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p growth experiment

검색결과 1,205건 처리시간 0.03초

질소시비수준이 Pioneer 988 ( Sorghum bicolor $\times$ S.Sudanesse ) 의 엽생육 및 건물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levels on Growth and Dry Matter Accumlation of Sorghum-Sudangrass Hybrid ( Sorghum bicolor $\times$ S. sudanense ) , Pioneer 988)

  • 김상덕;윤익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58-163
    • /
    • 1983
  • 種實用 수수와 수단그라스의 交雜種인 Pioneer 988의, 窒素施肥水準에 따른 時期別 生育 및 乾物生産量을 조사하기 위하여 本 硏究를 실시하였다. 窒素肥科는 成分量으로 10a當 15, 25, 35kg을 施用하였으며 幼植物로부터 開花後期까지의 生育期間게 몇가지 特性을 調麥한바 그 結果는 다음과 같이 要約된다. 1. 出現葉數는 生育이 進行됨에 따라 증가했는데 穗孕期까지 급격한 증가를 보였고, 出穗期에는 最終葉인 15葉이 出現했다. 2. 葉面積指數는 生育의 進行에 따라 증가했는데, 특히 穗孕期까지 그 增加가 급격했으며, 室素施肥水準別로는 幼穗分化期까지 15kg 施肥區에서 컷으나 穗孕期 以後에는 35kg 施肥區에서 컷다. 3. 乾物收量은 穗孕期 以前에는 15kg 施肥區에서 많았으나, 穗孕期 以後에는 35kg 施肥區에서 많았다. 4 乾物生産速度는 純同化率 및 平均 葉面積指數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生育後期에는 純同化率의 增加와 더욱 밀접한 관계를 나타냈다.

  • PDF

결명자(決明子)의 재식밀도(栽植密度)가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Yield in Cassia obtusifolia. L.)

  • 김영국;방진기;유홍섭;이승택;박종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5-101
    • /
    • 1997
  • 결명자(決明子) 재배기술(栽培技術) 개발(開發)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해 인력파종기(人力播種機)와 손파종(播種)을 비교(比較)하여 성력효과(省力效果)를 보고 조(條), 주간(株間)의 재식밀도(栽植密度)가 생육(生育)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고자 시험(試驗)한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량(播種量)은 손파종구(播種區)에 비해 인력파종기(人力播種機)의 주간거리(株間距離) 20 및 25cm 처리(處理)에서 적었다. 2. 파종(播種) 소요시간(所要時間)은 인력파종기(人力播種機) $60{\times}20cm$ 처리(處理)에서 손파종(播種)보다 ha당(當) 121시간(時間) 절약(節約) 되어 효율적(效率的)이었다. 3. 립모수(粒毛數)는 조간(條間) 및 주간(株間) 차이(差異)에 따라 그 밀도(密度)가 넓어질수록 적었고, 경장(莖長)은 년도(年度)에 따라 다르며, 주간(條間)이 넓어짐에 따라 다소(多少) 길어지는 경향(傾向)이었다. 주당(株當) 협수(夾數) 및 립중(粒重)은 조간(條間), 주간(株間)이 넓은 소식(疎植)에서 증가(增加)되었다. 4. 수량(收量)은 조간(條間) 60cm 주간(株間) 20cm 처리(處理)에서 가장 높았다. 5. 적산온도(積算溫度)는 경장(莖長), 주당(株當) 협수(夾數) 및 수량(收量)과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인 반면(反面) 강수량(降水量)은 그들 형질(形質)과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여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6. $m^2$당(當) 립모수(粒毛數)는 분기수(分技數), 주당(株當) 협수(夾數), 립중(粒重)및 수량(收量)과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였고, 수량(收量)은 분기수(分技數), 주당(株當) 협수(夾數), 립중(粒重)과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 PDF

고랭지에서의 근권환경에 따른 유색칼라(Zantedeschia)의 생육반응 (Growth response of Calla (Zantedeschia) to root zone environmental conditions in Highland)

  • 남춘우;유동림;김수정;서종택;백기엽;이상규;윤무경
    • 농업과학연구
    • /
    • 제40권4호
    • /
    • pp.325-331
    • /
    • 2013
  • This experiment has been carried out to determine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cut flowers and tubers of Calla (Zantedeschia 'Golden Affair' and 'Black Magic') in highlands. Treatments consisted of various levels of root zone environments, Results are as follows: Calla 'Golden Affair' were grown with different mulching materials such as Non-mulching, Black film, reflective film, Rice hull. Mulching materials resulted in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cut flowers but flower length was highest in reflective film. Calla 'Black Magic' were treated with various soil water content, soil type and watering time. Number of cut flowers and flower quality were greatest when the plants were watered at -80 kPa soil water content. No symptoms of soft rot (Erwinia carotovora) was observed at this soil water content. The occurrence of soft rot was observed with similar percentage according to soil type and the soil water content. When Calla 'Black Magic' were watered at the time of soil surface drying, growth was greater compared to others. Air temperature and PPF affected plant growth and photosynthesis. Photosynthetic rate was greatest at $25^{\circ}C$ and PPF $200{\mu}mol{\cdot}m^{-2}{\cdot}s^{-1}$, while lowest at $28^{\circ}C$ and PPF $800{\mu}mol{\cdot}m^{-2}{\cdot}s^{-1}$. Soft rot did not occur without regard to dipping treatment (0, 5, 10, 24, 48 hours) when the day and night temperature were maintained at $25^{\circ}C$ and $20^{\circ}C$, respectively.

나물용 콩 파종기에 따른 콩나물의 하배축 및 생장특성 차이 (Difference of Hypocotyl and Growth Characters of Soybean-sprouts by Sowing Date in Sprout-soybean Cultivar)

  • 김학신;김경호;김홍식;이영호;정승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7호
    • /
    • pp.608-617
    • /
    • 2006
  • 본 연구는 나물용 콩의 파종기가 콩나물 원료콩의 배축신장성과 콩나물 생장 및 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양질 콩나물 품종육성과 재배기술 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00{\sim}2001$년에 호남농업연구소 전작시험포장에서 파종기를 달리하여 생산된 원료콩을 이용하여 실험실과 콩나물 간이검정실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배온도별 콩나물의 배축신장성은 재배온도가 높을수록 빨랐으며, 재배일수가 길어질수록 그 차이가 컸다. 2. 콩나물의 배축장과 근장은 연차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7월 5일 파종이 5월 25일과 6월 15일 파종보다 길었고, 배축굵기는 도레미콩이 가장 굵었으며 한남콩이 가늘었다. 전장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길어졌고 은하콩이 가장 길었으며, 다원콩이 가장 짧았다. 3. 콩나물의 부패립율과 불완전발아립율은 파종기가 늦어지면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부패립율은 다원콩이 가장 낮았고 소명콩이 가장 높았으며 불완전발아립율은 풍산나물콩이 가장 낮았고 한남콩이 가장 높았다. 4. 콩나물 수율은 2001년에 생산된 종실에서 더 높았고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였으며, 은하콩과 도레미콩이 높았고 파종기에 따른 콩나물 수율의 변이가 적고 안정적인 품종은 풍산나물콩과 소명콩이었다. 5. 콩나물 수율과 제형질과의 관계는 종실의 수분흡수율이 낮고 치상 1일과 4일후의 발아율이 높은 것이 콩나물 수율이 높았으며, 콩나물 수율과 배축장, 근장 및 개체당 생중과는 정의 상관이었다.

건지황 추출물을 이용한 알콜 발효 수율 증진 (Enhancement of Alcohol Fermentation Yield by Adding the Extract of Dried 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 안상욱;김민회;정우택;황백;성낙술;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51-361
    • /
    • 2000
  • 알콜 발효 증진을 위해 5L 배양조에서 혐기적으로 회분 배양 시 건지황 착즙액을 농도별로 첨가하며 알콜 발효 및 균체 생육을 측정한 결과 균체 생육 및 알콜 생산 수율 모두 착즙액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일반 발효에 비해 증가했으며, 30% (v/v) 첨가 시 11.8 (g/L)의 최대 균체양, 0.092 (%/hr)의 최대 알콜 생산성과 같은 최대치를 나타냈다. 하지만 40% 이상 첨가 시는 균체 생육 및 알콜 생산 두 경우 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50% 에서는 심각한 생육 저해 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알콜 생산성 증진을 위해 30% 착즙액을 첨가해 유가식 배양을 실시 한 결과 회분 배양보다 월등히 높은 균체 생육 및 알콜 생산성을 보였다. 이 같은 생산성은 일반 알콜 발효에서 얻을 수 있는 수율보다 약 30-40% 이상 높은 것으로 건지황 착즙액이 알콜 발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는 알콜 발효 시 건지황의 유용 성분의 활용과 함께 알콜 생산 수율 증진에도 이용이 가능한 지황의 이중적 활용도가 있음을 입증한 것으로 평가된다.

  • PDF

콩 생육초기 수분 장애에 따른 생육 및 수량 반응의 품종간 차이 (Growth and Yield Responses of Soybean Cultivars to Drought Stress at Early Growth Stage)

  • 진용문;이홍석;이석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20-227
    • /
    • 1997
  • 생육초기의 수분부족 장애에 대한 콩의 생리적 및 작물학적인 여러 형질들의 반응양상과 콩 품종들의 한발저항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황금콩 등 8품종을 공시하고 생육초기반응에 대해서 토양 수분장력을 -0.3, -5및 -10bar로 달리하여 폿트를 이용한 토양재배를 하였던 바 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초기 20일간의 토양수분 부족장애시는 모든 생육지표에서 생육을 감소시켰는데 특히 엽면적과 지상부건물중의 감소가 뚜렷하였다. 토양수분 부족장애에 의한 생육감소의 품종간 차이는 절대엽면적이 큰 황금콩의 감소율이 높고, 엽면적이 작은 수원 9003가 감소율이 제일 작았다. 2. 엽중 proline 및 ABA 함량은 20일간의 토양수분 부족장애로 인해 현저히 증가하였는데, proline은 무처리구에 비해 -5 bar에서 26배내외, -10 bar에서 65배 내외 증가되었고 ABA는 각각 2.5배 및 2.9배 정도 증가되었는데, 품종들의 엽면적감소율 순위와 proline 또는 ABA 함량의 증가순위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3. 콩 생육초기 20일간 토양수분 부족장애 처리후 생육량 감소 정도와 수량의 무처리구 대비 백분율을 기준으로 품종을 구분하여 보면, 백운콩은 엽면적과 총건물중의 감소율이 작으면서 수량 감소율도 작은 품종이었으며, 팔달콩은 엽면적과 총건물중의 감소율은 크나 수량 감소율은 작은 품종이었고, Hodgson 78은 어느 형질이나 감소율이 큰 품종이었다. 4. 토양수분 부족장애가 없을 경우 수량이 높았던 장백콩과 남천콩은 토양 수분 부족장애로 인해 수량 감소율은 컸지만 수분부족 장애시에도 타품종들에 비해 수량이 높았다.

  • PDF

신개간지토양(新開墾地土壤)에서 석회비종(石灰肥種)이 대두(大豆)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lime types on growth and yield of soybean at newly reclaimed soil)

  • 김희권;전장협;정지호;박건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9-44
    • /
    • 1989
  • 야산개간지(野山開墾地) 토양(土壤)의 숙전화(熟田化) 및 수양증대(收量增大)를 위(爲)해 전북(全北) 김제(金堤)에서 소석회중화량(消石灰中和量), 석회약토중화량(石灰若土中和量), 황산석회(黃酸石灰), 소석회중화량(消石灰中和量)의 1.5배(倍), 석회약토중화량(石灰若土中和量)의 1.5배(倍)를 처리(處理)하여 수행(遂行)한 시험결과(試驗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처리간(處理間)에 대두(大豆)의 수량(收量)은 석회약토중화량(石灰若土中和量) 1.5배(倍)>소석회중화량(消石灰中和量) 1.5배(倍)>석회약토중화량(石灰若土中和量)>황산석회(黃酸石灰)>소석회중화량(消石灰中和量)>관행순(慣行順)으로 높았으며 1 % 수준(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 있게 증가(增加)하였다. 2. 수양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와 개화기(開花期) 식물체중(植物體中)의 무기성분(無機成分) 함량(含量)(T-N, $P_2O_5$, CaO 및 Mgo)과는 유의적(有意的) 정상관(正相關)이었으나 Mn과는 유의적(有意的) 부상관(負相關)이었다. 3. 수량(收量)과 개화기(開花期) 식물체중(植物體中)의 MgO, CaO와는 유의적(有意的) 정상관(正相關)이었으나 Mn 함량(含量)과는 유의적(有意的) 부상관(負相關)이었다. 4. 개화기(開花期) 토양중(土壤中)의 무기성분함량(無機成分含量)은 시험전(試驗前)보다 높았으며 염기포화도(鹽基飽和度)와 수량(收量)은 유의적(有意的) 정상관(正相關)이었다.

  • PDF

콩의 생육, 근류형성, 질소고정에 있어서 품종간 차이 III. 등숙기간중 식물체 각 기관 질소함량의 경시적 변동과 질소고정활성과의 관계 (Studies on Varietal Differences in Growth, Nodulation and Nitrogen Fixation in Soybeans, Glycine max (L.) Merrill. III. Relationships between Nitrogen Fixation Activity and Nitrogen Content of Plant Organs during Grain Filling Period)

  • 김석동;석총윤이;박래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61-168
    • /
    • 1988
  • 본 연구는 생태적 생리적 특성이 다른 5가지 콩품종, 즉 조숙성의 예계7003, SS79168 및 만숙성의 동북7006, 백운콩, 장백콩을 공시하여 등숙기간중 체내성분의 변동 즉 식물체 각 기관 전 질소의 경시적 변동과 품종간 차이가 등숙중기 이후의 질소 고정활성의 급속한 감퇴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를 구명하기 위하여 지상부 및 지하부 각 기관 전질소 농도를 경시적으로 조사함과 아울러 Acetylene 환원능(ARA) 등 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공시품종중 예계 7003는 노화가 지연되는 특성(delayed leaf senescence, DLS)을 갖는 품종이다. 조사는 Fehr et al.(1977)의 콩생육단계의 구분에 따라서 협신장기(R4), 입비대기(R6), 성숙시기(R7) 등과 일부 품종은 착협시(R3) 및 R4.5, R6.5, R7.5와 같은 중간적 생육단계에도 보족적인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각기관 질소량과 p-ARA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어 질소고정활성이 높을수록 질소량은 많았다. 2. 각기관 질소농도와 s-ARA간의 상관은 R4에서 정, R6에서 부의 상관을 보였다. 3. s-ARA와 숙주의 Age나 질소 이외의 영양조건 등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많아서, R4에서는 고질소농도가 엽신의 광합성 activity를 높여서 s-ARA에 촉진적으로 작용하였고, R6에서는 엽신의 광합성 activity가 저하하고 질소화합물의 분해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부의 관계가 인정된 것이라고 판단되었다.

  • PDF

수도기계이앙 육묘에 관한 연구 -제5보 상자육묘시 배유양분의 소모가 묘생육 및 활착에 미치는 영향- (Rice Seedling Establishment for Machine Transplanting V. Effect on Endosperm Weight Change on the Seedling Growth and Regrowth After Transplanting)

  • 윤용대;박석홍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5-30
    • /
    • 1984
  • 수도 기계이앙 육묘에서 종자내 배유양분의 소모가 묘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코자 초형이 다른 통일형 품종을 공시, 육묘온도를 2수준으로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묘령의 증가추이는 육묘초기는 주간 3$0^{\circ}C$/야간 1$0^{\circ}C$(고온구)에서 배유양분소모가 빨랐으며 엽수도 증가되었으나 후기에는 반대로 주간 $25^{\circ}C$/야간 1$0^{\circ}C$(저온구)에서 배유양분소모가 완만하였고 배유양분이 늦게까지 시속되고 엽수도 증가하였다. 2. 배유양분의 소진기는 엽기로 보면 고온구 2.5영, 저온구 3.0영이며. 육묘일수로는 22일, 27일에 완전히 소진되었다. 3. 대, 소입종간에는 대립종 품종이 육묘초부터 늦게까지 배유양분이 완만히 소모되었으나, 소립종은 배유양분의 소진기가 대입종보다 다소 빨리 왔다. 4. 이앙후 초기활착과 배유양분과의 관계는 배유양분이 9~10% 남아있는 치묘는 활간이 중. 성묘보다 2~3일 촉진되었으나 배유양분이 6% 남아있는 치묘에서는 촉진효과가 없었다. 5. 따라서 배유양분소모와 묘령 진전에 알맞은 경화기 온도는 $25^{\circ}C$/1$0^{\circ}C$이며. 출아장은 5mm, 치묘의 이앙적기는 배유양분이 9~10% 이상 남아있는 2.0~2.1 엽기이다.

  • PDF

예취횟수와 예취높이가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제형질 발현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tting Frequency and Height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 Performance of Sorghym-Sudangrass Hybrid)

  • 박병훈;강정훈;유시용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6-32
    • /
    • 198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utting frequency and cutting height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 performance of sorghum-sudangrass hybrid, cv. Pioneer 855 F on the experimental field of Livestock Experiment Station, Suwe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leaf component to total yield was higher when the plants were cut frequently rather than when defoliated only a few times, and tend to be higher with high cutting. 2. Leaf Area Index (LAI) was the highest at the primary growth of two cutting times scheme and the first regrowth for three or four cutting times a year, but LAI, in general, was not related to cutting height. 3. Crop Growth Rate was the heighest at the first regrowth-plants grown in summer, and it was also related to the amount of stubble left at the previous cut. 4. Dead stubbles were not occurred when plants were cut before heading, but those were accompanied by the frequent and low cutting. 5. Total fresh fodder and dry matter yield were the highest at two times cut a year, and decreased with frequent cutting. The optimum cutting height at two times cut was ca. lOCm height stubble from the ground level, but yield increased with higher level cutting at the three or four times cut a yea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