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ude bacteriocin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19초

Enterococcus sp.가 생산하는 Bacteriocin의 정제 및 특성에 관한 연구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teriocin Produced by Enterococcus sp.)

  • 정건섭;양은석;이국진;고현정;정병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23-528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토마토에서 bacteriocin 생산균주를 분리하여 균주동정 및 bacteriocin 정제를 행하였다. 분리균주는 Gram 염색, catalase test, 포자생성유무, API 20 STREP. kit 등을 통하여 Enterococus faecium으로 잠정 동정하였다. 분리균주가 생산하는 항균성물질은 Gram 양성 세균인 Listeria manocytogmes, Leu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plantarum, Streptococus agalartiae, Streptococus pyrogenes, Gram 음성 세균인 Pseudomonas aeruginosa등에 대해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단백질 분해 효소인 proteinase K에 의해서 그 활성이 소실되고, catalase에 의해서는 항균력이 유지되므로 단백질성 bacteriocin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cteriocin 정제를 위하여 ethanol침전, CM Sepharose CL-6B 양이온교환 chromatography, Sephacryl S-100 HR gel filtration의 순으로 정제하여 초기 배양액의 bacteriocin활성 대비 35.8배의 정제도를 얻었다. 13% SDS-polyacrylamide gel전기 영동을 통하여 단일 band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분자량은 약 51 kDa 정도_로 추정되었다. Crude bacteriocin의 열 안정성은 10$0^{\circ}C$에서 1시간 처리하였을 때의 잔존활성이 3.3%로 비교적 낮았으며, pH에 대해서는 pH2~7에서 비교적 안정하였다. Bacteriocin의 항균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피검균인 Leu. mesenteroides를 초기농도 1.0$\times$$10^{9}$ CFU/$m\ell$로 접종한 배지에 bacteriocin을 첨가하여 배양하였을 때 4시간 이후에 완전히 사멸되므로 bacteriocidal 작용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Lactobacillus plantarum KU107이 생산하는 박테리토신의 특성 및 Staphylococcus aureus 억제 작용 (Chnracterization and Inhibitory Activity on Staphylococcus aureus of a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KU107)

  • 주관석;오세종;한경식;전우민;김세헌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1-86
    • /
    • 2002
  • 쇠고기 분쇄육으로부터 박테리오신 생산균주를 분리하여 형태학적,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 ssp. 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당발효성 실험결과 95%의 신뢰도로 L. plantarum으로 동정되어 L. plantarum KU107로 명명하였다. L. plantarum KU107이 생산하는 박테이로신은 trypsin과 pepsin의 처리에 의해 활성이 소실되었으며 pH 2와 12에서도 활력이 완전하게 소실되지 않는 pH 안정성과 열안정성을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이 박테리오신은 Bacillus cereus, Listeria inoccua, Listeria mona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intermedius KCCM 11806, 그리고 Yersinia enterocolitica에 대해서도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S. aureus가 접종된 쇠고기 분쇄육에 박테리오신을 처리한 경우, 대조구와는 다르게 저장 7일째까지 접종된 S. aureus 초기균수와 유의적인 차이없이 성장을 지연시킴을 알 수 있었으며 저장 14일까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현저히 적은 균수를 나타내었다.

Iso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with Anti-MRSA Bacteriocin Activity and Characterization of the Bacteriocin Product

  • Ahn, Byeong-Ki;Min, Kyung-Cheol;Cho, Sang-Hyun;Lee, Dong-Geun;Kim, Andre;Lee, Sang-Hyeo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31-137
    • /
    • 2021
  • This study aimed at isolating lactic acid bacteria with anti-MRS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bacteriocin activity from fermented shrimp. We selected three strains, named Weissella sp. S1, S2, and S3, using analysis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s. All strains showed appropriate growth in an MRS medium containing 5% (w/v) NaCl and showed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Bacillus cereus,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and MRSA. The strains exhibited similar growth rates at 0-5% NaCl, with approximate reduction in growth rate observed at 9% NaCl. Weissella sp. S1, S2, and S3 exhibited maximum growth rates at pH 7, 9, and 8, respectively. The crude bacteriocin was prepared from Weissella sp. S3 and subjected to characterization. The remaining activities after 30 min of exposure at each temperature were 100%, beyond 75%, and 49% at 4℃ and 37℃, 50℃ and 70℃, and 100℃, respectively. The remaining activities after 24 h of exposure at each pH were 100%, 75%, and 49% at pH 3 and 5, 7 and 9, and 10, respectively. Use of 50% (v/v) ethanol or isopropanol treatment did not diminish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bacteriocin, while the 50% (v/v) hexane treatment reduced the activity by 51%. The molecular weight of the bacteriocin was nearly 6 kDa that was quantified using tricine-SDS-PAGE. Our findings suggest that Weissella sp. S3 may be considered a probiotic and useful source of antimicrobial substances in the development of bio-preservatives for food or in MRSA treatment.

Antagonistic Activity of Polyfermenticin SCD Against Helicobacter pylori KCTC 2948

  • Kim, Seong-Mi;Lee, Kwang-Ho;Lee, Na-Kyoung;Kim, Cheon-Jei;Kim, Chang-Han;Paik, Hyun-D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148-152
    • /
    • 2004
  •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and polyfermenticin SCD, named tentatively as the bacteriocin produced by B. polyfermenticus SCD,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KCTC 2948 growth. When crude polyfermenticin SCD was added to the growing H. pylori cells, viable cell numbers were reduced, indicating antimicrobial action. The antimicrobial effect was increased remarkably at higher concentrations of polyfermenticin SCD and longer exposure. Morph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bacteriocin-treated cells; in the exponential phase, they appeared as shrunken rods, while in the stationary phase, they showed coccoid forms.

메주에서 분리된 Enterococcus faecium MJ-14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부분정제 (Partial Purification of Bacteriocin Produced by Enterococcus faecium MJ-14 Isolated from Meju)

  • 이종갑;이군자;임성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11-216
    • /
    • 2005
  • E. faecium MJ-14 균주의 배양 상등액에 $50\%$ 황산암모늄을 처리한 결과, 박테리오신 활성은 3,840 BU/mL으로 배양 상등액에 비해 6배 증가되었고 회수율은 약 $60\%$에 이르렀다. 이온교환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용출된 획분 중 $48\∼76$번에서 항균 활성이 나타났으며, 용출물의 비활성은 35.7배 증가하였고, 회수율은 약 $41\%$였다. 그리고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비활성 127,293 BU/mg인 박테리오신 단백질을 정제하였으며, 이 때 정제도는 114배, 수율은 $36\%$였다. 정제된 박테리오신 단백질을 SDS-FACE한 결과.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4.3 kDa과 5.8 kDa의 분자량을 확인하였다.

렌넷 커드 내 히스타민 생성에 관한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이 생산한 항균 물질의 영향 (Effect of antibacterial substances produced by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on histamine formation in rennet curd)

  • 임은서;최재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13-12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히스타민을 생성하는 유산균과 이에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을 혼합 접종하여 제조한 렌넷 커드 내 항균물질과 히스타민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조사하였다.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인 Lactobacillus plantarum FIL20과 Lactobacillus sakei PIL52는 히스타민 생성균인 Lactobacillus brevis LAS129, Enterococcus faecium SBP12 및 Enterococcus faecalis SBP58에 대해 강력한 항균 물질을 생산하였고, 프로바이오틱균이 생산한 유산과 박테리오신의 항균 활성은 농도의존적이었다. 렌넷 커드 제조를 위해 접종한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의 균수가 많을수록 항균 물질 생성량이 증가되어 히스타민 생성균에 대한 항균 활성도 높아졌다. 프로바이오틱 유산균과 히스타민 생성균은 NaCl 10% 첨가에 의해 증식이 억제됨으로써 렌넷 커드 내에 항균 물질과 히스타민의 함량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 < 0.05). 한편, 프로바이오틱 유산균과 히스타민 생성균을 혼합하여 제조한 렌넷 커드를 $25^{\circ}C$에서 5일간 저장 했을 때 히스타민의 함량은 유의하게 증가되지 않았으나, $20^{\circ}C$에서 20일간 저장한 경우에는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이 생산한 항균 물질의 활성이 감소됨에 따라 렌넷 커드 내에 히스타민의 함량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 < 0.05).

김치유산균인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YH-10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Bacteriocin, lacticin YH-10, Produced by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YH-10 Isolated from Kimchi)

  • Park, Eun-Min;Kim, Young-Hwa;Park, So-Jin;Kim, Yun-Im;Ha, Yu-Mi;Kim, Sung-Koo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83-688
    • /
    • 2004
  • API test를 통해서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이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의 한 종임 을 확인하고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YH-10이라 명명하고, 생산된 박테리오신을 lacticin YH-10으로 명명하였다.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YH-10을 $25^{\circ}C$, 3$0^{\circ}C$와 37$^{\circ}C$에서 배양한 결과 $25^{\circ}C$에서 박테리오신을 생성하였다. Lacticin YH-10은 여러 가지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항균활성을 소실하였으므로, 단백질로된 박테리오신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alpha$-amylase, $\beta$-amylase, glucoamylase의 처리에도 활성을 일부 소실하였으므로 박테리오신의 분류 중 classIV에 속함을 알 수 있었다 Ammonium sulfate정제한 후 SDS-PAGE를 통해 박테리오신의 분자량이 대략 14kDa임이 확인되었다. Lacticin YH-10은 단백질계 물질로서 인체 내에서 분해가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 화학 보존제 보다 인체에 안정함을 알 수 있다. Lacticin YH-10은 낮은 pH와 높은 온도에서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식품보존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Streptomyces scopuliridis KR-001의 분리 동정 및 잡초 방제효과 (Identification of Streptomyces scopuliridis KR-001 and Its Herbicidal Characteristics)

  • 이보영;김재덕;김영숙;고영관;연규환;김창진;구석진;최정섭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1호
    • /
    • pp.38-46
    • /
    • 2013
  • 토양 방선균 유래의 천연 제초활성 후보소재를 발굴하고, 이 후보소재의 온실 및 포장 실증 평가를 통해 보다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잡초 관리를 위한 잡초방제제로의 실용화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3,000여 종의 토양 방선균으로부터 강력하고 독특한 제초활성을 발현하는 후보 방선균 2종을 선발하였으며, 선발된 후보 방선균의 16S rDNA 서열을 분석한 결과 S. scopuliridis RB72와 가장 유사도가 높아 선발 균주를 S. scopuliridis KR-001이라 명명하였다. 후보 방선균의 최적 배양조건을 확립하였고, 온실 및 포장조건에서 주요 문제잡초와 난방제 잡초, 환경 위해 잡초 가시박 방제효과를 평가를 통해 친환경적인 천연물 제초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후보 방선균 S. scopuliridis KR-001 배양액은 작물에 대한 선택성은 없었기 때문에 비선택성 경엽처리제로의 개발 가능성을 고려한 처리 농도 및 시기 등에 대한 진전단계 연구를 진행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향후 배양액 수준에서 제형 연구를 통해 약효증진기술과 대량생산성 기술 개발을 통해 실용화 가능성을 검토하는 한편, 배양액 내의 살초성분에 대한 화학구조 구명을 통해 방선균 유래의 천연 제초제를 개발 할 수 있는 선도물질 발굴을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