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 of Home Economics

검색결과 545건 처리시간 0.021초

가정교과 성취기준의 서술방식 개선 방향 - 미국 국가 기준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The Direction for Revis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Focussing on the Comparison with the U.S. National Standards)

  • 김은정;권유진;이윤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7-5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기준과의 비교를 통해 한국 중등 가정과교육 성취기준의 서술방식 특성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문제로는 1) 한국과 미국의 성취기준의 특징을 각각 살펴보고, 2) 주어진 분석 준거에 따라 한국과 미국의 성취기준의 특징을 비교하고, 3) '청소년의 발달'과 '가족의 이해'라는 내용 영역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성취기준의 진술 방식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와 미국의 가정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영역 및 특징을 비교하였고 이를 통해 파악하게 된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향후 성취기준 개발 시 유의해야 할 시사점들을 도출하였는데, 첫째, 우리나라의 성취기준은 교육과정과 성취기준 개발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둘째, 학습자가 함양하게 될 역량에 초점을 두어 구체적인 행동 동사로서 개발되어야 하며, 셋째, 성취기준 개발을 통해 가정과교육의 개념, 내용, 범주 등을 분명하게 명시하되 가정과교육의 범주를 '가족' 혹은 '가정'이라는 테두리로 제한하기보다는 이웃과 사회, 공동체, 더 나아가 전지구적인 문제에 관심을 돌릴 수 있는 성취기준 개발이 요구되며 향후 관련 연구가 요청된다.

  • PDF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중학교 기술·가정교과 의생활 영역의 학습준거 개발 및 내용분석 (Development of Learning Criteria and Contents Analysis of Clothing Domain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for STEAM Education)

  • 박은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5-159
    • /
    • 2016
  • This study developed the learning criteria for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 Mathematics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education pursued by STEAM. The learning criteria was developed on a basis of 6 kinds of Technology Home Economics textbooks by 2009 Amended Curriculum, and the factors of STEAM were extracted according to related content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unit 'Dress and Self-expression' assimilated T.E.A.M with learning related to clothing psychology, consumer behavior, fashion design, and Korean fashion. The unit 'eco-friendly clothing and fixing clothes' was found to assimilate S.T.E.A.M. with learning related to clothes science and dress structure. Accordingly we can understand this unit also consists of the S. T. E. A. M assimilation such as clothes science, fashion marketing, dress structure, dress aesthetics, design and so on. Both units 'dress and self-expression' and 'eco-friendly clothing and fixing clothes' were found to consist of suggesting situations, creative planning and emotional experience following the learning criteria of STEAM. Therefore, these units will be the basic material for developing STEAM programs centering upon 'Home Economics' among the curriculum.

  • PDF

전주지역 중학생의 가정교과의 주생활 영역에 대한 행동체계별 요구도 (The Behavioral Systemic Needs of Students for the Housing Chapters in Home Economics Curriculum)

  • 유원희;최병숙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5-1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iddle school students' three behavioral systemic needs for the Housing chapter in Home Economics curriculum,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concepts of the three behavioral systems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echnical, interpretive and emancipatory one.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was used, The subjects were selected randomly the third grade 259 students at 6 middle schools located in Jeonju city, from December 17, 2004 to January 17, 2005,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WIN 11.5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verage of importance which middle school students recognized was showed the interpretive behavioral system> the emancipatory behavioral system> the technical behavioral system, That of reflection of the text book was showed that the technical was same with the interpretive, and the emancipatory was a little lower value than two systems, And needs in each system were the emancipatory behavioral system> the technical behavioral system> the interpretive behavioral system, 2) Average needs were showed according to the sub-chapter of housing. 'Preservation and Repair of house' in the technical behavioral system and 'Indoor Environment and Equipment' in the interpretive and the emancipatory behavioral systems.

  • PDF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기술.가정) 교과의 초.중.고등학교 학년 간 연계성 분석 -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Articulations of the domain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in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 왕석순;류경희;백정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20
    • /
    • 2012
  • 이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출판된 실과 및 기술 가정 교과서(총 16종)의 '인간발달과 가족'영역의 학습 내용요소를 분석하여,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 표방한 초등과 중등의 연계성이 잘 이루어졌는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습 내용의 수직적 연계성은 발전, 반복, 격차, 축소의 기준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또 내용 기준은 '인간발달과 가족'영역을 "인간발달, 인간관계, 결혼과 가족생활, 가족 돌보기와 가족 복지"의 4개 기준으로 분류하고 이 기준에 속하는 14개 내용요소가 각 학년의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먼저 <발전>을 보인 내용요소는 인간발달 과정, 인간발달 특성, 가족관계, 의사소통, 이성교제와 배우자 선택, 결혼과 가정의 의의, 가족의 기초개념 이해, 가족의 변화와 가족 문제 해결에 관한 내용 요소이었다. <반복>을 보인 내용요소는 없었으나, <축소>를 보인 내용요소는 친구 관계, <격차>를 보인 내용요소는 5학년과 7학년의 '인간 발달 특성', '성에 대한 이해 및 임신 출산'에 대한 내용요소였다. 교육과정을 연계성 측면에서 평가할 때, 발전으로 분석된 내용요소는 교육과정에 위계성을 가지고 적절하게 구성된 내용요소들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반복이나 격차, 축소로 분석된 내용요소는 차기 교육과정 개정에서 이들 내용요소에 대한 재검토를 필요로 한다. 특히 축소로 분석된 '친구관계'와 격차로 분석된 '성에 대한 이해와 임신 출산'의 내용요소는 아동후기와 청소년기의 발달에서 또래관계의 중요성이나 사춘기가 조기화되는 발달의 측면을 고려할 때, 초등단계의 교육내용에 반영할 것을 제언한다.

  • PDF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초·중등 '가정생활' 분야의 연계성 및 중복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Connectivity and Duplication of Curriculum Contents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Levels on 'Family Life' Contents Area of the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Subject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윤지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1-9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분석을 위한 연계성 및 중복성의 준거유형을 개발하여 현행 2015개정교육과정의 초등 및 중등의 '가정생활' 분야의 내용 연계성 및 중복성을 분석함으로써 차기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교육과정 구조화의 원리가 초·중등에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여 연계성과 중복성을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내용 체계화 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연계성과 중복성의 준거 유형들을 개발하였다. 연계성은 '분절된 위계형'과 '나선의 위계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중복성은 '반복형'(상), '재현형'과 '심화형'(중간), '치환형'과 '생략형'(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중간 정도의 중복성을 보일 경우 연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중·고 내용을 비교한 결과,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서 심화형 중복성을 나타내어 높은 연계성을 보이며, '가정생활과 안전'에서는 '안전' 개념이, '자원관리와 자립'에서는 '생애설계' 개념에서 낮은 연계성을 보였다. 셋째,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분석한 결과, 초등에 비해 중등의 '가정' 내용은 난이도와 교과 내용의 양의 증가폭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심화형 중복성을 보이며 연계성이 높아 체계적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으나 '가정생활' 분야의 핵심 개념 가운데 '안전'과 '생애설계'는 학교급 간의 연계성이 낮은 편이었고 '생활문화'와 '관리'는 중간 정도의 연계성을 보이며 '발달'과 '관계'는 높은 연계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나선형 교육과정으로 교과의 내용을 구조화 할 때는 초등과 중등의 내용을 유기적으로 연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실과와 기술·가정 각각의 학교급별 교과 지식체계를 구성하는 특성들을 고려한 핵심적인 개념을 중심으로 해야 하고, 적정한 분량 및 난이도를 고려해야 하며, 적정한 내용 중복의 정도를 고려해야 하고, 동일 학교급 내에서 동일 주제의 반복을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연계한 가정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 개발: '생활환경과 지속가능한 선택' 영역 (Developing Content System for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Connection with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Focusing on the 'Life Environment and Sustainable Choice' Area)

  • 윤소희;손상희;이수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45-161
    • /
    • 2023
  • 본 연구는 가정과 교육과정의 내용요소가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연계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고,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연계한 가정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개발하여 실제 가정과 수업현장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행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2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내용체계의 내용요소를 교육내용 선정 준거를 기준으로 분석하였고, 분석결과를 반영한 교육내용 선정 준거에 근거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연계한 가정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를 동등한 범주로 구성함으로써 역량의 구성요소를 총체적으로 반영하고 있었으나, 내용요소와 지속가능성 핵심역량과의 연계성은 부족하였다. 그리고 과정·기능 범주에서 실천적 추론의 일련의 과정이 제시되지 않아 실천적 문제해결 역량으로 이어지기 어려웠다. 따라서 지속가능성 핵심역량이 통합적으로 함양될 수 있고, 과정·기능 범주에서 실천적 추론의 과정이 명확히 드러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둘째, 개인적 행동이 사회적 참여로 확장될 수 있는 내용요소는 제시되지 않고 있었다. 개인·가족 차원의 해결방안을 다루는 것에서 나아가 사회적 참여로 확장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셋째, '생활환경과 지속가능한 선택'의 28개의 내용요소 중 6개에서 SDGs와의 연계성이 드러났다. 그러나 관련성이 내재된 경우, SDGs의 핵심단어 또는 핵심이슈를 내용요소에 포함하여 SDGs와 연계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넷째, 지속가능발전 관점의 환경적 차원만을 고려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시·공간적 관계성에 기반하여 공존과 조화를 추구하고, 환경, 사회, 경제의 차원을 통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지속가능발전 관점이 내재된 내용요소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내용체계를 조직화하는데 있어서, 내용요소와 지속가능성 핵심역량과의 연계성을 제시하였고, 내용체계의 상위구조로 핵심 아이디어와 함께 지속가능성 핵심역량의 실천적 문제해결 역량을 제시하였다.

국민학교 육차 교육과정의 실과 지도내용 및 지도모형 연구 (A Study of Teaching Contents and Models in Practical Arts Based on the Sixth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School.)

  • 김혜자;최도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30
    • /
    • 1994
  • Currently, textbooks of practical arts in the elementary school are being revised for the sixth time. All the students in the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ill learn these new textbooks beginning in March, 199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ing models suitable for the new textbooks of practical arts under the sixth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1. Teaching guidances with subject matters in new textbooks are presented in Table 2, 3, 4, 5. The subject matters for each grade are divided into four main areas under the sixth curriculum. 2. The subject matters under the sixth curriculum are clothing, food, houseing, gradening, computer, industry and commerce. These are included in the four main areas of handling, making, cultivating or breeding and keeping. Activities or contents in these main areas are not necessarily related to each other in sequence. 3. The subject matters in the main areas are not perfectly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child development. 4. Teaching models and their example for each teaching unit are presented in Table 6, 7, 8, 9, 10.

  • PDF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의 "식생활 단원"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및 활용실태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the "Food and Nutrition" Area of the Home Economics Subject by Middle School Students)

  • 정인경;김진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9-23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systematic, efficient, and developmental plans for dietary and nutrition education, through analyzing students' perceptions and utilizations of the $\ulcorner$Food and Nutrition$\lrcorner$ area of Technology 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on general environmental factors, perceptions, and utilization of the $\ulcorner$Food and Nutrition$\lrcorner$ area. The subjects were 807 middle school students of the seventh, eighth, and ninth grades in Gyeonggi province. Most of the students positively recognized the necessity for the $\ulcorner$Food and Nutrition$\lrcorner$ area in Technology Home economics. However, changes in the interest in $\ulcorner$Food and Nutrition$\lrcorner$ after a lesson were not significant. The utilization of the lesson appeared highest in cases where the teachers' instructing methods went abreast with teaching focused on practice or teaching based on practice and theory and if teachers used various teaching material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eachers should make efforts to raise the students' interest for the lesson in Technology Home economics. Therefore, the contents of the lesson should complement the learners' demands such that they are useful in real life situations. Also, more positive teaching methods and various media which could satisfy the needs and interests of the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In addition, teaching methods should be evaluated for an effective and practical curriculum of $\ulcorner$Food and Nutrition$\lrcorner$ in Home Economics.

  • PDF

고등학교 가정계 학생들의 진로 선택에 관한 의식 조사 (Investigation on Consciousness of Career Choice of Vocational Home Economics Students at Senior High School)

  • 장명희;윤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7-77
    • /
    • 1995
  • This study aims at seeking the effective career guidance and operational plan. We collected data from questionaries to 305 students of vocational school, and 135 students on vocational course for the recognition of and request for voca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um.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frequency, percentage, and X(sup)2, and SPSS/PC(sup)+ program a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1. The main considerations of students in their decision of course were the accessibility of getting a job, or a higher education aptitude, interest, and so on. They made their own decision in choosing their course, relatively were satisfied with their choices. As for the course after graduation they hoped to come by a job related to their major in order to have3 an opportunity for further education, and teachers stood up for the large extent to which their students are satisfied with vocational training by answering that there would be higher possibility of using their major. 2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into the desirable home economics vocational training in future showed that students of vocational schools desired for the scientific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tudents on vocational curse requested that the educational system should be supported. And new curricula were those for gerontology. interior design, and cookery and bakery.

  • PDF

중학교 가정과‘인간발달과 가족관계’영역의 교육자료(CD-Rom) 개발 및 현장 적용 연구 -실천적 추론 수업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CD-Rom) and Its Applications to Classroom in Area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hip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hrough Practical Reasoning Teaching Model-)

  • 유태명;장혜경;유지연;김주연;김항아;김효순;신창중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15-127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lesson plans. teaching guide, and teaching materials applying practical reasoning teaching model in the area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hip’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he practical reasoning teaching model consists of five factors: Desired results, Awareness of context, Alternative approaches, Consequences of action, and Action. This study based on practical reasoning has following process: Curriculum development. Developing lesson pan, teaching material, an teaching guide, Experimental teaching and evaluation. Feedback, Production of CD-Rom. Teaching guide includes lesson plan, workbook multimedia materials and teaching resources. Especially teaching guide in CD-Rom can be used effectively in the actual teaching. In the classroom, this teaching model accomplished active and interesting particip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It is proposed that practical reasoning teaching model should be applied to other areas of home economics. In addition various teaching materials based on practical reasoning need to develop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