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ivation year

검색결과 686건 처리시간 0.029초

진도지역의 구기자 재배실태 (Current Cultivation Status of Lycium chinense Mill in Jindo-Gun, Korea)

  • 신종섭;권병선;장영석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0년도 춘계임시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45-51
    • /
    • 2000
  • According to the research of the cultivation result on the spot farmers for 5 years in order to investigate its cultivation conditions and problems of Lycium chinense Mill, the development of the variety with early mature, pest tolerance, and high yielding is urgent and it is call for the development of rooted cutting cultivation by testing of bed soil, growth regulator and cutting times. The development of cultivation method with planting year, planting density, supplementary period and amounts of supplementary of Lycium chinense Mill planted in growing field are required and for the disease and the effective control of disease and insect pest resistance is needed by auxotrophic fertilizing and organic agricultural method, met by agricultural chemicals.

  • PDF

Studies on cropping system for year-round forage crops production

  • Kang, Heonil;Lee, Donghyun;Han, Sangcheol;Choi, Insoo;Yun, Eulsoo;Lee, Jongki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33-333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of cropping system for year-round forage crops production in east-southern part of Korea and investigated their productivity and feed values. Cropping systems were tested in experiment using oat (cv. Highspeed and Darkhorse) in spring and autumn season, corn (cv. Kwangpyeongok) and sorghum (ss-450) in summer season and rye (cv. Gogu) and triticale (cv. Joseong) in winter season. Considering the forage productivity and feed value such as acid detergent fiber (AD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total digestive nutrients (TDN), this result suggest that three cropping system for year-round forage crops production. The combinations with triticale (winter), corn or sorghum (summer) and oat (autumn) were would be suitable ones. And also the combinations with rye (winter), corn or sorghum (summer) and oat (autumn) were would be suitable. If forage crops cultivation was started in spring season, the combinations with oat (spring), oat (autumn), triticale or rye (winter), corn or sorghum (summer) and oat (autumn) were would be appropriable. For the more suitable cropping system, we are proceeding on verification experiment of year-round forage crops.

  • PDF

ICT 기반의 공정재배와 관행재배에 있어서 인삼 생장 및 진세 노사이드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Ginseng Growth and Ginsenoside Content in ICT-based Process Cultivation and Conventional Cultivation)

  • 장광진;김연복;구현정;백현진;홍의기;이수빈;최지혜;손효연;김태영;김동현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5권2호
    • /
    • pp.12-19
    • /
    • 2023
  • 한국농수산대학교 공정육묘실에서 인삼을 종자 파종하여 생장한 인삼 1년근을 각 실험구(공정육묘실, 관행 노지)에 이식 전 1차 생장 조사를 하고, 3개월 생육 후 2차 생장 비교조사를 하였다. 1차 생장 조사 결과, 이식 전 뿌리의 무게는 평균 0.95g에서 이식 후 관행 노지는 0.21g, 공정육묘실은 0.29g으로 증가하였다. 뿌리의 길이는 평균 13.85cm에서 이식 후 관행 노지는 2.03cm, 공정육묘실은 2.66cm로 증가하였다. 뿌리의 지름은 평균 5.58mm에서 이식 후 관행 노지는 1.04mm, 공정육묘실은 1.26mm로 증가하였다. 공정육묘실에서 생육한 인삼이 관행 노지재배보다 더 많은 생장이 확인되었다. 공정육묘실에서 생육한 인삼과 진안 농가 관행 노지재배 인삼의 진세노사이드 성분함량 비교를 위해 각 1년근, 2년근의 진세노사이드 11종(Rg1, Re, Rf, Rh1(S)+Rg2(S), Rb1, Rc, Ra1, Rb2, Rb3, Rd, Rg3)의 함량 비교한 결과, 진세노사이드 1종 전체 함량이 공정육묘실 재배 인삼 1년근에서는 17.32mg/g, 공정육묘실 재배 인삼 2년근에서는 16.43mg/g, 관행 노지재배 1년근에서는 5.84mg/g, 관행 노지재배 2년근에서는 6.17mg/g으로 확인되었다. 관행 노지재배 인삼 1년근, 2년근보다 공정육묘실 1년근, 2년근이 2배 이상으로 더 많은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HPLC 분석 결괏값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관행 노지재배 묘삼은 자연환경 아래에서 재배환경의 다양한 요인에 의한 생장이 작용하는 반면 공정육묘는 생장이 우수한 인공토 비율과, 식물 영양액 농도 EC1.0ms/cm로 수분을 공급하여 안정된 생장을 할 수 있고, 식물 생장에 필요한 온도, 광, 수분의 환경제어가 가능한 상태에서 생장하므로 묘삼의 생장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 향후 이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화전 후 묵밭의 식생 천이에 따른 종다양성 및 식생 구조의 발달 (Changes of Species Diversity and Development of Vegetation Structure during Abandoned Field Succession after Shifting Cultivation in Korea)

  • 이규송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3호
    • /
    • pp.227-235
    • /
    • 2006
  • 강원도 평창군 일대에서 화전 후 묵밭의 식생 천이에 따른 식생 구조의 발달 과정과 종다양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방치 후 경과 년 수에 따라 최상층부의 키는 초기에 빠르게 증가하고 후기에 안정화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10, 20, 50 및 80 년차 묵밭에서 최상층부 식생의 키는 각각 4, 8, 18 및 18 m이었다.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및 초본층의 4층 구조를 갖춘 완전한 형태의 숲으로 발달하기까지는 방치 후 약 35년이 경과해야 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방치 후 경과 년 수에 따라 식생치 Ivc는 로그 함수적으로 그리고 식생치 Hcl은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묵밭의 식생천이에서 종다양성은 천이 중기인 $10{\sim}20$년차에서 최고로 증가한 다음 이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조사지에서 종다양성은 균등도보다 종풍부도와 매우 밀접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목본은 개망초-쑥 단계인 $2{\sim}6$년차에 정착이 이루어져 시간 경과에 따라 이들의 우점도가 변화함으로써 Egler (1954)의 초기 종조성 모델을 따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신의 재배년차에 따른 근수량 및 정유성분 함량변화 (Changes of Root Yield and Essential Oil Content by Cultivated Years in Asaram siebold Mio)

  • 김동원;송영주;최영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7-30
    • /
    • 1999
  • 야생 약초인 세신의 재배년수별 생육특성과 수량성을 구명하고 주요 정유 성분인 methyleugenol과 safrole함량 변화를 조사하여 세신의 상품적 가치를 높이고 품질의 규격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1993년부터∼1997년까지 5년간에 걸쳐 시험을 실시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배년차별 생육은 재배년수가 경과함에 따라 지하부 생육의 신장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근장의 크기에 따라 수량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2. 10a당 건근 수량은 3년재배(127kg/10a)에 비하여 4년재배 191%, 5년재배 259% 순으로 증수되었다. 3. 재배기간별 정유함량은 재배 기간에 따라 3년 5%, 4년 4.5%, 5년은 4.3% 순이었다. 4. 주요 정유 조성성분인 methyleugenol은 재배년수가 길어질수록 증가하였으나 safrole함량은 점차 감소하여 methyleugenol과 safrole 함량은 서로 상반된 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억새배지를 이용한 느타리 봉지재배 (Bag cultivation of Pleurotus ostreatus with Miscanths species substrates)

  • 유영진;강찬호;최규환;김효진;정종성;김희준;문윤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2-126
    • /
    • 2014
  • 천연 억새 1년, 2년, 3년생의 화학성분 분석결과 인산은 증가하는 반면 칼슘과 칼리는 낮아지는 경향이었고 총 질소는 2년생 억새에서 증가하였고, 총 탄소는 3년생 억새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으로 버섯배지의 이용성이 높게 평가되었다. 억새의 발효조건은 미강20%를 혼합할 경우 발효는 5일부터 5일간에 지속되고 이때 온도는 $50-55^{\circ}C$로 유지되어 고온성 미생물 군이 형성됨을 알 수 있었고 처리효과 구명은 미강20% 첨가발효배지가 무처리 억새배지보다 수량이 60% 향상되었다. 느타리봉지재배의 억새배지는 포플러톱밥50%의 포플러톱밥 20%를 억새발효배지 20%로 대체한 혼합배지인 포플러톱밥30%, 억새발효배지20%, 비트펄프30%, 면실박20% 배지를 개발하였다.

답전윤환형태별(畓田輪換形態別) 토양화학성(土壤化學性)과 수도생산성(水稻生産性)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Effect of Paddy-upland Rotation System o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Rice Yield)

  • 안상배;본송휘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81-188
    • /
    • 1993
  • 석천미사질(石泉微砂質) 양토(壤土)에서 윤환형태(輪換形態) 및 작부체계(作付體系)에 따른 연차간(年次間) 토양질소(土壤窒素)의 무기화(無機化) 양상(樣相), 토양중(土壤中) 유기물(有機物) 및 인산(燐酸)의 변동(變動) 및 수도수량(水稻收量)과 무기성분(無機成分) 흡수량(吸收量)과의 관계를 검토(檢討)한 몇가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긍온담수(恆溫湛水) 토양(土壤)에서 '90~'93년(年) 4년간(年間)의 4주(週) 및 10주(週)째의 질소무기화량(窒素無機化量)과 가급태(可給態) 질소함량(窒素含量)은 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보다 매년윤환구(每年輪換區) 및 2연윤환구(年輪換區)에서, 대두구(大豆區)보다 감자-배추구(區)에서 많았다. 2. 토양(土壤)중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 및 유효인산(有效燐酸)의 연차간(年次間) 변동(變動)은 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에서는 큰 변동이 없었으나 윤환구간(輪換區間)에서는 전전환구(田轉換區)>2연윤환구(年輪換區)>매년윤환구(每年輪換區)의 순(順)으로 감소되었으며 작물(作物)간에는 감자-배추구(區)보다 대두구(大豆區)에서 감소폭(減少幅)이 컸다. 3. 정조수량(正租收量)은 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에 비하여 감자-배추구(區) 및 대두구(大豆區)에서 3개년(個年) 동안 26~20%, 17~5%, 5~4% 증수(增收)되었는데 윤환년수(輪換年數)가 길수록 수량증수율(收量增收率)이 적었다. 4. 3년간(年間)('90~92년)의 수확기(收穫期) 수도(水稻) 식물체(植物體)중 모든 무기성분(無機成分) 흡수량(吸收量)은 수도(水稻) 연작구(連作區)보다 매년(每年) 윤환구(輪換區) 및 2년윤환구(年輪換區)에서, 대두구(大豆區)보다 감자-배추구(區)에서 흡수량(吸收量)이 현저히 증가되었다.

  • PDF

이모작에 따른 참외 재배 비닐하우스 토양의 선충밀도 변화 (Effect of Double-Cropping Systems on Nematode Population in Plastic Film House Soils of Oriental Melon Cultivation)

  • 변일수;서선영;이용세;정종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7-23
    • /
    • 2014
  • 시설재배 참외 주산지에서는 농가별로 가용 경지면적이 제한되어 있어 동일 포장을 이용한 장기간 연작이 불가피하므로 토양의 염류집적 문제와 함께 선충 피해가 매우 심각하다. 참외 휴경기에 하우스의 비닐을 제거하고 김장배추를 재배하는 이모작 체계는 다음 작기 참외 재배 시 토양 선충 밀도를 줄이는데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일반 참외 연작 하우스와 비교하여 참외-미나리 이모작 하우스에서는 다음 작기 참외 재배기간 동안 6월까지는 토양의 선충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는데, 이는 토양을 3개월 정도의 담수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로 판단된다. 참외-미나리 이모작 하우스에서 다음 작기 참외 정식 전에 살선충제를 처리한 경우에는 참외 재배 후반기까지 선충 밀도가 피해유발수준 이하로 유지되었다. 농가에서 휴경기에 배추와 미나리를 윤작물로 재배하는데, 이러한 단기윤작은 참외 연작 비닐하우스 토양의 선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하는 방법이 되지 못한다. 따라서 객토, 토양소독, 윤작물 재배 등의 친환경적인 선충방제 수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들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 적절한 살선충 약제를 사용함으로써 작물생산에 미치는 선충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n Investigation of Characteristics of Chinese Bell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A.) Cultivated Soil

  • Choi, Jang Nam;Lee, Wang Hyu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660-666
    • /
    • 2018
  •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oil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environment of Chinese bell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A.), soil chemical properties of 12 collected soil samples from 6 cultivated fields in Okcheon, Chungbuk province in August. 2017 were analyzed. The soil pH was distributed within the range of 4.61 to 5.25 at all cultivation years and E.C (Electric Conductivity) and T-N (Total Nitrogen) of the cultivation year were not significant. Available $P_2O_5$ was higher than the average for medicinal crops and P. grandiflorum in Korea and C.E.C (Cation Exchange Capacity) was inconsistent for each cultivation year. In particularly, it was validated that the content of exchangeable cations K, Ca, Ma, and Na in this experiment was similar to that of C.E.C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years, because C.E.C had a high correlation with the exchangeable cations. For the available $P_2O_5$, as affected by trans-planting, 5Y-NT-H (cultivated 5 years and non-transplanted) had 58 mg/kg, while 5Y-T-H (cultivated 5 years and transplanted) had 246 mg/kg. The soil pH was found to be lower (acidic) in diseased soils than healthy soils. E.C was confirmed to be was higher in diseased soils than healthy soils except for the one cultivated for 2 years. The contents of T-N and available $P_2O_5$ were higher in diseased soil except for the one cultivated for 5 years and 11 years. The exchangeable cation K and Na tended to be higher in diseased soils rather than that in healthy soils, and the exchangeable cation Ca and Mg contents were higher in healthy soils than in diseased soils. The C.E.C of the soil was lower than that of healthy soils in all of the years except for the one which was cultivated for 5 years (transplanted).

Varietal Variation in Biomass Production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of Maize Grown under Lowland Condition

  • Youngchul Yoo;Dae-Woo Lee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9-99
    • /
    • 202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the excellent silage maize varieties customized for paddy cultivation that is vulnerable to lodging and waterlogging in the central and region. Ten varieties (Kwangpyeongok, P3394, etc.) were sown with 3 replicates in Suwon, Gyeonggi-do. It was sown twice in April and June of each year in 2020-2021 and harvested during the yellow ripe stage suitable for silage. The number of days to flowering stage in lowland condition increased up to 11 days compared to that in upland condition. In April seedling, varieties that showed a relatively small decrease in biomass production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under lowland condition compared to upland condition were Gangdaok and Kwangpyeongok in 2020, and Dacheongok, Gangdaok and Kwangpyeongok in 2021. Kwangpyeongok, Gangdaok, and Sinhwangok showed relatively higher biomass production and TDN than the other varieties under lowland compared to upland in both 2020 and 2021. Our results suggest that Kwangpyeongok and Gangdaok are suitable silage maize varieties for lowland cultivation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