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y of first germination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3초

섬쑥부쟁이 발아에 미치는 온도, 광조건 및 Priming 처리의 효과 (Effect of Temperature, Light Condition, and Priming Treatement On the Germination of Aster glehhi FR. Seed)

  • 최금순;박권우;강호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32-138
    • /
    • 2003
  • 섬쑥부쟁이의 대량번식 체계를 구명하고 발아 및 입 묘율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온도와 광조건, 그리고 priming 처리약제, 처리농도, 처리기간이 발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온도에 따른 발아율은 20, 25$^{\circ}C$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며 30$^{\circ}C$에서 발아율이 급격히 낮아졌고 35$^{\circ}C$에서는 전혀 발아하지 않았다. 발아개시일은 15$^{\circ}C$에서 가장 늦어졌으며 온도가 높아질수록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높은 온도에서는 쉽게 부패하였다. 발아세는 25$^{\circ}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5, 20, 30$^{\circ}C$ 순으로 낮이졌다. 굉조건 실험에서 발아율, 발아개시일, 발아세, $T_{50}$ 등이 명 처리에서 증진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 차는 없었다 Priming 처리기간별로 발아율을 보면 평균적으로 3 시간 처리가 30 분처리보다 높았다. 섬쑥부쟁이 종자에 0.3M $KNO_3+K_3PO_4$를 3시간 처리할 경우 발아율이 83.3%로 가장 높았고 역시 $T_{50}$도 가장 짧았다. $T_{50}$과 발아개시일은 30분 처리가 3시간 처리보다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모든 priming 처리가 대조구보다 좋은 결과를 보였다. 발아세는 모든 처리가 대조구보다 높았으나 처리시간에 따른 효과가 없었다.

발아기간에 따른 대두 품종별 이소플라본 및 영양성분 변화 (Studies on Changes of Isoflavone and Nutrients during Germination of Soybean Varieties)

  • 전수현;이경애;변광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85-489
    • /
    • 2005
  • 대두의 길이와 무게는 발아기간에 따라 4품종 모두 증가하였고, 특히 콩나물용 풍산나물콩은 $2.4{\sim}25cm$로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으며 장류 및 두부콩인 진품콩은 $2.43{\sim}13.57cm$로 가장 낮았다. 무게의 변화는 대립검정콩인 검정콩1호가 $0.54{\sim}0.94g$으로 가장 높은 변화를 보였으며, 진품콩이 $0.48{\sim}0.9g$으로 가장 낮은 변화를 보였다. 모든 품종의 수분은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며, 회분은 발아 전 보다 증가하였다. 조지방의 경우 진품콩은 감소, 풍산나물콩, 신팔달2호, 검정콩1호는 증가했으며, 조단백은 4품종 모두 증가했다. SDS-PAGE는 콩의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 고분자량 subunits가 전분자 peptide로 이행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콩의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서 콩단백질이 저분자 peptide로 분해되고 생장을 위한 아미노산 대사에 소비되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저분자 polypeptides subunits의 이용을 통해 다양한 기능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대두 중 총 이소플라본 함량을 진품콩은 발아 4일째, 풍산나물콩은 발아 2일째, 신팔달2호는 발아 2일째, 검정콩1호는 발아 4일째에 각각 총 이소플라본 함량이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발아시기에 따른 이소플라본의 이 같은 변화를 응용하여 가공용도별로 사용한다면 기능성식품 개발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Germination of West African Ebony (Diospyros mespiliformis Hochst) Seeds: Effects of Dehydration and Different Pre-sowing Treatments

  • Kanmegne, Gabriel;Mbakop, Christelle Nya;Fonkou, Theophil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6권4호
    • /
    • pp.267-273
    • /
    • 2020
  • Diospyros mespiliformis is a highly valued and threatened tree species within the Sahelo-Sudanian zone of Africa, but its seed germination requirements under cultivation are not well researched. In a first experiment which aimed at determining germination response of seeds to dehydration, fresh seeds were dried at room temperature for 26 days during which their moisture content, their germinability, and their viability were monitored at two-day intervals. In the second experiment, 14 pre-germination treatments were tested for their effect on the germination of dried seeds. Results showed that fresh seeds had 52.7% moisture and achieved 97.7% germination. As seeds were dried, percentage germination gradually decreased with decreasing moisture content and reached 0% when moisture content had dropped to 18%. Meanwhile, seed viability remained at 100% over drying duration. Seeds that were not germinated after air dry also recorded 100% viability.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for inducing germination of dried seeds was scarification using 98% sulfuric acid for 30 min which resulted in 96.6% germination. This study reports for the first time in D. mespiliformis seeds a desiccation-induced dormancy which can be efficiently alleviated by acid scarification.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hat will contribute to efficient management of D. mespiliformis seed resources for propagation.

유색미 품종의 발아 시 화학성분의 변화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Pigmented Rice during Germination)

  • 박영희;김보라;류수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3권1호
    • /
    • pp.18-24
    • /
    • 2018
  • 본 연구는 유색 과피 품종의 발아 기간에 따른 화학성분 함량 변화를 조사하여 기능성 식품으로 활용할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흰색 과피 2품종과 흑자색 과피 6품종에 대하여 성분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아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으로 발아 6일째에 가장 높았다. 조지방 함량은 흰색 과피 품종에서는 발아 후 6일에 가장 높았으나, 흑자색 과피 품종에서는 발아 4일째 감소 후 계속 증가하여 8일에 가장 높았다. 조섬유 함량은 발아 후 8일째까지 가장 높았으나 발아 기간 중 경향이 일정하지 않았다. 유색 과피 품종의 sucrose, glucose 및 fructose 함량은 발아 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나, 흰색 과피 품종에서는 glucose 함량이 발아 후 8일에 현미 상태보다 증가하였고 sucrose와 fructose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흑자색 과피 품종의 발아현미 GABA, alanine, glutamic acid, asparagine, aspartic acid은 발아 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다. 특히 GABA는 172배 증가하였다. 흰색 과피 품종에서는 aspartic acid와 asparagine은 발아 전 현미 함량보다 감소하였다. Lysine은 모든 품종에서 발아 전에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발아 2일부터 검출되었는데, 발아 6일에 흰색 과피 품종에서는 6.24 mg/100 g, 유색 과피 품종에서는 15.58 mg/100 g로 증가하였다.

On the Possible Function of Telfairia occidentalis Agglutinin in the Plant

  • Togun, R.A.;Otusanya, O.;Aboderin, A.
    • BMB Reports
    • /
    • 제37권6호
    • /
    • pp.715-719
    • /
    • 2004
  • The fate of Telfairia occidentalis seed Agglutinin, TOA, has been monitored during germination. While the level of the Agglutinin in the cotyledons decreased sharply in the first three days to about half of the initial level, it stabilises at this level for the following twelve days. In this interval, Agglutinin activity becomes manifest in the radicle on the fourth day, peaking on the fifth and decreasing rapidly thereafter. In the plumule, the lectin activity becomes manifest on the sixth day, peaks on the seventh and decreases rapidly thereafter. No lectin activity is detectable in any plant tissue including the rump of the cotyledons twenty-seven days after germination. The implications of these observations on the possible role of lectins in plants are discussed.

Evaluation of Strains of Metarhizium anisopliae and Beauveria bassiana against Spodoptera litura on the Basis of Their Virulence, Germination Rate, Conidia Production, Radial Growth and Enzyme Activity

  • Petlamul, Wanida;Prasertsan, Poonsuk
    • Mycobiology
    • /
    • 제40권2호
    • /
    • pp.111-116
    • /
    • 2012
  • Ten strains of the entomopathogenic fungi Metarhizium anisopliae and Beauveria bassiana were evaluated to find the most effective strain for optimization studies. The first criterion tested for strain selection was the mortality (> 50%) of Spodoptera litura larvae after inoculation of the fungus for 4 days. Results on several bioassays revealed that B. bassiana BNBCRC showed the most virulence on mortality S. litura larvae (80% mortality). B. bassiana BNBCRC also showe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72.22%). However, its conidia yield ($7.2{\times}10^8$ conidia/mL) was lower than those of B. bassiana B 14841 ($8.3{\times}10^8$ conidia/mL) and M. anisopliae M6 ($8.2{\times}10^8$ conidia/mL). The highest accumulative radial growth was obtained from the strain B14841 (37.10 mm/day) while the strain BNBCRC showed moderate radial growth (24.40 mm/day). M. anisopliae M6 possessed the highest protease activity (145.00 mU/mL) while M. anisopliae M8 possessed the highest chitinase activity (20.00 mU/mL) during 96~144 hr cultivation. Amongst these criteria, selection based on virulence and germination rate lead to the selection of B. bassiana BNBCRC. B. bassiana B14841 would be selected if based on growth rate while M. anisopliae M6 and M8 possessed the highest enzyme activities.

북한산림복구용 종자 변온침지 처리를 통한 발아특성 연구 (A Study on Germination Characteristics through Seed Variable Immersion for Restoration of North Korea Forest)

  • 최종오;박용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0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through the temperature change treatment compared to the general room temperature immersion treatment of the native species, the Larix kaempferi, and the Berula platyphyllavar. japonica seeds, and to obtain basic data for the production of healthy seedlings with high productivity and efficiency. As a result, the germination rate of the larch seed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room temperature and temperature immersion treatment, and the average germination days of the birch seed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room temperature immersion and temperature immersion treatmen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rminal uniform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fallen leaves were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in the treatment of 1.5 days of hot water and 1.5 days of cold water, the fastest germination rate, the lowest average germination day, and the highest germination uniformity. This is the best result in most items, and the change temperature immersion treatment of hot and cold baths was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room temperature immersion treatment. Second, the results of birch tree showed that the germination rate was the highest in 1.5 days of hot water and 1.5 days of cold water. The average germination day is 1.5 days of cold water 1.5 days of hot water 1.5 days, but the difference between 1.5 days of hot water and 1.5 days of cold water is 0.01 days. The highest germinated uniformity was found in 1.5 days of cold water and 1.5 days of hot water. As a result, in the case of larch and birch, the seed temperature immersion (1.5 days of hot water, 1.5 days of cold water) treatment is superior to the existing three-day immersion treatment in various analysis methods, and it is expected that productivity and efficiency can be improved at a low cost in a short period of time at the seedling production site through seeds.

오이 떡잎의 발달 과정에서 carnitine의 검출과 변화 (Measurement of and Changes in L-carnitine Levels in Developing Cucumber Cotyledon)

  • 차현정;김대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21-427
    • /
    • 2019
  • 지방 저장 종자의 발아 시 저장 지방의 유동은 떡잎이 스스로 광합성을 하기 전까지 탄소 에너지원을 공급하기 위한 핵심적인 대사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오이 종자의 발아와 유식물의 발달 및 노쇠화 과정의 떡잎에서 식물성 카니틴의 검출과 변화를 처음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또한 오이 떡잎의 전 발달과정에서 불포화 지방산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카니틴은 오이 종자의 파종 후 3일째 떡잎에서 14.5 nM 수준으로 최고조에 달하며, 4일째에는 그 절반 수준인 7.2 nM 수준으로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이후 이어지는 3일 동안 7일째까지 카니틴은 ~3.0 nM 수준을 유지하였다. 같은 시기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카니틴이 최고조에 달하는 파종 후 3일째 급격히 떨어지고, 5일째 저장 지방은 완전히 고갈되는 것으로 보인다. 파종 9일째부터 카니틴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떡잎이 절반 노랗게 변한 노쇠화 중기의 떡잎에서 6.8 nM 수준으로 검출되었는데, 이 검출량은 오이 종자의 파종 후 저장 지방이 고갈되어가는 4일째 떡잎에서 검출된 카니틴의 양과 비슷한 수준이다. 파종 5일 이후 광합성 기능을 완전히 확보한 녹색 떡잎에서 불포화 지방산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며, 노쇠화 단계에 접어든 떡잎에서는 세포의 내막 구조물들이 파괴되며 또다시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다소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카니틴과 불포화 지방산의 검출과 변화의 관찰은 오이 떡잎의 발달과정에서 밝혀진 최초의 발견이다. 이것은 오이 종자의 발아와 떡잎의 발달과정에 카니틴 대사와 관련 BOU 유전자 발현이 밀접하게 공조함을 확인한 것이다. 또한 오이 종자의 발아과정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글라이옥실산 회로와 더불어 부가적인 탄소원 이동의 경로의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전자빔과 감마선 조사된 무순 및 적양배추 종자의 발아 중 미생물학적 및 생리적 품질특성 (Microbiological and Physiological Qualities of Electron-beam and Gamma-ray Irradiated Sprout Seeds(Radish, Red cabbage) during Germination)

  • 박주환;김귀란;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6-191
    • /
    • 2009
  • 다수요 새싹채소 중 무순과 적양배추의 종자를 선택하여 전자선과 감마선(0, 1, 3, 5 kGy)을 처리한 다음 생리적 특성과 발아과정 중 미생물 제어효과를 비교하였다. 무순과 적양배추 종자의 총세균 농도는 각각 5.02와 2.86 log CFU/g 이었으나 3 kGy 이상의 방사선 조사에 의해 $2{\sim}3$ log cycle 정도 감소하였다. 새싹의 재배과정 중 총세균의 농도는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재배 3일까지는 조사구와 비조사구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나 5일 재배 후에는 비조사구와 조사구 간에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새싹종자에는 대장균군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새싹재배 중 농도가 증가하여 재배 말기에는 $4{\sim}5$ log CFU/g 수준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방사선 조사시료에서는 재배 1일까지는 발견되지 않다가 3일부터는 아주 낮은 농도를, 재배 5일째의 1 kGy 조사 무순은 1 log CFU/g 수준을, 적양배추는 2 log CFU/g 수준을 각각 보이면서 시료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3 kGy 이상 조사구에서는 대장균군이 매우 낮은 수준을 보이거나 검출되지 않았다. 방사선 조사는 선원에 관계없이 새싹의 수분함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발아율은 1 kGy에서는 7%, 3 kGy에서는 18% 정도 감소되었다. 새싹의 수율은 1 kGy에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3 kGy이상의 조사선량에서 약 $10{sim}50%$ 감소하였으며 길이 변화 또한 새싹의 수율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어 선량이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양배추 새싹의 수율과 길이는 감마선에 비해 전자선 조사(1, 3 kGy) 시료에서 양호하게 나타났다.

세엽형 훼스큐속 잔디의 발아특성 및 일일 발아패턴 비교 (Comparison of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Daily Seed Germinating Pattern in Fine-textured Fescues)

  • 김경남;박소향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4호
    • /
    • pp.567-573
    • /
    • 2010
  • 본 연구는 세엽형 훼스큐 초종 간 초기 발아특성 및 발아 패턴을 파악하고자 시작하였다. 공시재료는 CF, CRF, HF 및 SF 4종류에서 선정한 6품종을 이용하였다. 발아실험은 국제종자검정협회 요구 조건인 ISTA 변온조건에서 수행하였으며 조사는 치상 후 1일 간격으로 일일 발아율 및 누적 발아율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ISTA 변온환경에서 세엽형 훼스큐 종자의 발아력, 발아특성 및 발아패턴은 초종 및 품종에 따라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종자 발아력은 품종에 따라 40.25-82.00% 사이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공시 초종의 발아패턴 경향은 CF, CRF 및 SF는 치상 후 5-6일 사이에 최초 발아가 시작되었다. 하지만 HF는 1일 늦은 치상 후 6-7일 사이에 최초 발아가 시작되어 초종에 따라 1일간 차이가 있었다. 세엽형 훼스큐 초종이 발아율 50%에 도달한 기간은 최초 발아 후 2-4일 경과 후 인 치상 후 8-10일 사이로 초종 간 2일 정도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실무적으로 필요한 발아율 60% 도달기간은 초종에 따라 치상 후 최소 9.10일에서 최대 14.80일 사이로 초종 간 발아속도 차이가 5.70일로 나타났다. 공시 초종 중 60% 발아율 도달 기간이 가장 빠른 품종은 CF 'Jamestown II', CF 'Shadow II' 및 HF 'Aurora Gold' 품종이었고, 반대로 가장 느린 종류는 HF 'Rescue 911' 품종이었다. 그리고 ISTA 변온환경에서 세엽형 훼스큐 초종 간 조성 속도는 CRF < SF < HF < CF 순서로 빠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초종 및 품종 간 특성 비교 데이터는 골프장 등 잔디밭 시공 시 실무적인 기초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