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fferent growing stages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36초

Susceptibility of Different Life-stages of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senbergii to White Spot Syndrome Virus: An Experimental Study

  • Kiran, R.B.P.;Rajendran, K.V.;Jung, S.J.;Oh, M.J.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24-525
    • /
    • 2001
  •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causes the most serious epizootic in cultured penaeid shrimp. The epizootic started in 1992, and spread through east and south east Asia and into other shrrimp growing countries of the region. In order to circumvent the epizootic, in many Asian countries,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senbergii is being widely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species to marine shrimp. (omitted)

  • PDF

버어리종 담배의 염소에 관한 연구 I. 버어리종 담배산지의 토양과 잎담배의 염소함량 실태 (STUDIES ON THE CHLORINE OF BURLEY TOBACCO PLANTS I. CHLORINE CONTENT OF THE SOIL AND CURED LEAF IN BURLEY TOBACCO GROWING AREA)

  • 김상범;배길관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9-56
    • /
    • 1986
  • To obtain the information of low chlorine leaf production, the chlorine content of the soil and cured leaf in Burley tobacco growing area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chlorine concentration in soil at transplanting time in Kwang-ju growing area was higher than in Jeon-ju(1983), and paddy field sell showed higher concentration of chlorine than upland field in Jeon-ju(1984). The chlorine concentration in soil was different between years, locations, and cultivated land (paddy field and upland field), but the concentration, on the whole, was under the levels that might effect the leaf quality. 2. The chlorine concentration In soil was highest around todays after transplanting, and after harvesting, the concentration decreased to half of transplanting time. 3. The distribution of chlorine through the parts of tobacco plant showed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years, locations, cultivated land and growing stages. 4.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lorine concentration in top soil and chlorine content of cured leaf. 5. Chlorine content of cured leaf in Kwang-ju area(1.79%) was higher than that of Jeon-ju area(O.79%), relatively. 6. It was considered that the accumulation of salt from the sea by sea. wind did not main factor of high leaf chlorine content in seaside district.

  • PDF

벼 재배환경에서 생육단계에 따른 제형별 살포농약의 분포특성 (Distribution of Pesticide Applied with Different Formulations and Rice Growing Stages in Paddy Fields)

  • 박병준;박상원;김진경;박경훈;김원일;권오경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4-81
    • /
    • 2008
  • 벼 재배 환경에서 농약의 분포 및 유출특성과 농업환경으로의 노출성을 구명하기 위해서 살포농약의 제형과 벼 생육단계에 따른 경시적 분포양상 실험을 수행하였다. 벼 이앙전 처리제로 제초제인 butachlor 유탁제와 oxadiazon 유제의 논물 중 잔류양상은 처리 3일 후에 초기처리량의 90%이상이 소실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벼 이앙 후 15일 이내에 처리한 butachlor, thiobencarb 및 molinate 입제의 농약성분의 95%이상이 논물과 토양에 분포되어, 비살포 지역으로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유출안전기간은 농약살포 후 5일로 설정하였다. 벼 생육 중기에 살포된 iprobenfos 입제, tricyclazole 수화제, phenthoate 유제의 처리직후 2시간 후의 분포는 논물에서 16.1, 48.9와 38.9%, 토양에서 83.6, 15.4와 10.7%, 식물체에서 는 0.3, 35.7과 50.4%가 각각 분포되었다. 또한 벼생육 후기 농약분포는 tricyclazole 수화제와 Phenthoate 유제는 논물에서 7.8과 9.8%, 토양에서 21.7과 5.1%, 식물체에서 70.5와 85.1%가 각각 분포되어 식물체 biomass가 증가 할수록 농약 부착량이 식물체에 분포되어 논물과 토양에 적은 양이 분포되었다.

차광재료에 따른 생육시기별 인삼의 광합성작용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hotosynthesis with Growing Stages by different Shading Materials in Panax Ginseng C. A. Meyer)

  • 이충열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76-284
    • /
    • 2007
  • 인삼의 차광재료가 생육시기별 광합성, 증산작용 및 기공전도도의 일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삼집내 자연광과 인공광선을 이용하여 광합성, 증산, 기공전도도 및 엽록소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생육시기별 광합성속도의 일변화는 오전에 증가하다가 오후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차광망에 비하여 차광판에서 높았다. 증산작용은 광합성작용과 반대로 오후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기공전도도는 오후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광합성속도와 기공전도도와의 관계는 오전에서 l차직선회귀식으로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으나, 오후에서의 양자간의 관계는 인정되지 않았다. 일복재료별 엽록소의 변화는 모든 처리구에서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SPAD값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차광망에 비하여 차광판의 SPAD값이 전 생육기간에 높은 경향이었다.

생육단계별 Festulolium braunii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 구명 (A Study on the Dry Matter Yield and Qualityof Festulolium braunii at Different Growing Stages)

  • 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7-122
    • /
    • 1997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orage yield and quality and the possibility to provide Festulolium bmunii(Festuca pratensis $Huds{\times}Lolium$ mult~jlotum Lam.) as forage source in Korea. The Festuloliurn braunii were harvested at boot, heading and anthesis stage, respectively. The field trials were performed 6om 1994 to 1996 at the forage experimental field, College of agriculture, Chunpam National University.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ate of boot, heading and anthesis stage of Festulolium bmunii observed in Taejon were May 12, May 23 and June 1 in 1995, and June 1, June 4 and June 9 in 1996, respectively. Winter survival percentage of Festulolium bmunii war ranged 6om 96% to 98% and summer survival percentage were 75-86%. It would suggest that Festulolium brawlii persisted well in the aspect of overwintering, while it wasn' t widely adapted to drought and high temperature in Taejon regions. 2. The CP content and DMD of Festulolium bmunii tended to decline as the growth stage advanced. The CP content and DMD of Festulolium bmunii were high at the boot stage and those at the anthesis stage were low. But fiber contents at the boot stage were lower than those at anthesis stage(P< 0.05). The yields of the DM and DDM with advancing the growing stage tended to increase,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PDM yields among stages. On the otherhand, the yields of DM and DDM at the anthesis stage were the highest (P< 0.05),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CPDM yield among stages.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it is suggested that Festulolium b m n i i has a possibility to use until the anthesis stage under the cutting regimes and that it has a potentiality to provide one of a good forage sources. %'ifqqiZ 43q *(College of Agriculture, Chungnam National Un~versity, Taejon 305-764, Korea)

  • PDF

발육단계(發育段階)에 따른 잣나무 자엽내(子葉內) 수지구(樹脂溝)의 위치(位置)와 수(數)의 변화(變化) (Position and Variation of Resin Canal Numbers of Cotyledon in 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at Different Growing Stages)

  • 이강영;임경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3-48
    • /
    • 1972
  • 잣나무 치묘(稚苗)의 제특성(諸特性)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자엽(子葉)의 횡단면상(橫斷面上)에 나타나는 수지구수(樹脂溝數)를 발육(發育)단계 따른 변화상태(變化狀態)와 횡단면상(橫斷面上)의 제형질(諸形質)과의 관계(關係)를 알고자 본실험(本實驗)을 수행(遂行)하였든바 그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잣나무 자엽(子葉)의 수지구(樹脂溝)는 포장(圃場)에서 발아(發芽)되기전(前)의 자엽(子葉)과 발아후(發芽後) 1~2주(週)까지는 형성(形成)되지않고 발아후(發芽後) 1개월(個月)이 경과한 6월경(月頃)부터 형성(形成)되기 시작하여 9월경(月頃)에는 그 수(數)가 평균(平均) 3.26으로 최고치(最高値)에 달(達)하고 그 이후(以後)에는 증가(增加)되지 않었다. 2. 자엽(子葉)에 있어서 수지구(樹脂溝) 위치(位置)는 외위(外位)로서 본엽(本葉)이 중위(中位)인데 비(比)하여 다른 특성(特性)을 보였으며 수지구수(樹脂溝數)는 엽당(葉當) 1~5개(個)이다. 3. 발육단계(發育段階)와 수지구수(樹脂溝數), 엽후(葉厚), 엽단면적(葉斷面積) 간(間)에는 높은 상관(相關)을 보였고 수지구수(樹脂溝數)와 엽폭(葉幅), 단면적(斷面積) 간(間)에서도 고도(高度)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다. 4. 치묘(稚苗)의 자엽수(子葉數)와 수지구수(樹脂溝數) 사이에는 유의차(有意差)는 없었다. 이상(以上)에서 잣나무 자엽(子葉)의 수지구수(樹脂溝數)는 발육(發育)경과에 따라 증가(增加)되고 엽폭(葉幅)과 단면적(斷面積)도 높은 상관(相關)에 있는 결과(結果)는 주목(注目)된다.

  • PDF

Heptachlor에 의한 호프식물 및 한삼덩굴의 생육시기별 약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Heptachlor-caused Phytotoxicity at the Growing Stage of Hop and Hansam Vine)

  • 한대성;박창규;손철옥;허장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9-67
    • /
    • 1993
  • 본 연구는 토양에 처리한 Heptachlor (0.1ppm)와 Heptachlor epoxide (0.1ppm)가 Hop와 한삼덩굴에 미치는 약해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토양과 식물체 내의 약제의 잔류량, 생육시기에 따른 약해의 경향, 광합성능, 그리고 chlorophyll 함량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Heptachlor와 Heptachlor epoxide 0.1ppm 처리구에서 Hop의 생육조사 결과 Heptachlor 0.1ppm 처리구에서는 2차시기부터 지하부에서 심한 약해를 유발하였으며, 3차시기에서는 지상부, 지하부 공히 심한 생육 저해를 받았다. Heptachlor epoxide 0.1ppm 처리구에서는 2차시기부터 지상부, 지하부 모두 약해가 유발되었으며, 3차시기부터는 생육저해가 지속되었다. 공시약제간에는 Heptachlor epoxide 처리구가 Heptachlor 처리구에 비하여 지하부와 지상부 공히 심한 약해를 나타내었다. 2. Hop 및 한삼덩굴에서 Heptachlor 및 Heptachlor epoxide의 잔류량은 뿌리 > 줄기 > 잎의 순서이었으며, 공시식물의 각 생육시기별 잔류량도 뿌리 > 줄기 > 잎의 순서이었다. 공시식물의 각 생육시기별 잔류량은 2차시기에 가장 많았다. 공시약제 간에는 Heptachlor에 비하여 Heptachlor epoxide의 잔류량이 많았으며 공시식물간에는 2차시기 이후에 Hop보다 한삼당굴에서 더 많은 잔류를 보였지만 약해의 양상은 Hop에서 심하게 나타났다. 3. 광합성능에서 Hop는 heptachlor 처리구에서 2차시기부터 저해가 나타났으며, Heptachlor epoxide처리구의 경우 1차 및 2차시기에서도 광합성능이 저조했으며, 3차시기에서는 심한 저해를 나타냈다. 그러나 한삼덩굴의 경우 공시약제간, 생육시기별 광합성능의 저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4. Cholorophyll의 함량에 있어서는 Hop의 경우, 공시약제 처리구에서 생육실험이나 광합성능에서 처럼 현저한 차이는 없었고, 생육시기별 Chlorophyll의 함량에서도 대조구에 비하여 큰 차이는 없었다. 한삼덩굴의 경우, 공시약제간 Chlorophyll함량의 감소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생육시기별로도 같은 경향이었다.

  • PDF

당귀(當歸)(Angelica gigas Nakai)의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N, P, K 흡수(吸收) 및 유효성분함량(有效成分含量)의 변화양상(變化樣相) (Variation Mode of the Absorbtion Contents of N, P and K and the Contents of Available Constituents of Angelica gigas Nakai at Different Growth Stages)

  • 장상문;최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4호
    • /
    • pp.392-398
    • /
    • 1986
  • 당귀(當歸)의 수량(水梁)과 품질(品秩)을 증대(增大)시키기 위하여 3요소(要素)의 사용량(使用量)에 따른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3요소(要素) 흡수(吸收) 및 유효성분(有效成分)으로 알려져 있는 decursin, decursinol 및 당함량(糖含量)의 변화양상(變化樣相)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질소(窒素) 및 가리(加里)의 시용(施用)은 지상부(地上部), 지하부(地下部)의 생육촉진효과(生育促進效果)가 있었지만 인산(燐酸)의 시용(施用)은 단지 지상부(地上部)의 생육(生育)에만 효과(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생육(生育)함에 따라 지하부(地下部)에는 질소(窒素) 및 인산(燐酸)의 농도(濃度)는 감소(減少)하였지만 지상부(地上部)에서는 증가(增價)하는 경향(傾向)이었다. 가리(加里)의 농도(濃度)는 지하부(地下部)에서 증가(增價)하였지만 지상부(地上部)에서는 약간 감소(減少) 또는 거의 변화(變化)가 없었다. Decursin 및 전당(全糖)의 함량(含量)은 생육후기(生育後期)로 갈수록 계속 증가(增價)하였으며, Decursinol 및 환원당함량(還元糖含量)은 생육중기(生育中期) 이후(以後)에는 수확기(收穫期)가 가까워질수록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 PDF

배합사료 크기가 성장단계별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uded Pellet Size on Growth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t Three Different Growing Stages)

  • 김민기;신재형;이초롱;이봉주;김강웅;이경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43-48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truded pellet (EP) size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t the juvenile (Exp-I; $62.2{\pm}0.05$), growing (Exp-II; $150{\pm}1$) and sub-adult (Exp-III; $299{\pm}1$) stages. In Exp-I (3, 4, 5 and 6 mm diets), Exp-II (4, 9, 11 and 13 mm diets) and Exp-III (9, 11, 13 and 16 mm diets), triplicate groups of fish were fed four EP diets of different pellet sizes. In Exp-I, larger pellet sizes were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smallest pellet size (3 mm). In Exp-II, significantly improved feed and protein efficiency were observed with increasing pellet size. The feed conversion ratios of the fish fed the 4 and 9 mm die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fish fed 11 and 13 mm diets. The dietary digestibility of protein and energy was higher in smaller EPs than in larger sizes. In Exp-III, the growth performance of fish was not affected by the pellet size. However, feed intake was significantly affected, increasing with increasing pellet size. Therefore, the optimum pellet sizes for olive flounder under the conditions in this study were 5 mm for 60-150 g fish and 9 mm for 150-500 g fish.

생쥐 난소의 발생단계에 따른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9의 유전자 발현 (Expression of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9 in the Mouse Ovaries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 윤세진;이경아;고정재;차광열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3권1호
    • /
    • pp.95-100
    • /
    • 1999
  • Growth/differentiation factor-9 (GDF-9)은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beta$) superfamily의 member로서 난소의 난자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되며 정상적인 난포발달에 있어 필수적인 성숙인자로 최근에 알려졌다. 본 연구는 RT-PCR을 통해 생쥐의 원시난포에서의 GDF-9 mRNA의 발현 여부와 함께 난포의 발달단계에 따른 상대적인 발현량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는 ICR 생쥐를 사용하여 질전 (vaginal plug)이 확인된 날을 1일로 하여 임신 19일의 태아와 태어난 날을 1일로 하여 생후 1일, 10일, 21일, 28일된 생쥐 난소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발달단계의 난소조직으로부터 total RNA를 추출하여 GDF-9 유전자 발현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이들을 $\beta$-actin에 대해 상대적인 정량분석을 하였다. GDF-9 유전자 발현은 아직은 성장을 시작하지 않은 임신 19일의 태아의 난소, 대부분이 원시난포로 이루어진 태어난 날의 생쥐 난소에서도 확인되었으며, 성장이 왕성하게 진행되고 있는 난포 즉, antrum 형성 이전의 growing follicles이 주를 이루는 생후 10일째의 난소에서 가장 높은 GDF-9 유전자 발현이 관찰되었다. 나머지 단계의 난소에서는 거의 비슷한 정도로 발현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생쥐의 원시난포에도 GDF-9 transcript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실하게 증명하였으며, GDF-9이 생쥐의 초기 난포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