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education

검색결과 3,555건 처리시간 0.028초

Digitization Of Education: Current Challenges Of Education

  • Osaula, Vadym;Parfeniuk, Ihor;Lysyniuk, Maryna;Haludzina-Horobets, Viktoriia;Shyber, Oksana;Levchenko, Oksa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1호
    • /
    • pp.368-372
    • /
    • 2021
  • The article identifies the features of the digital culture of modern society in the dynamics of its impact on the education sector, identifies the main directions of digitalization education, an objective analysis is presented, the possibilities of examination as a scientific assessment are determined "Digital reforms" of education, the role of traditional values of educational culture in expertise and improvement digital innovations in the education system, identified the main contradictions in the development of digital culture, to determine the directions of its improvement. The article describes the three main components of information technology as a complex of hardware, software and a system of organizational and methodological support; the description of analog and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ies is presented. The authors list the most common multifunctional office applications and IT tools; the advantages of using IT in the educational process are highlighted.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교육 연구 동향 분석 (A Study on Research Trends for Digital Literacy in Education)

  • 정재리;이다겸;이소율;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413-41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교육에서 필수역량으로 제시하고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주제로 한 연구 문헌들을 분석하여 동향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필요한 연구 주제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육학 분야로 색인한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논문들을 찾아 연도별 분포, 연구대상, 연구분야, 연구목적 및 관련 주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SW교육의 적용과 코로나19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연구 대상과 주제가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으며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과 영역에 대해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 않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활발한 연구를 위해 교사들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정보교과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타 리터러시와의 명확한 개념과 영역 구분, 리터러시 교수·학습 방법 및 적용 사례,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 도구 등의 주제를 제안하였다.

  • PDF

메타버스를 통한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연구 (A Study on the Implications of Christian Education on Digital Storytelling in the Metaverse)

  • 신현호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0권
    • /
    • pp.267-302
    • /
    • 2022
  •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사회 각 영역에서 가속화되고 있는 디지털 전환은 기독교교육의 실천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메타버스(metaverse)로 명명되는 디지털 세계의 출현이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를 기독교교육이 실천될 수 있는 신앙교육의 확장된 공간으로 이해하고,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디지털 스토리텔링 접근을 탐색한다.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메타버스 공간에서 실천될 때 참여자들은 자신의 이야기를 성찰하며 그것을 디지털화된 시청각 재료로 함께 하나의 디지털 스토리를 구성하고 공유함으로써 이야기의 의미를 발견하고 변화를 경험하도록 안내하는 실천의 가능성을 갖는다. 이러한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상호작용성, 주도성, 시청각성, 사회성, 개방성의 특징을 지니며, 이것이 기독교교육 방법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재개념화가 요청된다. 이를 위해 이야기 연결하기를 통한 자유와 소명의 발견과 열정적인 경청의 공동체 형성을 강조했던 앤 윔벌리의 방법론을 고찰한다. 또한,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신앙형성의 한 방식으로 이해하며 권위와 진정성 있는 신앙, 그리고 주도성을 중심으로 디지털 공간을 기독교교육의 장으로 해석한 메리 헤스의 접근을 고찰한다. 이를 통해 메타버스에서 기독교교육이 변화와 소명 형성을 위한 기독교교육의 장으로서, 상호적 디지털 공간에서 하나님의 은총에 대한 인간의 적극적 응답이 실천되는 공간이 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이는 참여자가 메타버스라는 디지털 공간 속에서 하나님의 주도성에 응답하며 놀이와 만들기의 형태로 실천되는 체현적, 관계적인 교육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를 통한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신앙형성의 한 과정이 되기 위해서 확장된 세계 속 하나님 나라의 이야기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이야기로 연결하고, 환대와 경청을 통해 상호적인 공간을 지향하며, 몰입적 참여와 전인적 성찰을 증진하는 실천이 되어야 할 것을 주장한다.

공공교육시설 설계프로세스의 디지털 건축 디자인 도입 가능성에 관한 연구 -계획설계 단계에서 BIM의 데이터베이스(DB)이용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Introduction of Digital Architectural Design by Public Education Facilities of the Design Process - Focus on Use the Database of BIM -)

  • 성기용;조병성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5-12
    • /
    • 2012
  • In this study, a digital design process by utilizing the program's database functionality in BIM, public education facilities master plan presented an alternative model to the layout of the design process. First of all, public education facilities master plan design process with digital design process and how to use the database of BIM in the process for review of the possibility of. Secondly, public educational facility planning the placement as needed for the switch to digital design limits, and the basic plan design at various elementary school planning alternatives in a school building and the school site is required to investigate. Thirdly, as a way of using the database features of GDL BIM lnn and teachers on how to create a variable by setting up a number of different alternatives so that you can choose the architect thought to have to organize and visualize the possibility of quick. A quantitative way the basic plan design that repeats some of the measures that can be used for digital design change as a process of continuous research is needed.

초등과학 디지털 교과서 활용이 학생들의 과학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sing Digital Science Textbook on the Scientific Problem Solv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최선영;서정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8권2호
    • /
    • pp.132-14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sing digital science textbook on the scientific problem solv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research, an instrument to measure student's problem-solving skills was developed. The pretest and posttest scores of one hundred and six 5th grade students' problem-solving skills were analyzed and also the responses of three students who were selected by their levels in the problem-solving science digital textbook clas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scores of problem solving skills of science digital textbook groups were higher than that of traditional paper textbook group(p<.05). In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students' reponses in a digital textbook class according to their achievement level, low-achievers' problem-solving skills were much more improved than high- and mid-achievers' skills. In conclusion, science digital textbook has a potential to improve students' scientific problem solving skills, and this possibility will be much higher when science digital textbook is used with teachers' intended instructional goals and strategies like problem-solving lessons.

  • PDF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협력 학습에서 디지털 잉킹의 효과 (A Study On Effectiveness of Digital Inking in the Collaboration Learning with Digital Textbook)

  • 윤민식;손원성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93-19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교과서를 학습하고 있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 24명을 대상으로 협력 학습에서 디지털교과서 콘텐츠와 더불어 디지털 잉킹을 활용하여 학습하였을 때 문제해결력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실험 집단은 디지털교과서의 기본콘텐츠와 디지털 잉킹을 활용하였고, 통제집단은 디지털교과서의 기본적인 콘텐츠를 활용하였다. 이를 비교 분석하여 적용한 결과 디지털교과서 기본콘텐츠와 디지털 잉킹을 함께 사용하였을 때 기본적인 디지털교과서 콘텐츠로만 문제를 해결한 학생들에 비해 문제해결력에 향상을 보였고,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 PDF

소프트웨어 기초 교육에서 수업 방식에 의한 인문대학생의 디지털 마인드 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s of Digital Mind by the Class Type in Basic Software Education for the Students of Humanities)

  • 서주영;신승훈;구은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55-64
    • /
    • 2017
  •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널리 인지됨에 따라 대학에서도 소프트웨어 교육이 필수 교과로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비전공 학습자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없는 상태에서 교육이 이루어져, 교육 목표 달성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기초 교육 과정을 수강한 인문대학생들의 의견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디지털 마인드 변화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비전공 학생 대상 소프트웨어 기초 교육의 고려 사항을 제안한다. 설문 분석 결과, 입학 전 소프트웨어 교육은 대학에서의 교육에 기여하는 바는 크지 않은 반면, 학생들은 자신이 친숙함을 느끼는 주제를 활용한 실습 위주의 교육에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다. 따라서 비전공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소프트웨어 기초 교육에서는 학습자에게 실습을 바탕으로 한, 보다 많은 소프트웨어 접근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 자연스럽게 디지털 마인드를 함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dvantages of M-Learning Using The Combination of Digital Content and Mobile Device In Education Field

  • 마르쿠스 산토스;이병국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123-126
    • /
    • 2012
  • In general, there are 3 subjects of discussion in education field; namely past, present and future. Related with those facts, there is several information or knowledge that relatively hard to be presented in the real world. In this matter, digital content shows its contribution especially in the education field. Digital content can virtually represent the information or knowledge that seems to be difficult to be visualized in the real world before. In this project, researcher develops a mobile device's application that consist the skeleton's 3D virtual content. This application is expected to solve the above explained problem that usually appears during learning human skeleton in senior high-school's biology class. Besides, the application of digital content will make the learning process become easier because the student will have a visual learning tool. Last, the mobile device that is used in this prototype has offer an important beneficial namely mobility beneficial, so that the user can access the content anytime and anywhere.

  • PDF

창의 인성 교육에 대한 디지털 큐레이션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Digital Curation System for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 김정인;김병만;김정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710-1722
    • /
    • 2016
  • With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and the universal dissemination of smartphones, ICT-utilizing education is also getting the limelight. In the recent ICT-utilizing education, teachers and learners produce massive digital data by consulting massive information on the Internet, and the produced data is filtered in the process of education and utilized for the current and next educational programs. In order to construct the data well-suited for education from massive data available on the Internet, it is important to verify the quality of the educational data. To this end, we propose an educational website that can provide the data satisfying visual needs demanded by learners in terms of utilizing a digital curation system. In this paper, we also present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website that non-ICT majors can easily use, which in turn enables them to conduct the education of creative personality utilizing image and video contents.

디지털 시대의 대학수학교육: 선형대수학을 중심으로 (Linear Algebra Teaching in the Digital Age)

  • 이상구;이재화;박경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1권4호
    • /
    • pp.367-387
    • /
    • 2017
  •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의 대학수학교육이라는 주제로, 21세기 디지털 교육환경에서 한국에 적합한 대학수학교육 강좌를 어떻게 구성하고 운영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21세기 디지털 시대의 교육 환경은 수학 교수 학습 방법의 변화 뿐 아니라 수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철학의 변화에도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다. 본 연구진은 디지털 환경에 적합한 대학수학교육이란 디지털과 첨단 모바일/인터넷 환경을 강의에 적절히 반영하고 이 과정에서 학생이 스스로 학습과정에 참여하도록 안내하는 교육이라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진은 디지털 시대의 대학수학교육을 위하여 첫째, 다양한 웹 링크와 시뮬레이션 및 계산이 가능한 코드를 갖춘 실습실을 개발하여 강의에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이 언제 어디서든 실시간으로 실습이 가능하고 둘째, 계산된 결과를 LMS를 통해 동료 및 교수자와 함께 질의 응답 토론하여 개념에 대해 깊게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LMS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과정을 평가에 지속적으로 반영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과정과 문제해결과정을 서술하고 발표하면서 비판적 사고 능력을 자연스럽게 갖추어야 한다는 교수 학습 방향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디지털 교육환경에 가장 적합한 수학강좌 중 하나인 '선형대수학' 강좌에 무료 디지털 전자 교과서와 콘텐츠를 갖추고 연구진이 제안한 방향에 따른 교수 학습 모형과 대학 선형대수학강좌 운영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