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rmatophytes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3초

전나무 정유의 항진균 효과와 유효성분의 시너지효과 평가 (Evaluation on Anti-fungal Activity and Synergy Effects of Essential Oil and Their Constituents from Abies holophylla)

  • 김선홍;이수연;조성민;홍창영;박미진;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113-123
    • /
    • 2016
  • 본 연구는 전나무 정유의 Epidermophyton floccosum, Trichophyton mentagrophytes, Trichophyton rubrum과 같은 피부사상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구명하고 피부염 치료제로서의 전나무 정유의 잠재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전나무 정유와 분획물, 유효성분의 표준시약을 이용하여 한천희석법, paper disc 확산법, TEM을 이용한 세포 변화 관찰 등을 통해 항진균 활성을 평가하였고, 주성분은 GC-MS로 분석하였다. 유효성분들의 시너지효과는 체커보드법을 통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낸 물질은 ${\alpha}$-bisabolol을 함유하고 있는 분획 G4였으며 다른 분획 보다 뛰어나게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체커보드법을 통해 ${\alpha}$-bisabolol과 bornyl acetate를 병용시 뛰어난시너지 효과를 나타냈고 세포 변화 관찰을 통해 분획 G4에 노출된 E. floccosum과 T. rubrum 균사는 정상세포와 달리 세포막과 세포소기관이 파괴됨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전나무 정유와 그 구성성분들은 높은 항진균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피부염 치료제의 원료로 이용이 가능할 것이라 기대되며, 특히 ${\alpha}$-bisabolol의 우수한 항진균 활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피부사상균에 대한 편백정유의 Mono- 및 Sesquiterpene 항진균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fungal Activites of Monoterpenes and Sesquiterpenes in Essential Oil from Chamaecyparis obtusa against Dermatophytes)

  • 곽기섭;박미진;정의배;장제원;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3호
    • /
    • pp.46-55
    • /
    • 2006
  • 본 연구는 피부사상균에 항진균 활성을 보이는 편백정유에 대하여 이를 구성하고 있는 mono- 및 sesquiterpene 성분들 중 어떠한 성분들에 의해 항진균 활성이 나타나는지 탐색하고 성분들 간의 synergy 효과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고자 피부사상균인 Trichophyton mentagrophytes (KCTC6077), Microsporum canis (KCTC6591), Microsporum gypseum에 대하여 디스크확산법, 한천희석법을 이용하여 항진균 활성을 평가, 비교하였다.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편백정유를 7개(A, B, C, D, E, F, G)로 분획하고, 각각의 분획들에 대하여 한천희석법을 이용하여 T. mentagrophytes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실험한 결과, 분획 D, E, F, G의 항진균 활성이 높았다. GC/MS 분석을 실시하여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분획의 주성분을 확인하고 그 중 monoterpene인 borneol, linalool, ${\alpha}$-terpineol과, sesquiterpene인 ${\alpha}$-cedrol, nerolidol, ${\beta}$-eudesmol을 선택하였다. 단일 terpene의 항진균 활성 비교 시 monoterpene보다 sesquiterpene이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 높은 활성을 보이는 sesquiterpene의 단일 및 혼합 성분들과 편백정유의 분획 중 항진균 활성이 높고 sesquiterpene의 함유량이 높은 분획 F의 비교 시, sesquiterpene의 조합 성분들이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냈다. 이는 sesquiterpene 성분들의 혼합에 의하여 항진균 활성의 synergy 효과가 발현됨을 의미하였다.

피부사상균 균사의 형태학적 변화를 통한 일본잎갈나무 정유의 항진균 활성 효과 구명 (Evaluation on Anti-Dermatophyte Effect of Larix (kaempferi) Essential Oil on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Eermatophyte Fungal Hyphae)

  • 김선홍;이수연;홍창영;장수경;이성숙;박미진;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3호
    • /
    • pp.247-257
    • /
    • 2013
  • 본 연구는 피부사상균 Epidermophyton floccosum, Trichophyton mentagrophytes, Trichophyton rubrum에 대한 일본잎갈나무 정유의 항진균 활성을 평가하고, 항진균 유효성분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일본잎갈나무 정유에 노출된 피부사상균의 균사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일본잎갈나무 정유의 항진균 효과를 균사의 형태학적 변화를 통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일본잎갈나무 정유의 주성분은 (-)-bornyl acetate였으며, MIC는 모든 균에 대해 125 ppm을 나타냈다. 한천희석법을 통한 항진균 활성 평가에서는 모든 균에 대해 500 ppm 이상에서 100%의 활성, 100 ppm의 낮은 농도에서도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냈다. SEM과 TEM을 통해 균사를 관찰한 결과, 일본잎갈나무 정유에 노출된 E. floccosum은 정상세포와 다른 균사 형태가 관찰되었다. 팡이실 모양의 격막을 갖고 있는 곧고 매끈한 표면의 정상세포와는 달리, 처리구에서는 균사 표면에 주름이 있었으며 균사가 터지거나 접히고 부풀어 오른 것, 세포소기관과 세포벽이 붕괴된 것도 관찰되었다. 분획을 통해 일본잎갈나무 정유의 항진균 유효성분을 확인한 결과, (-)-${\tau}$-muurolol, (+)-terpinen-4-ol, ${\alpha}$-terpineol, ${\alpha}$-cadinol 등의 terpene alcohol 화합물이었다.

편백나무 건조 중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항진균 및 항산화 활성 (Antifung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Generated During the Drying Process of Chamaecyparis obtuse)

  • 서영준;이재원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05-308
    • /
    • 2012
  • 본 연구는 편백나무 건조 중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로 구성된 응축수에 대해 항진균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응축수는 hexane과 ethyl acetate로 각각 추출하였으며 추출액의 농도 100-500 mg/L에서 피부사상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액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진균 효과도 증가하였으며 500 mg/L에서는 모든 피부사상균에 대해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냈다. 추출용매에 따라서는 hexane으로 추출하였을 경우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Trichophyton rubrum에 대한 항진균 활성이 높았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25 mg/L 이상의 농도에서는 90% 이상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으며 추출용매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었다. 하지만 25 mg/L 이하의 농도에서는 hexane 추출물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각각의 추출물 구성성분을 분석한 결과 hexane 추출물의 주요 구성성분은 torreyol, alpha-cadinol, tau-cadinol이며, ethyl acetate 추출물의 주요 구성성분은 alpha-amorphene, alpha-cadinol, gamma-cadinene으로 나타났다.

산초나무 추출물의 피부사상균에 대한 항균활성과 그 성분 (Antifungal Activity of the Extract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 et Zucc. against Dermatophytes)

  • 민경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6권4호
    • /
    • pp.78-85
    • /
    • 1998
  • 산초나무 각 부위별 알코올추출물의 피부사상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근피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각 용매별 분획분의 항균활성은 근피부의 petroleum ether 분획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항균활성성분을 분리하기 위해 항균력이 가장 높게 나타난 근피알코올추출물의 petroleum ether 분획분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였으며, 항균활성성분인 CI과 CII가 분리되었다. CI과 CII의 MIC을 측정한 결과 CI의 MIC은 $40{\mu}g/m\ell$였으며, $20{\mu}g/m\ell$의 농도에서도 균액의 접종흔적이 조금 남아있었을 뿐 균사의 생장은 관찰할 수 없었다. 또한 CII의 MIC은 $800{\mu}g/m\ell$였으며, $600{\mu}g/m\ell$의 농도에서도 균액의 접종흔적이 조금 있었을 뿐 다른 농도에서처럼 균사의 생장은 관찰할 수 없었다. 기기 분석 결과 CI과 CII는 기지(旣知)의 alkaloid 화합물들이었다.

  • PDF

In vitro Evaluation of Antidermatophytic Activity of Egyptian Bee Propolis in Combination with Plant Essential Oils in Sheep Hoof Plate: An Experimental Model

  • Mahmoud, Yehia A.G.
    • Mycobiology
    • /
    • 제31권2호
    • /
    • pp.99-104
    • /
    • 2003
  • Bee propolis ethanolic extract with some plant essential oils was investigated for its antidermatophytic properties. The tested plant essential oils included jasmine, clove, lemon, Arabian jasmine, mint, rosa, olive and basil. The antidermatophytic activity has been compared to Naftifine-HCl and Clotrimazole used for dermatophyte treatment. Experimental model has been tested using sheep hoof plate for the in vitro tests to stimulate human nails. Mint, clove and basil with 4 mg/ml of bee propolis have a comparable efficacy to those of Naftifine-HCl and Clotrimazole. There is a great necessity for new effective low price and safe antidermatophyte agents to avoid recurrent infection. Propolis synergistic could be of great importance with essential oils of plants in dermatophyte therapy.

표재성(表在性) 진균(眞菌)의 Thiocarbanilide(L-1) 처리효과에 대(對)한 전자현미경적(電子顯微鏡的) 관찰(觀察)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s of the Effects of Thiocarbanilides(L-1) on Dermatophytes)

  • 고춘명;김태원;유준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9-18
    • /
    • 1970
  • The present study is of ultra-fine structures of Trichophyton rubrum, Trichophyton mentagrophytes, Microsporum canis and Epidermophyton floccosum by means of electron microscopy and reveals the following. 1. In contrast to the bacteria, the normal fungus contains nuclear membrane, mitochondria, endoplasmic reticulun, distinct cell wall and cell membrane and secretory granules as observed in the higher plants and animals. 2. Thickening of the cell wall, inapparent cell wall, inapparent cell membrane with the appearance of electron thin area(ETA) and increase of inclusions were observed in the L-1 treated groups. 3. Thickening of cell wall and increase of ETA were more apparent in the Epidermophyton floccosum than the other groups. 4. Increase of electron thin area was thought to be associated with autolysis.

  • PDF

최근 30년간 Microsporum gypseum의 감염 상태(1976-2005) (The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Studies of Microsporulll gypsellm Infections (1976-2005))

  • 방용준;김쌍용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80-85
    • /
    • 2008
  • Microsporum gypseum is a geophilic fungus abundant in soil throughout the world. M. gypseum has been identifi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t 197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pidemiologic aspects of M. gypseum. We performed the epidemiologic study an 198 patients with M. gypseum infections in from January 1976 to December 2005. From 100,012 patients, dermatophytes were isolated as follows; Trichophyton rubrum was isolated from 86,553 (86.5%), T. interdigitale 3,991 (4.0%), Epidermophyton floccosum 1.021 (0.1%), T. tonsurans 141 (0.1%). T. mentagrophytes 3.930 (3.9%), T. verrucosum 220 (0.2%), Microsporum canis 3.879 (3.9%), and M. gypseum 198 (0.2%). Number of patients with M. gypseum by site and age were as follows; most patients infected with tinea corporis were young people under 10 years. M. gypseum were most frequently isolated in summer and autumn.

  • PDF

항사상균제(抗絲狀菌劑) 개발(開發)에 관한 연구(硏究)( I ) -Salicylaldehyde-o-phenylenediimine의 항진균작용(抗眞菌作用)-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Antifungal Agents(I) -Antifungal Activity of Salicylaldehyde-o-phenylenediimine-)

  • 정우태;이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5-88
    • /
    • 1980
  • The antifungal activity of salicylaldehyde-o-phenylenediimine, a derivative of Schiff base, was studied in vitro against various species of fungi, especially, dermatophytes. The antifungal test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tube-dilution method, and all subcultures were incubated at room temperature for 14 days. Salicylaldehyde-o-phenylenediimine was effective against fungi such as Trichophyton mentagrophytes, Trichophyton rubrum, Microsporum canis and Fonsecaea compacta. Trichophyton mentagrophytes was inhibited at $20{\mu}g$ per ml, Trichophyton rubrum at $40{\mu}g$ per ml, Microsporum canis at $6{\mu}g$ per ml, and Fonsecaea compacta at $2{\mu}g$ per ml.

  • PDF

토끼의 피부진균증에 대한 제충국화자비액의 도포치료효과 (Effects of Boiled Solution from Chrysanthemum Cineriaefolium Visiani Inunction Therapy on Dermatomycosis in Rabbits)

  • 장경진;배춘식;조용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2-176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fungal effect of Pyrethri Flos Boiled Solution (PFBS) from Chrysanthemum Cinerariaefolium Visiani on Microsporum canis, Microsporum gypseum and Trichophyton Mentagrophytes with 0.5 ml, 1ml, 2 ml. In comparative drugs, on Sabouraud's glucose agar medium to 2 ml respectively and PFBS on the rabbit skin lesions, in vivo experiments, were observ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PFBS slightly suppresed the growth of the fungi in 0.5 ml and markedly it in 1 ml and 2 ml. In comparative drugs, benzylbenzoate represented similar anti-fungal action in 2 ml compared with PFBS. While, salicylic acid and boric acid represented less suppression of growth of the fungi than PFBS in 0.5 ml. The effects of PFBS on the rabbit skin lesions inoculation with dermatophytes was almost normally recorved about Microsporum gypseum, Trichophyton mentagrophytes except Microsporum canis after 8 day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