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utilization

검색결과 998건 처리시간 0.027초

경남지역 입원손상환자의 의료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behavior for hospital injury inpatient in Gyeongsangnam-do)

  • 남문희;권영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5호
    • /
    • pp.289-299
    • /
    • 2012
  • 본 연구는 경남지역 손상환자의 타 지역 의료이용과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여 의료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질병관리본부의 2008년 퇴원손상환자조사 8,225건의 자료 뿐 아니라, 인구센서스 및 보건의료자원 실태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교차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손상환자의 의료이용은 대도시 중심으로 집중화 현상이 뚜렷하였다. 둘째, 군지역의 손상환자 타 지역 이용률이 시 지역에 비해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의료기관 및 병상수를 공급하는 일 뿐만 아니라 지방에서의 의료의 질적 수준을 올리는 정책과 의료의 접근성을 위해 군지역의 손상환자를 위한 대책이 요구된다.

소비자의 인터넷 건강정보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Comsumer's Usage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 박종혁;이진석;장혜정;김윤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1권4호
    • /
    • pp.241-248
    • /
    • 200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a gap between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Methods: A telephone survey of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s was condu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1,000 of the 1,189 responses obtained were included in our analysis. The following variabl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s potential predictors of health information use on the Internet: predisposing factors such as gender, age, and education status; enabling factors such as region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consumer need for health information; and attitude to health.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utilization rate and the potential predictors. Results: Thirty-nine percent of consumers had obtained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over a one-year period. The utilization rates were higher for consumers who were young, educated, worked in the office setting, had higher incomes, wanted health information, and were able to use the Internet. The utilization rate was 5.35 times higher in the younger group (20-30 years) than in the elderly group (95% CI=2.21-12.97); 2.21 times higher for office workers than for manual workers (95% CI=1.16-4.20); 3.61 times higher for college graduates than for middle school graduates and below (95% CI=1.07-11.59); 1.99 times higher for people with monthly household incomes over 3,000,000 won than for those with monthly household incomes below 1,500,000 won (95% CI=1.01-3.92). Conclusions: There needs to be a paradigm shift, with consideration of not only Internet accessibility in the digital age, but also consumer ability and attitudes toward utilization of health information.

스마트 교육 도입 및 활용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인식과 태도 (Perception and Attitud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about The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Smart Education)

  • 이영주;길효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13-2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교육 도입 및 활용에 대한 예비 유아 교사의 인식과 태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J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 교사 262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지와 포커스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유아 교사는 대부분 스마트 폰을 사용하며, 하루 2시간 이상을 통화하는 용도이외로 사용하였다. 용도는 주로 메신저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스마트 교육의 도입 및 활용에 대한 태도는 개인적 변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수업에서의 기기 활용 경험, 발달에 대한 영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포커스 면접을 통하여. 예비 유아 교사의 스마트 교육 도입 및 활용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2개의 주제, 4개 영역, 18개의 의미 범주가 나타났다.

기업 간 정보시스템 활용이 관계품질 및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IOS utilization on Performance through Relationship Quality)

  • 이승우;반재인;김성홍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157-168
    • /
    • 2014
  • 연구에서는 IOS(기업 간 정보시스템)활용이 협력업체 간 관계품질을 매개로 기업성과를 향상시키는가에 대해 검증하고자 한다. 문헌연구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국내 340개 제조업체에서 수집한 자료로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IOS활용은 만족과 기업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만족은 신뢰와 몰입, 신뢰는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만족과 몰입은 기업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신뢰는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몰입은 신뢰와 기업성과 간 관계에서 매개변수의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IOS활용이 기업 간 거래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향후 연구에서는 각 기업이 직면한 보다 다양한 환경을 고려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코로나19 사태에 온라인 강의의 시스템 특성이 강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ICT 활용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System Characteristics of Online Lectures on Lecture Satisfaction in the COVID-19 Crisi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ICT Utilization Ability)

  • 莫雅婷;徐雨佳;이윤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9호
    • /
    • pp.43-5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강의가 지속됨에 따라 온라인 강의 시스템, 이용 동기, ICT 활용능력, 강의만족도 간의 관계성을 찾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우송대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효표본 330부를 확보하였으며, SPSS 25.0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시스템의 편의성·용이성·보안성과 이용 동기가 강의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조절효과의 변수인 ICT 활용능력은 시스템 특성(용이성 및 보안성)과 강의만족도 간의 관계에서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학생들의 온라인 강의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서는 새로운 온라인 시스템 개발은 물론 ICT활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별도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온라인 강의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향후 다양한 표본조사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 대학생의 지식혼돈에 따른 미래의 지식활용 차이 예측의 시계열적 비교 분석 (A Study on the Comparisons of Future Knowledge Utilizing Difference Predicted by Chaos of Knowledge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 오상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131-140
    • /
    • 2019
  • 지식정보시스템의 발달로 사람들이 기억하는 것을 거부하는 증상이 커지고 있다. 또한 지식을 기억해야 하는 가에 대한 논란도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기억하는 지식과 찾는 지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하였다. 선호 집단 간에 미래에 나타날 지식 활용의 용도, 효과, 용이성에 대한 기대를 예측하였다. 이러한 미래에 나타날 지식 활용에 대한 예측된 기대가 집단 간의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1차 연구는 2014년 10월에 진행하였다. 이번 연구는 2차 연구이다. 1차 연구와 비교하여 어떤 변화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결과적으로 대학생의 지식 습득 선호도에 따라서 1)미래 시점에서 지식 활용의 다양성을 넓히는 것은 차이가 없고, 2)지식 활용의 효과를 기대하는 것과 3)지식의 지속적인 창출이 용이성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지식을 기억하는 것이 좋은 것인지를 논의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한 점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비전공자 인문계열을 위한 인공지능(AI) 보편적 교육 설계 (Artificial Intelligence(AI) Fundamental Education Design for Non-major Humanities)

  • 백수진;신윤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285-293
    • /
    • 2021
  •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AI 활용역량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보편적 교육으로서의 AI 교육 설계 연구 및 역량 중심교육 커리큘럼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의 비전공자를 위한 역량 중심 AI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보편적 AI 교육을 설계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인문계열 AI 기초교육 설계를 위해 3차에 걸쳐 전문가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도출된 설계 내용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AI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주요역량은 데이터 리터러시, AI 이해 및 활용능력이었으며, 이를 토대로 도출된 주요 세부 영역으로는 데이터 구조 이해 및 가공, 시각화, 워드클라우드, 공공데이터 활용, 머신러닝 개념 이해 및 활용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교육 설계 내용은 향후 역량 중심의 AI 보편적 교육의 필요성과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빅데이터의 국내.외 활용 고찰 및 시사점 (Current Status of Big Data Utilization)

  • 이성훈;이동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229-233
    • /
    • 2013
  • 정보기술 및 통신과 관련된 기술들을 융합화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우리주변에는 다양하면서도 수많은 데이터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스마트폰이 일반화 되고 있으며, 태블릿PC와 카메라, 게임기등을 통하여 다양한 비 정형 데이터들이 생성되고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들로 인한 데이터 트래픽 또한 급증하는 추세이다. 또한 데이터의 크기와 형태가 다양하고 데이터의 증가 속도가 가파른 이른바 '빅데이터 시대'가 도래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는 이러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새로운 가치 창출을 이루고자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빅데이터의 국내/외 활용에 대한 고찰 및 시사점등을 기술하였다.

계획설계 BIM 템플릿의 구성 및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figuration and utilization of the schematic design BIM Template)

  • 김명근;고인룡;민영기;정태승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51-58
    • /
    • 2013
  • The projects are becoming more complicated and amplified as the design and development technology is advancing. Thus, existing architectural processes and methods are revealing limitations. The technology of BIM is an IT applied to construction, that provides the state-of-the-art tool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o improve on architectural designing, technology, cost, etc. Therefore, it it necessary to converge the advises and collaboration from the various experts at the initial step in a common processing platform. In this research project with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configuration and utilization of EDU BIM template is studied because setting an anchor point from the initial phase is necessary for such processes at the perspective of the opera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vent time consumptions at the initial phase of BIM foundation, to ensure accurate information inputs within the repetitive tasks, and for effective information management that will produce consistent results through utilization of BIM technology.

지방정부의 여성인력 활용정책 (Local Governments' Policy on the Utilization of Women's Resources)

  • 김영미;노규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호
    • /
    • pp.67-75
    • /
    • 2012
  • 지식기반사회에서 여성인력의 활용은 국가경쟁력 성패의 관건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여성들이 모든 분야에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공간과 여건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남녀평등 실현을 목표로 하는 여성인력의 정책적 과제는 종전과 같이 사회복지정책의 과제로만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와의 관련 속에서 심도 있게 다루어져야 한다. 지방에서의 여성정책은 그 지방의 특수성과 여성의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여성정책에 대한 개념 자체도 지역여성에게 전달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방여성정책이 주변화를 벗어나 정책의 주류가 되기 위한 측면에서 여성인력활용을 중심으로 방향성에 대해 개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