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 evaluation

검색결과 1,541건 처리시간 0.18초

제7차 교육과정 실행에 관한 교사의 인식 분석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 of the 7th Curriculum Implementation)

  • 원효헌;김귀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7권2호
    • /
    • pp.260-269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7th curriculum implementation. The subjects were 54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vestigation was conducted with questionaires which have 40 questions in 4 domains about the 7th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ption level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was mechanical use(level 3). Second, in the comparison of level by implementing domains, the domains of the essential, ideology, educational objectives and evaluation were lower than the domains of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Third, in the comparison of teachers' personal characterristic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all domains. But, by teaching career, experienced teachers were higher level in all domains. Also by length of in-service training with the 7th curriculum, when they have longer in-service training, they showed a higher level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중요도·실행도 분석에 근거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학업성취도 평가 영역 고찰 (A study on the evaluation area of academic achievement in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based on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 신서영;박창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9호
    • /
    • pp.815-823
    • /
    • 2017
  • 본 연구는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학업성취도 평가 영역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에 근거하여 특수교육 현장의 실제적 평가에 대한 요구를 고찰한 것이다.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위한 평가영역 및 요소는 델파이 분석으로 도출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대상학생의 4개 생활교육 범주, 22개 내용영역과 국가 교육과정의 7개 교과 범주, 27개 내용영역으로 설정하였다. P광역시에 소재하는 126명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범주에서 중요도와 실행도 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나타났다. 또 이를 평균점을 기준으로 실행도를 x축, 중요도를 y축으로 하여 산점도로 분석한 결과 교과교육의 일부영역은 중요도와 실행도 모두 낮은 인식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의 학업성취도 평가영역 및 평가체제에 대한 재구조화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더 나아가 국가수준 기본교육과정의 교과목 편제 및 내용영역, 내용요소의 양에 대한 심도 깊은 개정 논의가 필요함을 암시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탐구실험' 운영 실태 조사 (An Investigation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변태진;백종호;심현표;이동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669-679
    • /
    • 2019
  •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처음 도입된 과학탐구실험 과목을 운영하면서 과학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지원방안을 모색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과학탐구실험 수업과 관련하여 수업 외적 요인, 수업 실천(준비, 실행), 수업에 대한 평가, 과학탐구실험 과목의 발전방향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였고, 전국의 1674개교의 고등학교에 1교당 1명의 교사가 응답하도록 온라인 설문 조사를 요청하였다. 설문 결과 분석에는 설문지의 필수문항에 모두 답변한 814명의 응답 내용이 활용되었고, 결과 분석의 타당도 확보를 위해 집단 면담과 온라인 자문회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수업 준비 시간과 수업 시간의 부족을 호소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실험 보조 인력의 활용, 양질의 자료 개발 및 공유를 강조하였다. 또한 과학탐구실험 과목의 목표 달성을 위해 블록타임제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실제로 운영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음을 토로하였다. 한편, 2019학년도에 변화된 평가 방식은 교사들에게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있었고 이로 인해 수행평가의 비율이 전년도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학생들이 직접 실험 기구를 다루는 실험의 횟수에는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과학탐구실험 과목의 지원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건강증진 중심의 학부 교과과정에 관한 평가연구 (Study for Curriculum Evaluation of the College of Nurs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Focusing on the Health Promotion)

  • 박성애;박정호;홍경자;윤순녕;이인숙;박현애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권1호
    • /
    • pp.66-8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vised curriculum of the college of nurs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curriculum was consisted of three conceptual framework: health promotion, illness car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Especially it is intended to enhance the ability in solving health problem by focusing on the topic of health promotion. Further, the curriculum is strengthening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encouraging scholarly inquiry of students. The result of survey was as follows: 1) Is the curriculum focusing on the health promotion generally? - 81.2% of graduates answered positively. 2) Is the curriculum reflecting on the six aims of the education for the college if nursing? - 64.6% of graduates answered positively. 3) Is the curriculum reflecting on the concept of health promotion properly? - 72.8% of faculty answered positively. 4) Did the curriculum achieve the six aims of college of nursing effectively? - 82.6% of faculty answered positively. 5) Was the lecture of each subject in the new curriculum given with focus on the concept of health promotion? - 60.9 % answered affirmatively 6) Did the optional subjects achieve the goa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effectively? - 83% of faculty answered affirmatively.

  • PDF

제7차 중학교 ‘환경’ 교육과정과 청소년 환경교육 (Middle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Application to Teen-agers Practi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 이민부;박승규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1권2호
    • /
    • pp.14-25
    • /
    • 1998
  • The Quality of human living depends on the environmental quality of the region sustaining the life. The environmental deterioration of the modern society is due to mechanical environmentalism. For the better quality of the life, The changes of recognition and attitude on the environments are required. These changes of mind are also important in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eenager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ficially anounced December 1998, focuses on the change of attitude to environments and practical behavior in real life for “Environment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in middle school. Basic elements of the curriculum are cultivation of the pro-environmental thinking, multi-levelling of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and encouraging of student participating activity. Actually, the curriculum construction is composed of stepped-levelling of teaching and learning, reasonable contents volume, encouraging of student practice, and suggesting of evaluation standards of textbook writing. Three main subjec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middle school consist of (1) man and environment, (2)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problem, and (3) protection activity for environment. Methodology of environmental education can include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variable teaching methods, and continuing evaluation of student practice and participation attitude.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eenagers relating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ocuses on recognition of the environmental problems and practice activity in daily life. The recognition includes considering relationship of human life to environment,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in regional context, and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understanding concept of the environments. For the practice education, variable teaching methods, such as field survey and application of multi-media, are needed.

  • PDF

충청북도 지역의 학교급식과 산업체급식 영양사의 직무 수행시 식품영양학전공 교과내용의 활용도 평가 (The Evaluation on the Extent of Dieticians'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of the Food and Nutrition Department to their Work)

  • 김기남;이명순;이영은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1권4호
    • /
    • pp.430-439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xtent of dieticians'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of the food and nutrition major to their work and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for more efficiently applicable curriculum. A questionnaire survey of 552 dieticians at school food service and industry food service operations in Korea was conducted and 178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available for the purpose of the statistical evaluation. Statistical analyses were made of raw data by way of using the SPSS/win 7.2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Dietitian’s job could be categorized into 11 duties and 92 task elements. The application level was ranked at a level between 3 point and 4 pont(out of 5 scale) in the most area of the 92 task elements. Out of 11 duties, duty of sanitation management was applied at the highest level, while duty of nutrition education and duty of consultation management were utilized at the lowest level. Compared with the industry food service dieticians, dieticians at school food service operations employed the curriculum at the higher level. The effectiveness of experiments and practicum curriculum was ranked at the lower level than 3 point(out of 5 scale).

  • PDF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심사를 위한 평가준거 개발 사례연구 (Case Study of Developing Evaluation Criteria for Students' Portfolios)

  • 박경선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4호
    • /
    • pp.76-8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criteria for students' portfolios in an annual intramural contest. To accomplish the purpose, evaluation categories and their questions were developed after previous literature, ABEEK's evaluation guidelines, and eight Universities' evaluation forms were analyzed. Furthermore, experts' validity tests were completed by showing that the evaluation criteria form was validated with a mean score of 4.24. Also, the inter-rater reliability was turned out with a high score of .86. The interview results by evaluators of students' portfolios made the final version of evaluation criteria form include five evaluation criteria categories and their allotted score portions: overall organization(40), personal information(15), certificates and awards(5), curriculum(15), and extra-curriculum(15). The importance of overall organization was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as well as students.

핵심역량과 융합교육에 초점을 둔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방향 연구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cience Curriculum Focused on Key Competencies and Creative Fusion Education)

  • 곽영순;손정우;김미영;구자옥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21-330
    • /
    • 2014
  • 미래 사회의 변화는 미래 교육의 변화를 요청하며, 이러한 미래교육의 변화 요청을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도 적극적으로 반영해 나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교육과정인 2009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실태를 진단하고, 미래교육의 변화 방향에 비추어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초 중 고 과학교사 447명의 설문조사와 12명의 전문가 심층면담을 통해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 및 개선 방안을 탐색하였다. 과학과 선택과목 구성, 일반선택과목인 융합형 '과학', 과학 과목 집중이수제, 진로집중과정, 과학과 선택과목의 이수단위 증감, 대학 입시에서 과학과 선택과목 간 형평성 등으로 구분하여 2009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현장교사들과 전문가들이 제안한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방향들 중 핵심역량과 융합교육에 초점을 두고 과학과 교육과정을 구상하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과학과의 핵심역량은 기존 교육과정에서 강조한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능력뿐만 아니라 기초학습능력과 자아정체성, 도덕적 역량 등이 추가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융합교육은 다른 교과와의 융합 이전에 과학과 내부 과목 간 융합이 먼저 이뤄져야하며, 과학 과목을 중심으로 한 STEM 형태의 융합이 바람직함을 알았다. 이러한 결과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과학과 교육과정 연구 개발을 전담할 교육과정 개발센터의 구축이 필요하다.

TIMSS 2019의 4학년 물상과학 영역과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The Relationship Analysis of the Korean Science Curriculum with the Physical Science Domains of the 4th Grade TIMSS 2019)

  • 김선경;김현경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5권1호
    • /
    • pp.1-1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TIMSS 2019 물상과학 영역과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TIMSS 2019 초등학교 4학년 과학 평가틀의 물상과학 영역에서는 12개의 주제가 제시되는데, 초중등학교 교사로 이루어진 현장교사와 과학교육 전문가 총 12명이 참여하여 이 주제들이 우리나라 2009 개정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어느 학년에 포함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TIMSS 2019 평가틀의 성취기준과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이 일치하는지 분석한 결과, TIMSS 2019 물상과학 평가 주제 중에서 우리나라 초등학교 4학년 교육과정까지 전혀 다루고 있지 않는 주제로 화학과 관련 있는 '일상생활에서 화학 변화', '열전도', '전기와 간단한 전기회로' 내용이 두드러졌다. TIMSS 2019 평가틀이 국제 성취 기준임을 고려하면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다. 첫째, 차기 과학과 교육과정 개발에서는 누리과정까지 연계하여 초·중학교 및 고등학교 화학의 내용과 범위가 전체적으로 연결되도록 현재 초등학교 3학년부터 시작하는 과학과 교육과정을 초등학교 1학년부터 시작하는 개선을 공론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량 및 학습 수준의 적합성 문제를 고려하면서 난이도를 조정하거나 개념을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접근하면서 관련 주제를 다루도록 학년군을 재조정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 셋째, 국제적인 흐름에 맞게 필수적인 개념 및 표준 용어들을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에 도입하거나 구성되도록 하는 논의가 필요하다.

중국의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혁의 특징과 과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Tasks of Chinese High School Curriculum Reform)

  • 천단;박창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659-668
    • /
    • 2018
  • 한중 양국에 같은 고교 교육문제 주목하고 있음으로써 고교교육을 중심으로 중국 일반고교 교육과정 개혁방안의 목표와 구조, 내용, 운영 및 평가 부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고교 교육과정의 개혁원인과 특징, 문제점에 대해 분석하고, 문제점에 대한 제안을 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첫째, 중국 고교 교육과정의 개현 원인은 의무교육이 나타났기 때문이고 실제적 고교 교육에 부합하는 고교 교육과정이 필요한 원인이 있다. 둘째, 중국 고교 교육과정 육성목표의 특징은 중국 미래 사회의 발전추세에 따라 학생의 평생학습능력과 핵심능력을 초점으로 두고 있다. 구조의 특징은 교과 및 활동 교육과정의 병행과 선택 및 필수교육과정의 병행구조이다. 내용의 특징은 시대성과 기초화, 선택권을 강조했다. 운영 및 평가의 특징은 운영을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여러 지원을 제공하며, 발전성이 있는 평가를 채택하다. 고교 교육과정의 문제점은 교육과정 자체와 교사, 대입시험 3가지 문제점을 잡았다. 문제점에 대해 3가지 제안을 냈으며, 첫째, 고교 교육이 대입준비를 위한 것인지 아니면 국민의 교육을 위한 것인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교사의 핵심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연수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졸업 편가와 대입평가 제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