruction time was 9.51±4.07 seconds at 40% humidity, 10.99±3.82 seconds at 60% humidity, and 12.05±3.42 seconds at 80% humidity. The accommodative response was -0.41~1.79D at 40% humidity, -0.34~1.79D at 60% humidity, and -0.30~2.01D at 80% humidity. The accommodative microwave was measured as 56.39~63.43dB when it was 40%, 56.41~62.64dB when it was 60%, and 55.96 ~61.13dB when it was 80%. Conclusion. As the humidity (40~80%) increased, the tear break-up time increased, and as the accommodative stimulus amount increased, the accommodative response amount increased. It was found that the accommodative microwave according to the amount of accommodative stimulation increased, and as the humidity increased, the accommodative microwave de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