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cosahexaenoic acid(DHA)

검색결과 276건 처리시간 0.024초

장용성 연질 캡슐 오메가3 지방산의 흡수율 평가 (Absorption Evaluation of Enteric Coated Capsules Containing Omega 3 Fatty Acids)

  • 박으뜸;박유헌;박성선;서형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027-103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혈액 내에서의 오메가-3 지방산의 함량 변화를 측정하여 연질 캡슐과 장용성 캡슐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Fish oil 중의 EPA와 DHA의 총합의 함량이 62.87 g/100 g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연질 캡슐의 경우, 제 1시험액(위액)에서는 내부의 지방이 70% 용출된 반면, 장용성의 경우 10% 정도만이 용출되었다. 제 2액(소장액)에서도 6시간까지 50% 정도 용출되어 90분에 50%가 용출된 일반 연질 캡슐과 대조적이었다. 기존에 사용하였던 연질 캡슐의 EPA 및 DHA는 흡수 초기에 장용성 캡슐에 비하여 다소 높은 비율을 보인 반면, 8시간 이후 장용성 캡슐 섭취한 경우 EPA와 DHA의 혈액내 함량이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경구 투여 48시간 후 지방산 조성은 장용성 캡슐에서는 mono-, poly-unsaturated fatty acid 혈액 내의 함량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saturated fatty acid 함량 역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EPA와 DHA의 함량은 혈액 내에서 각 지방 분획에서의 함량 차이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힘들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장용성 캡슐은 위장관을 통과하여 장에서 용출되는 특성 때문에 지속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Carrot Juice Administration Decreases Liver Stearoyl-CoA Desaturase 1 and Improves Docosahexaenoic Acid Levels, but Not Steatosis in High Fructose Diet-Fed Weanling Wistar Rats

  • Mahesh, Malleswarapu;Bharathi, Munugala;Reddy, Mooli Raja Gopal;Kumar, Manchiryala Sravan;Putcha, Uday Kumar;Vajreswari, Ayyalasomayajula;Jeyakumar, Shanmugam M.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1권3호
    • /
    • pp.171-180
    • /
    • 2016
  •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s one of the most prevalent liver diseases associated with an altered lifestyle, besides genetic factors.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NAFLD mostly depend on lifestyle modifications, due to the lack of a specific therapeutic approach. In this context, we assessed the effect of carrot juice on the development of high fructose-induced hepatic steatosis. For this purpose, male weanling Wistar ra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fed either a control (Con) or high fructose (HFr) diet of AIN93G composition, with or without carrot juice (CJ) for 8 week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al period, plasma biochemical markers, such as triglycerides,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beta}$-hydroxy butyrate levels were comparable among the 4 groups. Although, the liver injury marker, aspartate aminotransferase, levels in plasma showed a reduction, hepatic triglycerides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reduced by carrot juice ingestion in the HFr diet-fed rats (HFr-CJ). On the other hand, the key triglyceride synthesis pathway enzyme, hepatic stearoyl-CoA desaturase 1 (SCD1), expression at mRNA level was augmented by carrot juice ingestion, while their protein levels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which corroborated with decreased monounsaturated fatty acids (MUFA), particularly palmitoleic (C16:1) and oleic (C18:1) acids. Notably, it also improved the long chain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 docosahexaenoic acid (DHA; C22:6) content of the liver in HFr-CJ. In conclusion, carrot juice ingestion decreased the SCD1-mediated production of MUFA and improved DHA levels in liver, under high fructose diet-fed conditions. However, these changes did not significantly lower the hepatic triglyceride levels.

Fatty Acids and Protein Recovery of Squid Viscera wit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Park, Ji-Yeon;Back, Sung-Sin;Chun, Byung-Soo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206-212
    • /
    • 2006
  •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SCO_2$) extraction was investigated as a method for protein-sourcing material from squid viscera. To find the optimum conditions, the extraction of squid viscera using $SCO_2$ wa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of temperature range from 35 to $45^{\circ}C$ and constant pressure 25 MPa using Hewlett-Packard 7680T. Also from result of SDS-PAGE, the protein denaturation was minimized when using $SCO_2$ extraction. And the major amino acids in the squid viscera wer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leucine, arginine, alanine, glycine, isoleucine, and valine. The main fatty acids from squid viscera were 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heneicosanoic acid, palmitoleic acid, elaidic acid, oleic acid, eicosenoic acid, EPA (eicosapentaenoic acid), and DHA (docosahexaenoic acid).

  • PDF

배양환경에 따른 Thraustochytrium aureum(ATCC34304)의 DHA(docosahexaenoic acid)생산과 성장특성

  • 박천의;조대원;김호중;허병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34-437
    • /
    • 2001
  • 배양 조건으로 온도는 4, 11, 18, 24, $32^{\circ}C$로 배양하여, $24^{\circ}C$에서 Lipid 내에 약 42.3%의 DHA 최대 수율을 보였으며, 교반속도는 50, 100, 150, 200rpm 으로 실험하여 l00rpm에서 최대수율로 42.1% 올 얻었다. 초기 당농도는 5, 8, 11, 14, 17, 23, 29, 35g/L로 주어 8g/L에서 Lipid 내 DHA 농도가 43.1%로 나타났으며, N/C 비율은 glucose 5 g/L로 고정하여0.1, 0.2, 0.4, 0.6, 0.8 에서 38-40 % 로 거의 일정하게 나타났다.

  • PDF

당농도 및 염농도가 해양미생물 Thraustochytrium aureum ATCC 34304의 성장 및 지질과 DHA 생성에 미치는 영향 규명 (The Effect of Concentration of Glucose and Salts on both the Growth and the production of Lipid and DHA of Thraustochytrium aureum ATCC 34304)

  • 김원호;정영수;박천익;허병기
    • KSBB Journal
    • /
    • 제20권4호
    • /
    • pp.271-27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당의 초기농도는 물론 NaCl과 $MgSO_4{\cdot}7H_2O$의 농도가 T. aureum ATCC 34304 균주의 성장특성, 지질의 생성특성 및 DHA의 생성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당농도 15 g/L까지는 당농도가 증가하면 균체증가량에 대한 지질증가량의 비율인 $Y_{Lipid/X}$간과 지질증가량에 대한 DHA 증가량의 비율인 $Y_{DHA/Lipid}$ 값이 모두 증가하였다. $Y_{lipid/X}$$Y_{DHA/Lipid}$의 최대값은 0.18 g/g 과 0.41 g/g을로 모두 당의 초기농도 15 g/L에서 나타났다. 반면 균체수율인 $Y_{x/s}$ 값은 당의 초기농도 변화에 관계없이 0.378 g/g으로 일정하였다. 당의 농도변화에 대한 균체의 비성장속도 역시 당농도 15 g/L까지는 최대 $0.79\;day^{-1}$까지 증가하였으나, 20 g/L에서는 $0.57\;day^{-1}$로 감소하였으며, 그 이상의 당농도에서는 증감현상을 나타내지 아니하였다. 해수배지 조성을 기본으로 하고 NaCl 농도를 0.1 g/L에서 48 g/L까지 변화시켰을 때 NaCl의 농도가 0 g/L인 경우 균체의 성장, 지질의 생성 및 DHA의 생성이 모두 정지되었으며, NaCl 24 g/L에서 균체성장, 지질생성 및 DHA의 생성이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기본해수배지 조성에 $MgSO_4{\cdot}7H_2O$의 농도를 0 g/L에서 24 g/L까지 변화시켰을 때, $MgSO_4{\cdot}7H_2O$ 0 g/L에서는 균체성장, 지질생성 및 DHA 생성이 정지되었으며, $MgSO_4{\cdot}7H_2O$ 18 g/L에서 균체성장, 지질생성 및 DHA의 생성이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어미 쥐의 $\omega$3계 및 $\omega$6계 지방산 식이가 제2세대 쥐의 뇌조직 지방산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ternal Dietary $\omega$3 and $\omega$6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Second Generation Rat Brain)

  • 김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6권6호
    • /
    • pp.661-671
    • /
    • 1993
  • The change in fatty acid composition in brain tissue of the second generation rats(Sprague-Dawley strain) was studied using four different fat diets(Corn oil=CO, Soybean oil=SO, Perilla oil=PO, Fish oil=FO, 10% by Wt). The experimental diets were started from pregnancy in four different groups, each consisting of 9 rats. The seound generation rats were fed the same diet as their mothers. Animals were anesthetized with ether at 0, 3, 9 & 16 weeks of age. Whole brains were dissected out, brain tissues were, then, homogenized and lipids were extracted from brain tissues. The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measured after methylation by gas-liquid chromatography at 0, 3, 9 and 16 weeks of age of offspring. The changes in the relative concentration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PUFA) or more specifically docosahexaenoic acid(22 : 6, $\omega$3, DHA), the major $\omega$3 fatty acid component in rat brain at different age were similar to changes in the amount of DNA in brain tissue showing the maximum value during the lactation. The changes in saturated fatty acid(SFA) content showed a contrasting patten to those of PUFA, while monounsaturated fatty acid(MUFA) increased steadily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At birth, the relative concentrations of $\omega$3 series fatty acids the relative concentrations of PUFA, MUFA and SFA converged to very similar values respectively regardless of the dietary fatty acid compositions. In brain tissue, it is of value to note that while changes in relative concentrations of linoleic acid (18 : 2, $\omega$6, LA) and arachidonic acid(20 : 4, $\omega$6, AA) showed a precursor-product-like relationship, $\alpha$-linolenic acid(18 : 3, $\omega$3, $\alpha$-LnA) and DHA showed a different pattern. Even when the $\omega$3 fatty acid content in very low in maternal diet(CO), the second generation rat brain tissues appeared to secure DHA content, suggesting an essential role of this fatty acid in the brain. The fact that a large amount of $\alpha$-LnA in the maternal die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cond generation rat brain $\alpha$-LnA content, indicated that DHA seemed essential component for the brain development in our experimental condition. In all groups, the relative content of $\alpha$-LnA in the brain tissues remained relatively constant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at the very low level. The study of the specific concentrations and essential role(s) of DHA in each parts of brain tissue is needed in more details.

  • PDF

다양한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영양강화가 태평양 대구(Gadus macrocephalus) 자어의 성장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Rotifer Enrichment Products on Survival, Growth,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Larval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 최진;한경식;변순규;임현정;이창환;이다연;김희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530-537
    • /
    • 2020
  • This study compared the survival rates, growth, and fatty acid content of larval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fed with rotifers raised on different enrichment diets. We used four commercial rotifer enrichment products (one domestic, ER1, and three imported, ER2, ER3 and ER4). Twelve 200-L tanks were used, with three replicates per treatment. Larvae were fed rotifers 3 times daily at a rate of 5 rotifers/ml/feeding from 7 to 21 days post-hatch. At the end of the feeding trial, the survival rate and total length of larvae fed ER3 were greater than those of larvae fed ER1, ER2, or ER4. ER3 had the highest proportions of eicosapentaenoic acid (EPA), docosahexaenoic acid (DHA), and polyunsaturated acid (PUFA). Partially reflecting this composition, larvae fed ER3 had the highest proportions of DHA and PUFA. These results show a positive effect of rotifer DHA and PUFA proportions on the survival and growth rates of Pacific cod larvae.

오메가-3 지방산에 의한 COX-2/MMPs/VEGF 억제에 따른 대장암세포의 종양 형성 및 침윤 억제 (ω3-Polyunsaturated Fatty Acids-induced Inhibition of Tumorigenicity and Invasion by Suppression of COX-2/MMPs/VEGF through NF-kB in Colon Cancer Cells)

  • 신소연;김용조;한승현;프라산타;허준영;전영주;박승길;권기량;박종일;임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1020-1030
    • /
    • 2017
  • 대장암은 미국 등 서양 국가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2번째로 많이 발병이 되는 암으로 알려져 있다. 역학조사에 의하면 오메가-3를 많이 섭취한 인종에서 대장암 발생빈도가 감소하고 최근 오메가-3는 수종의 암에 대해 항암작용을 나타낸다고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장암에서 DHA의 항침윤, 항혈관 신생 및 항종양 형성능 억제의 기전을 규명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DHA는 인체 대장암 세포주 HT29 의 증식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나 AA는 거의 영향이 없었다. FACS 분석에서 DHA 처리했을 때 Sub G1 phase의 세포가 DHA의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 하였다. DHA 처리 후 cleaved PARP가 증가하고, uncelaved caspase-3가 감소 하였다. HT29 세포의 침윤능은 DHA 처리에 의해 억제 되었다. DHA 처리 후 MMP-9 및 MMP-2 mRNA양이 감소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promoter의 reporter 활성도 억제하였으며 VEGF promoter 활성도 DHA에 의해 억제 되었다. NF-kB promoter 활성 및 핵으로의 이동도 DHA에 의해 억제 되었다. In vivo 동물실험에서 생쥐 대장암 세포주인 MCA38에 대한 Fat-1 transgenic mice에서의 종양 형성능은 현저히 억제 되었다. 면역형광염색법을 이용한 Fat-1 transgenic mice의 종양 조직에서의 TUNEL 양성세포는 wild type mice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CD31의 형광강도는 감소 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오메가-3는 대장암 세포에서 NF-kB 억제에 따른 COX-2, MMP-2 및 MMP-9 등 matrix matalloproteinase의 억제를 통한 침윤능의 억제, VEGF 억제를 통한 혈관신생의 억제등 복합적 기전에 의해 항암작용을 나타내리라 생각되며, 따라서 오메가-3는 대장암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양식산 넙치의 백화현상에 따른지질 및 지방산의 비교 (Comparison of lipid and Fatty Acid by Appearance of Albinism in Culture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종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02-507
    • /
    • 1999
  • Albinism is a phenomenon that color of the body surface is changed to white or faint brown from the specific color to the species by difficiency of pigments due to mutation or disea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xperimental basis on the appearance of albinism in culture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he skin and muscle, from the normal and albinic flounder were used by measuring contents of lipid and fatty acid, Contents of lipid and fatty acid in the skin and muscle are different from normal and albinic flounder. Contents of lipid in the skin were higher than those of muscle from flounder. The major fatty acids in both skin and muscle were palmitic acid, oleic acid docosahexaenoic acid (DHA) and eicosapentaenoic acid(EPA).

  • PDF

사료 중 크릴 밀이 채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박인경;김재환;임진택;고태송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 /
    • pp.92-93
    • /
    • 2002
  • 본 연구는 크릴 밀의 급여기간이 채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크릴 밀이 함유된 사료를 채란계에 급여하여 생산된 계란의 난황내 지방산의 전이와 아스타키산친이 난황내로 전이되는지에 대하여 GC로 지방산 검출을 그리고 HPLC로 아스타키산친 및 아스타키산친 유사물질을 검출하였다. 채란계에 크릴 밀 사료는 산란율, 사료섭취량, 사료효율에 유의하게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크릴 밀 사료섭취량은 기초 사료보다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채란계에 크릴 밀을 급여한 계란의 난황에서 지방산에서 EPA와 DHA를 검출할 수 있었고, 아스타키산친과 유도체의 함량이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