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moic acid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44초

HPLC에 의한 Domoic acid 분석법 검정 (Validation of the Analysis of Domoic Aci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목종수;이가정;송기철;김지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93-297
    • /
    • 2010
  • To prevent amnesic shellfish poisoning (ASP) resulting from the consumption of shellfish contaminated with domoic acid,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domoic acid is very important. We validated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method for accurate and precise quantification of domoic acid. A clear peak and the isolation of domoic acid resulted on injecting a 50% methanol extract of CRM-ASP-Mus-c mussel reference material using HPLC. The limit of detection of domoic acid under the established HPLC conditions was $0.10\;{\mu}g/g$, and the limit of quantification of the toxin under the same conditions was $0.25\;{\mu}g/g$. The intra-accuracy and precision for domoic acid in CRM-ASP-Mus-c were 90.7-95.7% and 0.28-22.25%, respectively. The inter-accuracy and precision for domoic acid were 89.1-97.1% and 1.7-4.1%, respectively. The mean recovery of domoic acid in methanol extracts from ten species of marine invertebrates was 88.6-1105.1%.

온도, pH 및 빛에 대한 Domoic Acid의 안정성 (Stability of Domoic Acid at Different Temperature, pH and Light)

  • 목종수;이태식;오은경;손광태;황혜진;김지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8-14
    • /
    • 2009
  • To prevent the food poisoning originated by consumption of shellfish contaminated with domoic acid,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domoic acid is to be very important. The stability of domoic acid at different temperature, pH and light was investigat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mean recoveries of domoic acid in the methanol extracts from oyster (Crassostrea gigas), blue mussel (Mytilus edulis), short neck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and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were 85.4-104.5%, 94.8-101.2%, 91.0-104.6%, and 95.7-109.6%, respectively. The working solutions of domoic acid standard were very stable for one month at $-18^{\circ}C$, $4^{\circ}C$, and room temperature. And domoic acid in the methanol extract from oyster was stable for a day at $4^{\circ}C$ and room temperature, and for a week at $-18^{\circ}C$. Therefore, this implies that quantitative analysis for domoic acid must consider the storage conditions of the standard solutions and the methanol extracts from shellfish. The standard solutions adjusted to pH 3-9 were also stable after heating at $121^{\circ}C$ for 30 min. The effect of light exposure on domoic acid was tested by exposing the methanol extracts to light. Domoic acid degraded slowly when the samples were kept in the dark (brown vial). However, following the light exposure the photodegradation became more rapid; no detectable domoic acid remained in $1.0{\mu}g/mL$ of methanol extract after 5 hours.

국내산 패류의 신경독소 domoic acid 검색 (Screening of Domoic Acid, a Marine Neurotoxin, in Korean Shellfishes)

  • 고은미;권훈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130-1133
    • /
    • 2002
  • Domoic acid는 기억 상실성 패독으로 알려진 신경독소로서 위장관에서 흡수되어 중추신경계에 손상을 주어 기억 상실을 야기한다고 알려져 있다. 미국 FDA와 캐나다 보건 후생성은 가식부 g당 $20\;{\mu}g$으로 조개류의 domoic acid 함량을 법적으로 규제하고 있다. 돌말류인 Nitzschia pungens f. multiseries에 의하여 생성된 domoic acid는 조개에 섭식되면서 축적이 일어난다. Nitzschia pungens f. multiseries는 우리나라 남부 해안에 5월경 발생하는 식물성 플랑크론이다. 조개의 섭취량이 높은 한국인의 domoic acid에 대한 노출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복족류인 삐뿔 고동과 이매패류인 굴, 바지락, 백합, 가무락, 동죽, 피조개, 홍합, 피조개, 가리막조개, 비단조개, 고막을 1999년 5월, 6월, 7월, 8월, 10월, 12월에 수집하였다. Domoic acid의 미국 및 캐나다의 법적 규제치인 $20\;{\mu}g/g$에 상응하는 농도를 기준으로 조개 시료에 $80\;{\mu}g$을 첨가하고 추출한 결과 회수율은 $95.80%({\pm}1.09)$이었으며 검출 한계는 50 ng/g이었다. 수집된 68개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는 않았지만 한국인이 전혀 노출되지 않았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앞으로 우리나라에서도 기억 상실을 나타내는 식중독 사건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기억 상실성 패류 독소에 의한 식중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고체상 추출 전처리 및 HPLC-UV를 이용한 수산물 중 domoic acid의 분석 (Determination of Domoic Acid in Seafood Matrices using HPLC-UV with Solid Phase Extraction Cleanup)

  • 김시은;이상유;박지은;정현진;전향숙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297-304
    • /
    • 2023
  • 본 연구는 패류 독소 중 기억상실성 독성을 유발하는 domoic acid의 분석법 개선, 검증 및 분석적용성을 살펴보았다. SAX 카트리지 정제, 검체 및 추출용매 양의 변경과 더불어 이동상을 용매구매 조건으로 변경시킨 분석법은 지중해담치, 홍게 그리고 멸치의 세 가지 매트릭스를 대상으로 세 농도에 대하여 식품공전법과 비교하여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변경된 분석법은 LOD 0.02-0.03 mg/kg, LOQ 0.05-0.09 mg/kg, 일내 및 일간 정확도 86.2-100.4%와 일내 및 일간 정밀도 0.2-4.0%로 CODEX가이드라인을 만족하는 우수한 분석능을 나타내었다. 특히 변경된 시험법에서는 domoic acid와 유사한 머무름 시간을 갖는 방해물질이 검출되지 않아 위양성 결과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 나아가 본 분석법이 국내 유통 중인 수산물을 대상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식품공전의 기억상실성 패독 분석법과 함께 수산물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5종의 수산물 87건 중 공전시험법으로 분석했을 때 domoic acid가 검출된 시료는 없었으나 변경된 분석법을 통하여 멸치 1건에 대하여 0.14 mg/kg의 domoic acid이 미량 검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확립된 분석법은 수산물 중 domoic acid 분석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 진해만 해역 생산 패류 중 기억상실성패류독소 분석 (Analysis of Amnesic Shellfish Poisoning (ASP) in Shellfishes from Jinhae Bay in Korea)

  • 조성해;김동욱;유헌재;천윤혜;윤민철;목종수;이가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21-326
    • /
    • 2024
  • This study analyzed domoic acid (DA), the causative agent of amnesic shellfish poisoning (ASP), in shellfish produced in Jinhae Bay, Korea. From January 2018 to December 2020, samples were collected at least once a month from 10 sites in Jinhae bay. This included 170 mussels Mytilus galloprovincialis and 241 oysters Crassostrea gigas. Domoic acid was detected in some samples in collected 2018 and 2019; however, all levels were significantly below the regulatory level of 20 mg/g. Domoic acid was not detected until 2020.Moreover, the detection trend of domoic acid did not show a clear correlation with the shellfish species or season. Calculation of body exposure to domoic acid through shellfish consumption showed that it was below the health-based guidance values in all case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on domoic acid in shellfish produced in shellfish growing areas and as policy data for the supply of safe seafood. In addition,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changes in marine biotoxins due to changes in aquatic environments, continuous monitoring is necessary.

Investigation of Domoic acid in Shellfish Collected from Korean Fish Retail Outlets

  • Choi, Kyu-Duck;Lee, Jong-Soo;Lee, Jong-Ok;Oh, Keum-Soon;Shin, Il-Shi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4호
    • /
    • pp.842-84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xtent of domoic acid (DA) a potent neurotoxin, responsible for the syndrome amnesic shellfish poisoning (ASP) contamination of various species of bivalve shellfish purchased from fish market in Korea and the implications for food safety. Liquid chromatography (LC) methods were applied to quantify DA in shellfish after sample clean-up using solid-phase extraction (SPE) with strong anion exchange (SAX) cartridges. Toxin detection was achieved using photodiode array ultraviolet (LC-UV) and electrospray ionization-mass (LC-ESI-MS). DA was identified in 4 bivalve shellfishes of 872 shellfishes collected from March, 2006 to October, 2007 in Korea. DA amount of 3 surf clams (Mactra veneriformis) collected at Seoul, Daejeon, and Daegu were 4.13, 1.99, and 1.94 mg/kg, respectively. DA amount of 1 pink butterfly shell (Peronidia venulosa) collected at Seoul was 3.02 mg DA/kg. The amounts of DA that were present in 4 bivalve shellfishes were within EU guideline limits for sale of shellfish (20 mg DA/kg).

통영 연안의 잠재독성 Pseudo-nitzschia 출현종 (Potentially toxic Pseudo-nitzschia species in Tongyeong coastal waters, Korea)

  • 박종규;김응권;임월애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4권3호
    • /
    • pp.163-170
    • /
    • 2009
  • Pseudo-nitzschia 속의 일부 종은 신경독 domoic acid(DA)를 생산하여 기억상실성 패독을 일으킨다. 이들의 잠재적인 독성 피해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아직 출현종의 조성과 그 출현 시기가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통영 연안해역에 출현하는 Pseudo-nitzschia 속의 종조성과 출현 시기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8년 5월부터 11월까지 격주 간격으로 시료를 채집하여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종은 P. americana, P. brasiliana, P. caciantha, P. calliantha, P. cuspidata, P. delicatissima, P. micropora, P. multiseries, P. multistriata, P. pseudodelicatissima, P. pungens, P. subfraudulenta, P. subpacifica로 모두 13종이었다. 월별 출현종은 5월에 4종으로 가장 적었고, 그 이후 조금씩 증가하여 9월에 12종으로 최고에 이르렀으며, 9월 이후로 다시 감소하여 11월에는 5종만 출현하였다. 출현종 중 6종, P. americana, P. brasiliana, P. caciantha, P. calliantha, P. micropora, P. pseudodelicatissima는 5종만 출현하였다. 출현종 중 6종, P. americana, P. brasiliana, P. caciantha, P. calliantha, P. micropora, P. pseudodelicatissima는 국내 연안에서 처음 보고하는 종이며, P. calliantha, P. cuspidata, P. delicatissima, P. multiseries, P. multistriata, P. pungens 6종은 문헌상 DA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진 잠재 독성종이다. 통영 연안에서 이들의 독성 여부는 확인 하지 못하였다.

유통 패류의 중금속 및 패류독소 분석 (Analysis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and Shellfish Poisoning Toxins in Marketed Shellfishes)

  • 김정은;황선일;이성봉;신상운;권혜정;이지연;이병훈;모아라;최옥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59-16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유통 패류 104건을 대상으로 중금속(납, 카드뮴, 수은) 및 패류독소(설사성 패류독소, 기억상실성 패류독소) 실태조사를 하였다. 중금속 분석 결과, 납의 검출범위는 0.0177-0.5709 mg/kg, 카드뮴의 검출범위는 0.0226-1.4602 mg/kg, 수은의 검출범위는 0.0015-0.0327 mg/kg이었으며, 모두 국내 기준 이하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설사성 패류독소 모니터링을 위해 okadaic acid와 dinophysistoxin-1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104건 모두 불검출이었다. 기억상실성 패류독소인 domoic acid를 분석한 결과, domoic acid가 검출된 것은 5건으로 4.8%의 검출률을 보였다. 기억상실성 패류독소가 검출된 시기는 각각 1월 1건, 2월 1건, 5월 1건, 9월 2건이 검출되어 패류독소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 패류 내 중금속은 기준 규격 이내로 안전한 수준이라 하더라도 중금속 오염에 대한 지속적인 안전관리가 필요하고, 향후 수산물 중금속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