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methyl naphthalene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19초

DMT(Dimethylterephthalate), NDC(Dimethy1-2,6-Naphthalene Dicarboxylate)를 이용한 액상 폴리에스터 폴리올의 합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ynthesis of Liquid Polyester Polyol by using DMT(Dimethylterephthalate) and NDC(Dimethyl-2,6-Naphthalene Dicarboxylate))

  • 김상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17-327
    • /
    • 2009
  • In this study DMT(Dimethylterephthalate), NDC(Dimethyl-2, 6-Naphthalene Dicarboxylate) were used to synthesize polyester polyol which shows enhanced storage stability, improved flame retardancy, and good compressive strength. If DMT and NDC react respectively with DEG(Diethylene Glycol) which is kind of linear diol, the obtained polyester polyols tend to crystallize easily after the reaction. In case of DMT, PA(Phthalic Anhydride) which has asymmetric structure was introduced to retard the crystallization. In case of NDC, DPG(Dipropylene Glycol) which has an methyl side chain was introduced to prevent the crystallization. It was found that to introduce DPG was much more effective method to prevent the crystallization than PA. NDC and DMT were reacted together with DPG for various compositions of NDC:DMT(8:2, 6:4, 4:6 mol ratio). The obtained NDC-DMT-DPG based polyester polyol showed improved flame retardancy, and good compressive strength with increasing the content of NDC.

나프티온산 유도체의 합성 및 계면활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ynthesis and Surface Activities of Naphthionic Acid Derivatives)

  • 손주환;박정환;김유옥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5-71
    • /
    • 1986
  • Four amphoteric surfactants, 1-(N-alkyl-N,N-dimethyl ammonio)-4-naphthalene sulfonates, were prepared by the alkylation of 1-(N,N-dimethylamino)-4,naphthalene sulfonic acid with chloroalkanes such as 1-decylchloride, 1-tetradecyl chloride and 1-hexadecyl chloride. These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such as 1-(N-decyl-N, N-dimethylammonio)-4-naphthalene sulfonate, 1-(N-dodecyl-N,N-dimethylammonio)-4-naphthalene sulfonate, 1-(N-tetradecyl-N,N-dimethylammonio)-4-naphthalene sulfonate and 1-(N-hexadecyl-N,N-dimethylammonio)-4-naphthalene sulfonate could be separated by means of thin layes chromatography and column chromatography. The surface chemical properties such as surface tension, foaming power, foam stability, wetting efficiency and solubilizing effect for these four compounds were measured. Also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and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HLB) were evaluated. These compounds showed good surface as O/W type emulsifying agent and detergent.

GC-MASS 분석과 미생물 균수 차이에 의한 희아리 고춧가루 판별 (GC-MASS Analysis and Microbial Enumeration for the Identification of Spoiled Red Pepper Powder)

  • 정수진;한상배;엄태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91-197
    • /
    • 2008
  • 희아리 고춧가루에 특징적인 표지자를 찾기 위하여 GC/MASS분석, 고춧가루 표면 분석, 미생물 계수법을 수행하였다. 희아리 고춧가루는 정상 고춧가루에서는 발견되지 않은 분자량 204의 1,2,3,5,6,7,8,$8\alpha$-octahydro-1,$8\alpha$-dimethyl-7-(1-methylethenyl)-naphthalene과, 분자량 204의 2-isopropenyl-$4\alpha$,8-dimethyl-1,2,3,4,$4\alpha$,5,6,$8\alpha$-octahydronaphthalene을 함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희아리 시료간의 함량 차이가 10배 이상으로 컸고, 낮은 함량을 지닌 희아리로 불량고춧가루를 제조 시 검출 기준 이하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희아리의 전자 현미경 사진은 정상고추의 매끈한 표면과는 다르게 가루 표면이 거칠고 수많은 미생물이 자라고 있음을 보였다. 한편 희아리는 10%(w/w) 희아리가 혼합된 불량고춧가루 경우에도 정상고춧가루와 확실히 구분되는 세균 및 효모/곰팡이 균수의 증가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이 3가지 기술에 의한 정성 정량적인 결과를 상호 보완적으로 분석하는 경우 불량고춧가루 판정은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나프탈렌 및 그 유도체들과 클로라닐의 전하이동 착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ge-Transfer Complexes of Naphthalene and Derivatives of Naphthalene with Chloranil)

  • 문정대;장춘학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35-343
    • /
    • 1993
  • 나프탈렌, ${\alpha}$- 또는 ${\beta}$-메틸 나프탈렌 그리고 1,2- 1,3- 또는 2,6-디메틸나프탈렌과 클로라닐의 전하이동 착물의 흡수 극대 파장은 염화에틸렌,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용매에서 그리고 10, 15, 20, 25$^{\circ}C$ 온도에서 자외선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하였다. 이 전하이동착물은 1:1 분자비로 결합하였으며 흡수극대 파장은 용매의 극성과 온도에 따라 변하였고, 형성상수(K$_f$)는 용매의 극성 그리고 온도가 증가함에 감소하였다. 이와같이 온도 및 용매가 형성상수에 미치는 효과를 열역학적 고찰로써 논의하였으며, 또한 전자주개들의 전자 및 입체 효과가 형성상수에 미치는 영향도 논의하였다.

  • PDF

Photoelectron Transport Across Phospholipid Liposomes Pigmented by Anthracene and Naphthalene Derivatives

  • Lee, Yong-Ill;Kwon, Hwang-Won;Shin, Dae-Hyon;Yoon, Min-Joo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7권2호
    • /
    • pp.120-124
    • /
    • 1986
  • In order to investigate effective solar energy conversion system, the light-induced electron transfer reactions have been examined across single-lamellar liposomes incorporated organic photosensitizers such as anthracene and naphthalene derivatives. We have observed photosensitized reduction of methyl viologen (1,1'-dimethyl-4,4'-$bipyridinium^{2+}$) dissolved in the exterior aqueous phase of the pigmented phospholipid liposomes when EDTA, as electron donor, is dissolved in the enclosed aqueous phase of the liposomes. The anthroyl stearic acid incorporated in the hydrophobic bilayer of liposomes leads to much less quantum yield for the photosensitized reduction of $MV^{2+}$ than the anthracene carboxylate incorporated in the outer hydrophilic layer. However, ${\beta}$-carotene with anthroyl stearic acid incorporated into the bilayer enhances the quantum yield significantly (${\Phi}{\simeq}0.2-0.3$), preventing the reverse reaction of electron transfer ($MV^+_\ {\rightarrow}MV^{2+}$) so that it might be useful for solar energy conversion into chemical energy. A naphthalene derivative, octadecyl naphthylamine sulfonic acid incorporated into the outer layer of liposomes results in less efficiency of $MV^{2+}$ reduction than anthroyl stearic acid. These results have been also tested with respect to lipid components of liposomes.

배향된 Poly(trimethylene 2,6-naphthalate)(PTN) 필름의 미시적/거시적 구조 (Micro- and Macroscopic Structures of Oriented Poly(trimethylene 2,6-naphthalate)(PTN) films)

  • 양영일;김영호;이한섭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41-342
    • /
    • 2003
  • Poly(trimethylene 2,6-naphthalate)(PTN)은 dimethyl-2,6-naphthalene dicarboxylate(NDC)와 1,3-propanediol(PDO)로 합성된 polyester이다. 비록 PTN은 아직 상업화된 resin은 아니지만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PTT)와 비슷한 화학적 구조를 가지며 PTT 보다 높은 유리전이 온도(72$^{\circ}C$)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특히 최근에 1,3-propanediol based polyester는 가스 차탄 특성이 우수하다는 것이 보고되었으며 PTN의 산소, 이산화탄소 등 가스 차단 특성은 poly(ethylene 2,6-naphthalete)(PEN)보다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중략)

  • PDF

Co-Mn-Br계 균일촉매를 이용한 2,6-Dimethylnaphthalene의 산화반응 (Oxidation of 2,6-Dimethylnaphthalene by Co-Mn-Br Based Homogeneous Catalyst)

  • 김동범;박승두;차운오;노항덕;곽규대
    • 공업화학
    • /
    • 제10권6호
    • /
    • pp.863-870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촉매로 Co-Mn-Br계를 사용하고, 상대적으로 온화한 반응조건에서 2,6-Dimethylnaphthalene(DMN)의 산화 반응 특성과 촉매가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2{\ell}$의 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하여 촉매의 농도를 조절하며 실험하였다. 먼저 반응시간에 따른 반응중간생성물의 농도변화를 분석하여 반응경로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 2-formyl-6-naphthoic acid, 2-methyl-6-naphthoic acid, 그리고 2-hydroxymethyl-6-methylnaphthalene이 반응중간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2,6-naphthalene dicarboxylic acid(NDA)의 수율은 Co와 Br의 농도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제품의 품질 척도 중 하나인 color-b는 Mn의 농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용매연소는 Mn과 Br의 농도조절로 줄일 수가 있었다. 조촉매로 Ce/Cu 화합물을 첨가함으로 NDA의 수율을 증가시키고 용매연소를 줄이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단량체의 종류에 따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공종합체의 물성 연구 (Effect of Co-monomer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Poly(ethylene naphthalate) Copolymer)

  • 김재현;허혜영;정태형;한준희;강호종
    • 폴리머
    • /
    • 제35권2호
    • /
    • pp.146-151
    • /
    • 2011
  •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중합 시 2,6-dimethyl naphthalene dicarboxylate와 함께 사용되는 디올 화합물인 ethylene glycol(EG), 1,3-propanediol(PD) 그리고 1,4-butanediol(BD)의 사용에 따른 공중합체의 물성을 살펴보았다. EG와 함께 PD 혹은 BD를 40% 이내 첨가하는 경우 합성된 폴리에스터가 무정형을 유지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열적 특성과 배향 특성, 그리고 기계적 특성을 저하시키는 반면 치수안정성을 증가시킴을 획인할 수 있어 합성 폴리에스터가 유연기판 소재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소각재에서의 유기오염물질 정성분석 및 용출특성 (The analysis and leaching characteristics of organic compounds in incineration residues from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s)

  • 홍석영;김삼권;윤용수;박선구;김금희;황승률
    • 분석과학
    • /
    • 제19권1호
    • /
    • pp.86-95
    • /
    • 2006
  • 현재 가동 중인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에서 배출되는 소각재의 수세처리에 의한 유기화학물질 용출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GC/MSD로 정성 분석을 하였다. 바닥재 및 비산재에서 각각 44종 및 17종의 다양한 유기화합물질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정성분석은 각 피크의 질량스펙트럼에 대한 Library(NIST21, NIST107, WILEY229) 검색 후 일치도가 90% 이상인 유사지표(similarity index)에 의해 수행되었다. 바닥재는 Naphthalene 그리고 Phenanthrene인 2종의 다방향족화합물(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을 포함한 18종의 방향족화합물과 사슬모양의 탄화수소인 26종의 지방족화합물을 검출하였다. 비산재의 경우 잔류성유기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인 헥사클로로벤젠(Hexachlorobenzene, HCB)을 포함한 10종의 방향족화합물과 7종의 지방족화합물을 정성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바닥재와 비산재의 용출액과 용출잔사의 용출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바닥재에서는 Ethenylbenzene, Benzaldehyde, 1-Phenyl-ethanone 그리고 1,4-Benzenedicarboxylic acid dimethyl ester 등이, 비산재에서는 Naphthalene, Dodecane, 1,2,3,5-Tetrachlorobenzene, Tetradecane, Hexadecane 그리고 Pentachlorobenzene등의 유기화합물이 수층으로 용출되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소각재 중 비산재 및 바닥재가 단순 매립될 경우 유기화합물에 의한 침출수 및 지하수, 토양 등 2차 오염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소각재에 함유되어 있는 다양한 종류의 유기화학물질의 용출특성을 조사하여 이에 대한 효율적이고 적정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