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tosolic fraction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7초

녹차가 흰쥐의 혈청 및 간의 지질성분과 항산화계 효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een Tea on the Lipid Composition of Serum and Liver and the Activities of Antioxidative Enzymes in Rats)

  • 정희정;유영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1-49
    • /
    • 1996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een tea on the lipid composition of serum and liver and the specific activities of antioxidative enzymes. Male Sprague Dawley rats were fed 10% fat diet with lard and fish oil. Powdered green tea was added to the lard and fish oil diet at the level of 0.1% and 1%. After 6 weeks of feeding, serum and liver were obtained from experimental rats. Then we measured the concentration of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From liver cytosolic fraction, we analized the specific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The level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decreased and the ratio of HDL-cholesterol to total cholesterol was increased by the fish oil in the serum. But in the liver, the level of total cholesterol was increased by the fish oil and green tea than the lard. The specific activities of glutathione S-transferase were more increased in the fish oil than the lard. There was not effect of the green tea of daily dose on the lipid composition of serum and liver and the specific activities of antioxidative enzymes in rats.

  • PDF

멜라닌생성억제제인 코직산 모노스테아레이트의 가수분해와 피부투과성 및 in vivo 미백효과 (Hydrolysis , Skin Permeation and In Vivo Whitening Effect of Kojic Acid Monostearate as an Antimelanogenic Agent)

  • 하용호;유성운;김동섭;임세진;최영욱
    • 약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39-45
    • /
    • 1998
  • Kojic acid, antimelanogenic agent, has been widely used in cosmetics to lighten the skin color. However, it has skin irritancy and instability against pH, temperature and light. To overcome these problems and optimize the molecular structure of kojic acid (KA), a prodrug, kojic acid monostearate(KMS), has been synthesized to modify the topical drug delivery in the point of sustained release of the parent drug via enzymatic hydrolysis during skin absorption. The prodrug was tested for enzymatic hydrolysis with cytosolic fraction of hairless mouse, skin. From the in vitro skin permeation study through hairless mouse skin, we found that KMS was retained in the skin and generated KA continuously by the skin esterase cleavage. In addition, topical formulations of o/w type creams and polyolprepolymer-containing cream were further tested for whitening effects using in vivo yellow skin guinea pig model.

  • PDF

쥐의 간 발암과정에서 N-3, N-6 지방산 섭취 및 d-Limonene 투여가 생체막 지질조성 및 Protein Kinase C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3, N-6 Fatty Acid and d-Limonene Treatment on Membrane Lipid Composition and Protein Kinase C Activity in Experimental Rat Hepatocarcinogenesis)

  • 김미정;김정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328-1336
    • /
    • 2003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발병률이 높은 간암의 발생과정에서 정어리유와 d-limonene의 섭취가 미치는 영향을 세포막 지질조성 및 PKC활성도를 통해 조사하여 이들의 항암 작용관련 기전을 규명 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유된 흰쥐를 지방산 조성이 아주 다른 옥수수유, 정어리유를 15% 수준으로 공급하고 d-limonene 섭취군은 5%수준으로 공급하여 실험군에서는 발암물질인 DEN을 2회 복강 주사하고 PB를 물에 섞어 주어 20주간 사육하여 membrane fraction의 지방산 조성 및 지질의 조성, glutathione-S-transferase, PKC 활성도를 조사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간 세포막의 콜레스테롤과 인지질 함량에 대한 C/PL ratio는 옥수수유군에서 발암물질 투여나 d-limonene의 섭취에 따른 효과가 없었으나 정어리 유군에서는 발암물질 투여시, d-limonene 섭취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어 식이지방의 종류에 따라 발암물질과 d-limonene의 작용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embrane fraction의 인지질 조성은 CL을 제외한 PE, PI, PG, PC, PS와 PE/PC ratio등 모두에 있어서 식이지방의 종류, 발암물질의 투여, d-liomnene섭취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세포막의 지방산 조성을 나타내는 n-6/n-3 ratio가 정어리유군에서 옥수수유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고, 옥수수유군에서는 발암물질 투여나 d-limonene의 섭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했으나 정어리유군에서는 발암물질과 d-limonene에 의한 차이가 없었다. Cytosolic PKC의 활성은 식이지방의 종류와 발암물질 투여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d-limonene의 섭 취에 따라 유의적 감소를 나타냈으며, 막부착 PKC의 활성은 옥수수유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d-limonene 섭취에 따라 감소 경향을 발암물질 투여에 따라서는 증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GST활성은 식이 지방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발암물질 투여와 d-limonene 섭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발암물질과 d-limonene을 같이 공급시에 더욱 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종합에 보면 암화과정에 일어나는 지방의 대사가 식이지방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특히 정어리유군에서 d-limonene에 의한 C/PL ratio가 감소하여 막 유동성에 변화를 초래하고, 이에 따라 membrane bound enzyme의 활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식이지방의 종류가 암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고, 막부착 PKC 활성도를 감소시켜 발암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 효과는 지방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n-3 지방산이나 d-limonene이 PKC expression을 감소시키고, apopotosis 촉진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켜 tumor cell의 apoptosis를 증가시킨다고 하여 n-3 지방산과 d-limonene의 또 다른 발암억제기전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n-3 지방산과 d-limonene의 상호효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므로 d-limonene과 n-3 지방산의 교호작용에 의한 발암억제 기전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분열유발인자에 의한 흰쥐 림프구 단백의 인산화 (Phosphorylated Proteins of Mitogen Stimulated-Rat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 주일로;고성수;안영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1-130
    • /
    • 1993
  • 흰쥐 말초 T림프구에 분열유발 물질인 PMA와 Con A를 투여하여 인산화되는 단백을 확인하고, PKC 억제제인 H-7, CaM kinase 억제제인 W-7을 전처치한 후의 인산화 변동과 시간 경과에 따른 인산화 변동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흰쥐 T림프구를 PMA로 자극하면 5개의 인산화 단백이 새로이 나타나고 7개 단백의 인산화가 증가 되었으며, Con A자극으로는 1개의 단백이 새로이 인산화 되고 7개 단백의 인산화가 증가되었다. PMA 및 Con A자극으로 인산화 되는 13개 단백은 kinase억제제 전처치에 의하여 3군으로 각각 구분되며, H-7 전처치로 24 kDa/pI 7.1, 24/7.2, 26/6.1, 74/6.2 단백의, W-7 전처치로 14 kDa/pI5.9, 28/6.8, 29/6.9, 28/7.0, 44/6.8, 58/6.2 단백의 인산화가 현저히 감소 되었으며, 18 kDa/p1 5.4, 25/7.3 및 54/5.2단백은 두 억제제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들 인산화 단백은 대부분 세포의 soluble fraction에서 확인되며 자극후 반응 초기에 인산화 된 후 인산화가 감소하나, 침전물에서 관찰되는 소수의 인산화 단백은 지속적인 인산화를 보였다. 한편 Kinase 억제제 처리에 의하여 구분된 3군에 속하는 단백들의 시간에 따른 인산화 양상을 관찰한 결과 각 군에 따른 인산화 양상에 상호 연관성이 없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보아 림프구 활성의 초기 단계에서 인산화 되는 단백에는 PKC, CaM kinase 및 다른 kinase에 의해 인산화 되는 3종류의 단백이 존재하며, 3종류의 kinase의 활성은 단계적인 활성이 아니라 독립적 또는 상호 협동적으로 작용하여 림프구 활성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정지기 Salmonella typhimurium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세포질 단백질의 동정 및 발현조절에 대한 연구 (Identification and Chararterization of Stationary-phase Specific Cytosolic Protein in Salmonella typhimurium)

  • 유아영;김영희;유종언;김삼웅;백형석;강호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2호통권82호
    • /
    • pp.298-304
    • /
    • 2007
  • Salmoenella는 대표적인 intracellular pathogen으로 숙주의 면역 세포인 macrophage 내에서 살아남아 이들을 매개로 숙주의 몸 전체를 이동해 가면서 전신성 감염을 일으킨다. 살모넬라는 숙주 세포 내부의 이러한 극한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어 기작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적인 스트레스가 작용하는 정지기 Salmonella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단백질에 주목하였다. 정지기 상태의 Salmonella에서 약 20 kDa의 단백질이 특이적으로 많이 발현되었으며, 세포질 분획을 통해 이 단백질이 세포질 부분에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MALDI-TOF 분석을 통해 이 단백질이 $\b{D}NA$ binding $\b{p}rotein$ in $\b{s}tationary$ phase (Dps) 단백질임을 확인하였다. Dps 단백질은 스트레스가 주어진 상황에서 DNA에 비특이적으로 결합하여 DNA가 안정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스트레스로부터 염색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의 연구를 위하여 과발현하여 정제한 Dps 단백질을 토끼에 주사하여 Dps 특이적인 항체를 제조하였다. dps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자 단백질을 알기 위하여 다양한 S. typhimrium 돌연변이주들 내에서의 Dps 단백질양을 조사하였다.

마우스 대식 세포주 RAW264.7에 있어서 LPS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반응에 대한 식용피(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의 저해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Flavonoids Kaempferol and Biochanin A-enriched Extract of Barnyard Millet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Grains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 이지영;전도연;윤영호;고지연;우관식;우미희;김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1호
    • /
    • pp.1157-1167
    • /
    • 2014
  • 잡곡은 대사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우수한 기능성 식품소재로 인식되고 있다. 국내산 잡곡들(기장, 황금찰수수, 노랑차조, 율무 및 식용피)을 대상으로 항염증 활성을 비교조사하고자, 이들 잡곡의 80%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마우스 대식세포주 RAW264.7을 지질다당류(LPS)로 자극할 때 생성되는 염증 매개인자인 산화질소(NO)의 생성에 미치는 저해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식용피(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유래의 에탄올 추출물이 LPS에 의해 유도되는 NO의 생성을 저해하는 항염증 활성에 있어서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식용피의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항염증 관련 성분을 규명하기 위해, 80%에탄올 추출물을 물에 녹인 후 n-hexane, methylene chloride (MC), ethyl acetate (EtOAc), n-butanol (BuOH)과 물 분획들로 단계별 분획하고, 각 분획의 항염증 활성을 조사하였다. RAW264.7 세포에 MC 분획($100{\mu}g/ml$)을 전처리하였을 때, LPS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iNOS, COX-2, 그리고 친염증성 사이토카인들(IL-$1{\beta}$, IL-6, 및 TNF-${\alpha}$)의 발현이 현저하게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PS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p38MAPK, JNK 및 ERK의 활성화의 경우도 MC 분획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HPLC분석을 통해, 식용피 유래 MC 분획의 항염증 활성은 식용피의 MC 분획 속의 주요성분인 kaempferol과 biochanin A에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식용피 및 식용피의 MC 분획이 염증성 질환과 이와 관련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과 예후개선에 유리한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Cytochrome C Release and Caspase Activation Induced by 3-Deazaadenosisne is Inhibited by Bcl-2

  • Lee Yong-Joon;Choi Mi-Hyun;Lee Jung-Hee;Kim Ho-Shik;Lee Jeong-Hwa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57-63
    • /
    • 2006
  • Deazaadenosine analogs such as 3-deazaadenosine (DZA), 3-deazaaristeromycin (DZAri) and ara-3-deazaadenine (DZAra-A) were developed as inhibitors of S-adenosylhomocysteine (Ado-Hcy) hydrolase (EC 3.3.1.1). These analogs were reported to induce apoptosis in human and murine leukemic cells. But, the mechanism involved in this apoptosis was not clarified yet. In the present study, we analyze the apoptosis induced by deazaadenosine analogs in human cervival cancer cell line, HeLa and the effect of Bcl-2 on this apoptosis. Whereas neither DZAri nor DZAra-A showed inhibitory effect on HeLa cell growth, DZA induced apoptosis in HeLa cells accompanied by cytochrome c release and activation of various caspases such as caspase-2,-8,-9 and -3. In HeLa-bcl-2 cell line, a stable transfectant of HeLa cell to overexpress Bcl-2, cytochrome c release, activation of all these caspases and the resulted apoptosis by DZA were completely prevented. By in vitro assay of cytochrome c release, in addition, DZA induced cytochrome c release from purified mitochondria of HeLa-pcDNA3 cells, but not HeLa-bcl-2 cells, even in the absence of cytosolic fraction.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DZA might damage directly mitochondria leading to activate intrinsic pathway of caspase and thus induce apoptosis. DZA-induced apoptosis in HeLa cells may be in a bcl-2-inhibitable manner and irrelative of Ado-Hcy hydrolase.

  • PDF

Silibinin Induces Apoptotic Cell Death Via ROS-dependent Mitochondrial Pathway in Human Glioma Cells

  • Shin, Won-Yong;Jeong, Ji-Cheon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888-894
    • /
    • 2009
  • It has been reported that silibinin, a natural polyphenolic flavonoid, induces cell death in various cancer cell types. However, the underlying mechanisms by which silibinin induces apoptosis in human glioma cells are poorly understood. The present study was therefore undertaken to examine the effect of silibinin on glioma cell apoptosis and to determine its underlying mechanism in human glioma cells. Apoptosis was estimated by FACS analysi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and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Psi}m$) were measured using fluorescence dyes DCFH-DA and $DiOC_6$(3), respectively. Cytochrome c release from mitochondria and caspase-3 activation were estimated by Western blot analysis using specific antibodies. Exposure of cells to 30 mM silibinin induced apoptosis starting at 6 h, with increasing effects after 12-48h in a time-dependent manner. Silibinin caused ROS generation and disruption of ym, which were associated with the silibinin-induced apoptosis. The silibinin-induced ROS generation and disruption in ym were prevented by inhibitors of mitochondrial electron transport chain. The hydrogen peroxide scavenger catalase blocked ROS generation and apoptosis induced by silibinin. Silibinin induced cytochrome c release into cytosolic fraction and its effect was prevented by catalase and cyclosporine A. Silibinin treatment caused caspase-3 activation, which was inhibited by DVED-CHO and cyclosporine A. Pretreatment of caspase inhibitors also protected against the silibinin-induced apoptosi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ROS gener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initiation of the silibinin-induced apoptotic cascade by mediation of the mitochondrial apoptotic pathway including the disruption of ${\Psi}m$, cytochrome c release, and caspase-3 activation.

유기 음이온계 약물의 간내 이행과정에 있어서 Cytoskeleton의 역할에 관한 속도론적 연구 (Kinetic Analysis of the Hepatic Transport of Organic Anions: Role of Intracellular Cytoskeleton)

  • 정연복;한건;육동연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2권1호
    • /
    • pp.11-21
    • /
    • 1992
  • The effects of colchicine on the plasma elimination and biliary excretion of various organic anions in rats were examined. Elimination of indocyanine green (ICG) or rose bengal (RB) from plasma was significantly delayed when rats were treated with colchicine (3 mg/kg body weight) 3 hr prior to the administration of the dye. On the other hand, disappearance of sulfobromophthalein (BSP) or bromophenol blue (BPB) from plasma was not influenced by colchicine. The plasma disappearance and biliary excretion of organic anions were kinetically analyzed based on a compartment model, in which the deep compartment and the unknown disposition are incorporated. The transfer rate constants of ICG or RB, $k_{23}$ (from the liver to the deep compartment) and $k_{3B}$ (from the deep compartment to the bile), were decreased by colchicine, but those of BSP or BPB were not changed. A mechanism for the decrease in the $k_{23}$ and $k_{3B}$ values for ICG and RB might be explained by a inhibition of colchicine to the intracellular cytoskeleton. The hepatocellular distribution of RB or BPB was then determined. BPB mainly distributed to the cytosolic fraction, but RB distributed to each hepatocyte organelle. Taken together. it was suggested that ICG or RB is transported through hepatocytes into bile with the aid of the cytoskeleton, whereas BSP or BPB is handled by hepatocytes in a different way.

  • PDF

수수유묘에 있어서 fluxofenim의 약해경감효과와 glutathione S-transferase 효소활성 (Effect of safener fluxofenim on crop injury of chloroacetanilides and enzyme activity of glutathione S-transferase in grain sorghum seedlings)

  • 황인택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97-103
    • /
    • 1998
  • 제초제 alachlor와 metolachlor가 처리된 수수의 생장에 대한 약해경감제 fluxofenim의 약해 경감효과와 경감기작의 하나로 추정되는 GST 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제초제 metolachlor와 alachlor는 수수(품종;G522DR)의 유묘생장을 크게 억제하였는데, 지상부 및 뿌리에 대한 50% 생장억제 농도가 각각 30.8, 28.8 ${\mu}M$과 4.48, 6.23 ${\mu}M$로 두 약제 모두 수수의 지상부에 대한 억제보다 뿌리에 대한 억제가 컸다. Fluxofenim을 종자에 처리하여 파종하고 metolachlor또는 alachlor을 처리하면 수수의 유묘생장이 회복되어 fluxofenim처리에 의한 약해경감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약해경감제 fluxofenim을 처리한 것과 처리하지 않은 수수 유묘로부터 추출한 GST의 활성을 비교한 결과, fluxofenim을 처리한 수수의 유묘로부터 추출한 GST의 활성이 CDNB를 기질로 사용하였을때 70% 증가되었고, [$^{14}C$]-metolachlor을 기질로 사용하였을 때에도 82% 증가되었다. 따라서 약해경감제 fluxofenim을 처리한 수수와 처리하지 않은 수수의 metolachlor또는 alachlor에 대한 선택성의 차이는 fluxofenim 처리로 증가된 GST에 의한 metolachlor-glutathione 또는 alachlor-glutathione conjugation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