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ays to first flowering

Search Result 10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고온기 폐광 자연냉풍 처리가 호접란의 화아분화와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eatment of Natural Cool Air from an Abandoned Mine on Flower Bud Formation and Flowering of Doritaenopsis 'Happy Valentine')

  • 채수천
    • 화훼연구
    • /
    • 제16권1호
    • /
    • pp.44-48
    • /
    • 2008
  • 호접란 촉성재배를 위한 하계 고온기 폐광 자연냉풍처리가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보령지방 폐광의 자연냉풍온도는 $12{\sim}14^{\circ}C$이였으며 이 온도를 주온 $22^{\circ}C$, 야온 $20^{\circ}C$로 조절하여 6월부터 8월까지 처리하였다. 이 온도는 호접란 화성유도 기본 온도범위이었으며, 이 때 외부 평균기온은 $28.4{\sim}32.8^{\circ}C$로 나타났다. 화경 발생은 20일저온경과에서 3% 발생되었으며, 45일 경과에서 65% 이상 발생되었고, 90일 경과에서 100% 발생하였다. 화경장은 30일 경과에서 48.7cm로 짧았으며, 60일 경과에서 62.4cm로 길어져 처리기간이 길수록 화경장이 신장되었다. 화수장, 소화수도 같은 경향이었고, 화경 마디수는 6~7개로 저온 경과일수와는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화는 45일 경과에서 9월 15일에 가장 빨리 개화되었고 저온 경과일수가 길수록 늦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온기 폐광 자연냉풍처리는 무처리에 비하여 화경 발생시기는 3개월, 개화기는 4개월 정도 촉진되었다.

광주기에 따른 배초향의 개화 및 화서 발달 특성 (Flowering and Inflorescenc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Mint Affected by Different Photoperiods)

  • 황희성;정현우;황승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88-193
    • /
    • 2022
  • 배초향은 잎을 식용으로 이용하는 작물로 영양생장을 유지하여 잎의 품질과 수량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작물의 생장이 영양생장에서 생식생장으로 전환될 경우 잎의 발달이 저하되어 상품성이 하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광주기에 따른 배초향 식물의 개화 특성 및 화서 발달을 조사하여 잎 생산을 위한 적정 광주기를 선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배초향 종자를 2021년 11월 29일에 105구 트레이에 파종하여 본엽이 4매 발생한 배초향 식물체를 2021년 12월 27일에 각각 포트에 정식하였다. 정식 후 명기/암기 시간을 10/14hrs, 12/12hrs, 14/10hrs, 16/8hrs로 조절하여 처리하였다. 정식 19일 후 광주기가 짧았던10/14hrs에서 첫 개화를 확인하였으며, 12/12hrs에서 20일, 그 외 처리에서는 21일 이후 개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명주기가 암주기에 비해 짧을수록 화서의 발달이 증가하는 것을 통해 본 식물이 양적 단일식물의 특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배초향의 생육은 광주기가 길수록 엽장, 엽수, 지상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 엽면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명주기를 14시간 이상으로 처리하는 것이 배초향의 엽채류로서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흑미의 종자 발달에 따른 색소발현 양상 (Expression of Pigments in Black Rice during Kernel Development)

  • 이점식;장재기;천아름;정명근;김혜원;오세관;이정희;윤미라;김대중;송유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27-131
    • /
    • 2012
  • 본 연구는 흑미의 종자 발달에 따른 색소발현 현상을 조사하여 품종육성 및 재배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최초 어느 시기에 색소가 발현하고, 이러한 색소의 발현순서와 종자 내에서 색깔의 차이가 나타나는 부위에 대해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초 색소발현은 개화 후 5일경에 종자의 정단에서 연한적자색을 관찰 하였으며, 이때 색소가 발현된 정도는 종자의 총 단면적 대비 0.08%였다. 색소발현 순서는 종자의 정단에서 기부로, 그리고 배면에서 마지막에는 복면 순이었으며, 색소가 종자 전체에 발현된 시점은 개화 후 25일 경이었다. 그 이후는 색이 적자색에서 흑자색으로 진해지는 시기였다. 수확 후 가시적인 종자 간 및 종자 내 색소발현이 불균일한 것을 골라 조사한 결과, 종자 내 복면부위가 다른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한 적자색을 띠었으며, 종자의 색소발현이 불균일한 부위는 복면 부위였다.

인삼의 기내 개화 결정시기의 측정 (Measurement of Determination Time of In-Vitro Flowering in Ginseng (Panax ginseng))

  • 이행순;이광웅;유장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347-351
    • /
    • 1994
  • 인삼의 기내 개화가 결정되는 시점을 조사하기 위하여 접합자배, 유식물체, 자엽마디 절편을 BA와 GA$_3$가 각각 5 $\mu$M 첨가된 MS 배지(화아유도 배지)에 배양하였다. 재료를 화아유도 배지에 다양한 기간 동안 배양하였다가 각각 생장조절제가 첨가되지 않은 기본배지로 옮기게 되면 화아유도가 결정된 재료에서만 개화가 가능하게 된다. 인삼의 기내 개화가 결정되는 데에는 10일간의 배양을 필요로 하였다. 조직학적 관찰 결과, 화아유도 배지에서 배양 10일째의 액아에 존재한 분열조직은 화아로 발달되도록 운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형태적으로는 엽아의 상태로 남아있었다. 이러한 분열조직은 배양 15일 경과한 후에야 비로소 전형적인화아의 외형을 갖추었다. 이러한 결과는 식물체에서 영양생장으로부터 생식생장으로의 전환시 일어나는 생화학적 혹은 분자생물학적 연구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녹심의 다수성 분홍색 반겹꽃 절화용 거베라 신품종 'Azalin' (A New High Yielding Gerbera 'Azalin' with Pink, Green Disc Floret and Semi-double for Cut-flower)

  • 박상근;임진희;최성열;신학기;이정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1호
    • /
    • pp.97-100
    • /
    • 2012
  •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09년 거베라 신품종 'Azalin'을 육성하였다. 'Azalin'은 분홍색 반겹꽃 'Basic'과 'Rosabella'를 교배하여 얻은 실생계통으로부터 2006년부터 2009년까지 4년 동안의 생육특성검정을 거쳐 선발된 절화용 품종이다. 꽃은 녹심의 밝은 분홍색(RHS RP68A)으로, 평균 직경이 10.6cm인 반겹꽃 대륜계통이다. 꽃목 직경은 상부 3.70mm, 하부 5.49mm 정도로 굵었다. 평균 개화소요일수가 88.5일로 대조품종보다 8.7일 빠른 조기개화성 품종이며, 연간절화수량도 55.8본/주로 대조품종보다 7.4본/주 더 많은 다수성 품종이다.

휴면타파부터 개화개시까지의 일 최저온도가 사과 생물계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aily Minimum Temperature of the Period from Dormancy Breaking to First Bloom on Apple Phenology )

  • 남궁경봉;윤성철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08-217
    • /
    • 2023
  • 정확한 자발휴면 타파일 및 개화기간 추정은 사과 화상병의 효과적 방제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자발휴면 타파일부터 개화 개시일까지 기간은 이 기간 동안의 일 최저기온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본 연구는 이 기간의 일 최저기온이 사과 생육단계 중 개화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화상병 방제를 위한 병모델 구동이 목적이었다. 원예특작과학원에서 제공하는 우리나라 사과나무 재배지역을 대표하는 8개 과수원에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웹캠으로 관측한 영상자료로부터 최초 개화 관측일을 얻었다. 또한 같은 과수원에서 자발휴면 타파일은 전년도 10월 1일부터 자동기상 측정 장비로부터 받은 기상자료를 활용하여 자발휴면 타파일은 -100.5 DD에 도달하는 날로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회귀분석은 자발휴면 타파일부터 개화 개시일까지의 기간(Y)을 종속변수로 이 기간 중 일 최저 기온이 0℃ 이하인 날(X1)이 며칠 인지를 독립변수로 하는 회귀식으로서 Y = 0.87 × X1 + 40.76, R2= 0.83의 결과로서 뚜렷한 양의 상관관계를 얻었다. 또한 같은 기간(Y)을 종속변수로 하고 자발휴면 타파일을 줄리안데이(X2)를 독립변수로 하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Y = -1.07 × X2 + 143.62, R2=0.92의 결과로서 뚜렷한 부의 상관관계를 얻었다. 따라서 자발휴면 타파일부터 개화 개시일까지의 기간은 월동 중 최저기온에 영향을 받으며, 이것이 사과 화상병 감염에 중요한 개화기간 변동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Variance of Agronomical Quantitative Traits in Mung Bean (Vigna radiata (L.) R. Wilczek var. radiata) Germplasm

  • Hyemyeong Yoon;Yu-Mi Choi;Kebede Taye Desta;Sukyeung Lee;Myong-Jae Shin;Xiaohan Wang;Joungyun Yi;Young-ah Jeo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31-31
    • /
    • 2023
  • Mung bean(Vigna radiata (L.) R. Wilczek var. radiata) is a legume that originated in India. It is the third most cultivated legume in Korea after soybean and adzuki bean. Recently, the use of mung bean seeds and sprouts in trendy foods such as rice noodles and Chinese-style stir-fry is expanding thereby increasing its demand. Subsequently, improvement of mung bean varieties is also being actively conducted. In this study, the important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of 324 mung bean germplasm were recorded and statistically investigated. Seeds of the mung bean germplasm were cultivated at an experimental field located in the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Jeonju, Korea) and 10 quantitative agricultural traits were investigated. Basic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ere then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variations of the quantitative traits among the germplasms (p < 0.05). The days to flowering, maturity, and growth were in the ranges of 31~80, 22~72, and 57~110 days with means of 45, 47, and 92 days, respectively. The highest frequency (f = 192) was for lodging score with 11~50%, while simultaneous maturity (f = 182) was below 50%. Other quantitative traits related to yield including the number of seeds per pod (CV = 10.9%), number of pods per plant (CV = 41.2%), and one-hundred seeds weight (CV = 36.6%) also showed significant variations. Correlation analysi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days to maturity and one-hundred seeds weight (r = 0.41) and the days to growth and simultaneous maturity (r = 0.39). In contrast, one-hundred seeds weight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number of pods per plant (r = -0.41) and the days to flowering (r = -0.29). Similarly, the days to growth and the number of pods per plant had a negative association with each other (r = -0.29).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vealed the number of days to maturity 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along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23.7%). In general, this study revealed wide variations in quantitative traits among the studied mung bean germplasm, which could provide several options for cultivar development.

  • PDF

참깨 개화, 등숙에 관한 연구 -제 1 보 참깨 초형에 따른 개화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lowering and Maturity in Sesame 1. Flowering Habit by Different Plant Types)

  • 이정일;강철환;이승택;손응룡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6-83
    • /
    • 1984
  • 참깨의 개화습성은 분지, 과성, 실방수 등 식물학적외부 특성차이에 의하여 8가지의 초형으으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참깨의 개화순서는 단경종이나 분지종 공히 상위부까지는 1절당 1일간격으로 개화되었으나 최상위절에서는 3∼8일이나 중단되었다가 다시 피는 개화일시정지현상을 보였는데 이러한 일시 개화정지현상은 참깨 후기등숙불량의 중요한 원인으로 추정되었다. 2. 단경종 3과성은 주화보다 측화는 4∼5절 하위절에서 개화시작되고 분지종 3과성은 주경에서 주화보다 측화는 3절 하위절에서 개화시작되었으며 분지에서는 주경주화가 5절위개화시 분지착화 1절에서 개화가 시작되었다. 3. 착화하위부에서는 같은 날에 측화는 주화보다 5절하위에서 피지만 그 거리는 상위부로 갈부록 좁혀들어 착화상위부에서는 측화는 주화보다 1절하위에서 피었다. 4. 착화중위부(7절∼9절)에서는 같은 날 한마디에서 1과성에서는 1개의 꽃이 개화되는 것이 정상이나 2개의 꽃이 개화되며(2과성), 3과성(3화성)에서는 4과성(4화성) 심지어는 5과성(5화성)으로까지 발현되는 현상을 보였다. 5. 분지종에서는 분기총화수가 전체화수의 BTQ형의 44%를 제외하고는 모두 67%∼75%를 보여 분지종에서 분지화수가 전체화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으며 고위분지일수록 개화기간이 길어지고 화수가 많아지는 현상을 보였다. 6. 분지종 3과성 2실 4방(BTB형)은 주경과 분지에서 공히 3과성으로 개화되고 개화기간도 같은데 반해, 분지종 3과성 4실 8방(BTQ형)은 주경만이 3과성으로 개화되었을 뿐 분지는 1 과성으로 개화되었고 개화중기까지 만 분지에서 개화되고 개화후기에는 주경만이 개화되었다. 7. 분지종은 평균 128개가 개화되었고 단경종은 72개가 개화되어 화수는 분지종이 많았고 개화소요일수는 단경종이 34일인데 비해 분지종은 24일로서 단경종보다 10일이 빨라서 분지종이 화수는 많고 개화기간은 짧은 경향을 보였다. 8. 단경종보다는 분지종의 개화수가 현저히 많고 분지종중에서도 3과성2실4방이 가장 많아 NMB<NMQ<NTQ<BMQ<NTB<BMB<BTQ<BTB의 경향이 뚜렷하였다. 9. 참깨의 꽃을 엽액에 착생되기 때문에 참깨의 꽃과 잎의 착생위치는 일치되며 BMB와 NTB형의 개화진행 습성은 역시계침, 나선형으로 개화가 진행되는 십자나선형화서, 십자나선형엽서를 보였다.

  • PDF

Agronomical traits of Korean Mungbean Landrace

  • Yu-Na Kim;Soo-Kwon Park;Dool-Yi Kim;Mi-Suk Seo;Jung-Kyung Moon;Hyeon-Jung Kang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24-224
    • /
    • 2022
  • Mungbean(Vigna radiata (L.) R. Wilczek) is one of legume cultivated in south and east Asia. It well cultivated in high temperature and drought condition. In order to establish pure line for genomic studies, the agrono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ungbean landraces were evaluated. A total of 324 acessions derived from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were selfed two times in 2021 nersery. Tree times of selfed from 324 accessions were characterized. The color of seed coat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green, yellow and brown. Among them green color was the most common with 91.7%. Flower color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yellow, purplish yellow, greenish yellow and purplish green. Among them purplish yellow color had the highest with 77.8%. Out of 324 resources, only 4 showed compound leaves, and all resources had a heart-shaped leaf. The days to first flowering was 31 to 78 days. About 63% of the accessions bloomed 35 to 50 days after sowing. 324 Korean landraces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population of the Korean mungbean core collection and serve as a basis for genomic breeding materials for mungbean.

  • PDF

뿌리혹병 감염이 장미의 생육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rown Gall Infection on Growth and Flowering of Rose)

  • 한경숙;김원희;박종한;한유경;정승룡
    • 식물병연구
    • /
    • 제14권3호
    • /
    • pp.159-164
    • /
    • 2008
  • 양액장미에서 발생하는 뿌리혹병에 대해 2003년부터 2007년 까지 피해상황을 조사하였다. 장미 뿌리혹병은 최고 38.1%까지 발생하였으며, 양액재배하는 장미에서 피해가 더욱 심하였다. 전형적인 뿌리혹병 병징은 뿌리와 지제부에 주로 발생하여 생육을 지연시키며 발근억제 뿐아니라 수량감소를 초래하였다. 삽목과정에서 뿌리혹병에 감염될 경우 발근율이 57.5%로 건전주에 비해 현저히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뿌리혹병이 감염된 식물체 부위별로 볼 때 지제부에 감염될 경우 새로운 신초생장을 억제하기 때문에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Fig. 1-B). 인공접종을 통해 생육중인 장미에서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건전주의 수량이 19.1본/$m^2$에 비해 감염주는 9.5본으로 수량에 있어 큰 차이를 보였고 절화길이 또한 건전주 65.2cm에 비해 44.0cm로 현저히 짧아짐으로서 절화장미의 상품성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개화까지 소요되는 일수를 비교해 보면 건전주와 감염주가 각각 51.2일, 39.8일(1차 수확), 60.6일, 52.1일(2차 수확)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장미 뿌리혹이 지제부에 감염될 경우 신초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심각한 경제적 수량감소를 초래하여 건전주에 비해 38.7%의 수량감소를 나타내고 개화기까지 소요일수가 8-10일까지 지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