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bled people with brain les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교합 거상판을 이용한 뇌병변장애 환아의 자해성 구강 손상의 치료 (TREATMENT OF SELF-INJURIOUS LIP BITING WITH POSTERIOR BITE BLOCK APPLIANCE IN A BRAIN LESION PATIENT)

  • 전혜림;송제선;이제호;이효설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3-96
    • /
    • 2014
  • 본 증례를 통하여 뇌병변 장애 1급 환아에 자해성 구강손상이 발생한 경우 치료에 대해 고려할 점은 다음과 같다. 뇌병변 장애 1급을 포함하는 의식 저하 환자에서는 혀, 입술 씹기 등의 자해성 구강손상 발생 빈도가 높다. 연성 구강보호장치의 용이성으로 우선적으로 고려될 수 있으나, 연성 구강 보호 장치로 병소가 개선되지 않을 경우, 교합 거상판을 포함한 아크릴릭 레진 가철성 장치를 고려할 수 있다. 교합 거상판을 포함하는 아크릴릭 레진 가철성 장치 장착이후 구강 위생 관리 및 치료 부위 유지를 위해 주기적인 치과 검진이 필요하다.

성인학습자의 자신감 향상을 위한 융합프로그램 진행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Adult Learners' Performance Experience of Convergence Program for Self-Confidence Improvement)

  • 박선희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49-55
    • /
    • 2022
  •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가 주간보호센터 이용 성인 뇌병변 장애인 대상으로 자신감 향상을 위한 융합프로그램 진행 경험의 의미와 본질이 어떤 것인지 파악하고자 질적연구로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뇌병변 장애인 대상으로 자신감 향상을 위한 융합프로그램 진행 경험한 3명의 성인학습자를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 수집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총 5회기로 90분씩 진행하였고 자료 분석으로 구성된 의미 24개, 하위주제 6개, 상위주제 3개로 범주화하여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성인 뇌병변 장애인 대상 자신감 향상을 위한 융합프로그램 진행 경험이 처음이라 '시작의 긴장감'으로 범주화하여 도출하였다. 둘째, 성인학습자들이 성인 뇌병변 장애인 대상으로 자신감 향상을 위한 융합프로그램 진행하면서 자신, 가족, 이웃 사랑하는 마음이 생겨 '함께하는 즐거움'으로 범주화로 도출하였다. 셋째, 자신감 향상을 위한 융합프로그램을 성인 뇌병변 장애인 대상으로 진행하면서 전공과 나 자신을 들여다보는 '현재의 나'로 범주화하여 구성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학습자들이 성인 뇌병변 장애인 대상으로 자신감 향상을 위한 융합프로그램 진행 경험으로 장애인에 대한 인식변화를 비롯하여 대학 생활의 동기부여와 학습 동기 강화에 활용할 수 있기를 제언하였다.

가정방문물리치료가 재가장애인의 일상생활동작과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on Activites of Daily Living and Function in Disabled Persons Living at Home)

  • 박승규;지혜영;허재원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3권2호
    • /
    • pp.61-68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ffectiveness and the necessity of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through examining performance ability and functional changes in daily life activities by investigating the life of disabled persons living at home. Methods: After selecting 100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greater than level 3 and brain damage related disabilities living in Youngam-Gun, we conducted mobility tests according to a Modified Bathel Index (MBI), the Berg Balance Scale (BBS), and floor and bed movements?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evaluation. We did this before the experiment and after doing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for 90 minutes at a time, once a week for 6 months Results: 1) Persons who live in a bed are higher than those who live in a floo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rsons who live in a floor and those who live in a bed in the change in MBI and BBS scores after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2) Those with a musculoskeletal disorder had a significantly different change in MBI and BBS according to the type of disease and kind of disability. Those with neuropathy had a significantly different change in MBI. Those with physical disabiliti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BI and BBS. Conclusion: A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ist can cause an improved performance ability and lead to the ability of disabled persons living at home to carry out activities of daily livingin a large part and the study for brain lesion disabilities except physical disabilities and stroke which occupy large proportion of disabled persons should be done.

일측성 무시 증후군 치료에 대한 고찰 (Treatments of Unilateral Neglect Syndrome: Review)

  • 신두철;채순엽;김주상;이윤섭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6권2호
    • /
    • pp.156-168
    • /
    • 2004
  • Unilateral neglect is a common behavioral syndrome in patients following stroke. Unilateral neglect is characterized by the failure to report or responds to people or object presented to the side opposite a brain lesion. The patients with unilateral neglect are severely disabled in all daily activities, have a poor rehabilitation outcome and therefore require professional assessment and treatment This article reviews recent efficacy of rehabilitation techniques includings; drug, cueing, scanning training, prism lense, eye patching, trunk rotation, neck vibration, TENS, limb activation, video feedback. The purpose of this reviews are: to clarify the different types of neglect, as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tests and measures of unilateral neglect and give information about recent treatments.

  • PDF

FIATS-AS를 활용한 자세보조기구의 기능적 효과평가 (Clinical Outcomes of Associated with Adaptive Seating Device Using FIATS-AS)

  • 권혁철;공진용
    • 재활복지
    • /
    • 제18권4호
    • /
    • pp.207-220
    • /
    • 2014
  • 본 연구는 지체 및 뇌병변 장애를 가진 아동(1~13세)에게 제공된 자세보조기구의 효과를 아동을 보살피는 보호자 관점에서 효과를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장애아동의 보호자 42명을 대상으로 FIATS-AS(Family Impact Assistive Technology Scale for Adaptive Seating)를 이용하여 자세보조기구의 효과성을 보호자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기구 지원전 2번의 조사, 기구 지원 이후 2번의 조사 총 4번의 조사를 실시하여 반복측정을 통한 FIATS-AS 점수를 비교하였다. 또한 영유아(1~3세), 미취학(4~7세), 취학(8~13세)으로 3가지 연령대로 분류하여 연령대 간의 점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검증결과 자세보조기구의 제공은 장애아동의 보호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대에 따른 변화차이를 본 결과 1~7세의 취학 전 어린 연령대의 장애아동 보호자에서 의미있는 변화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자세보조기구는 아동에게 환경으로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아동에 대한 보호자의 지원수준을 경감시킬 수 있는 의미있는 도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자세보조기구와 같은 환경조정은 장애인과 보호자의 삶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