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vity factors

검색결과 433건 처리시간 0.024초

A Modularized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the Creativity Learning Program

  • Won, Kyung-Ah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2호
    • /
    • pp.103-116
    • /
    • 2007
  • Art education in design has repeatedly stresse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creativity. In the digital period, however, which shows rapid change in both forms and contents, it needs to be equipped with more flexible and systematic ways of approaching to the creativity development, especially involved with cultural diversity of the digital world. This paper primarily proposes a maximally efficient, productive creativity learning program in which the integration of expressive media and communication generates a comprehensive network of communicative information in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which, consequently, brings forth valuable cultural contents of art. The amalgamation of Won (2006)'s Prism Effect, with distinctive three devices, and the facilitator factors, with two different facilitators such as self-controlled and controlled plays, would function as a catalyst for cultural diversity in the digital forms and contents of art. And this will, consequently, result in producing a number of practices that can be classified and assorted for a later performance. This paper thus suggests a roadmap of how to develop the creativity learning program in which two categories of facilitators based on three thinking devices function to classify four activities. In addition, selected activities are shaped as a creativity learning program by generating learning practices with the formalizing instructional strategy that fit into a specialized educational environment and learners. The samples of loaming practice design show guidelines for practice and the results of learning activity. Therefore, the eventual goal of this paper would be to establish a creativity learning program that constitutes a highly systematized and modularized database to maximize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creativity development.

  • PDF

Information Sharing and Creativity in a Virtual Team: Roles of Authentic Leadership, Sharing Team Climate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 Hahm, SangWo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8호
    • /
    • pp.4105-4119
    • /
    • 2017
  • Creativity is crucial in an ever-changing e-business environment. The creation of new value is essential for companies to gain the competitive edge and to pioneer new markets in e-business. Hence, many companies in e-business operate virtual teams as they are suitable to generate creativity. Even so, virtual teams possess the inherent weakness of a lack of cohesiveness. Hence, for a virtual team to be creative, team members should help each other and share informat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haring that is supposed to improve creativity and explains how to increase them for virtual teams. To explain these relationships, three dimensions are routinely examined in organizational behavior studies: leaders, teams, and members. As a consequence, and through empirical analysis, authentic leadership, sharing team climate,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enhances information sharing and creativity through their respective roles, in addition to information sharing directly increasing creativity. To improve creativity and information sharing of virtual team members in e-business, this article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the three roles stated prior. Such factors can increase information sharing and creativity, and will help virtual teams and organizations to be more successful in e-business.

창의적 사고와 아이디어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요인들에 대한 탐색 (Sociocultural Factors Leading to Creative Thinking and Idea Generation)

  • 이선영;김정아
    • 교육심리연구
    • /
    • 제31권4호
    • /
    • pp.767-794
    • /
    • 2017
  • 창의성은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발현되고 형성되는 사회적 산물이다. 창의적 수행과 결과물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 요인들은 초국가문화, 국가문화, 직업문화, 조직문화에 따라 다르다. 그러나 그동안 수행된 창의성 연구의 대다수는 사회 및 문화요인들을 주된 주제로 다루지 않았다. 극히 드물지만 문화와 창의성 간의 관계를 탐색한 연구들은 대부분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와 같은 초국가문화의 특성들만을 다루면서 동서양 문화권에서 개인이 보이는 창의성 수준 간 차이를 제시하고 있을 뿐 영역 특수성을 고려한 창의성이나 이것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직업이나 조직 문화의 특성 등을 간과하였다. (초)국가 문화처럼 거시적 관점이 아닌 보다 미시적인 관점에서 창의성을 연구하는 것은 독창성과 유용성을 창의성의 주요 능력으로 간주하는 오늘날의 창의성에 대한 개념적인 이해와 맥을 같이 한다. 본 연구는 문화와 창의성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 창의적 사고와 아이디어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문화적 요인들을 초국가와 국가문화를 포함하는 가치문화와 직업과 조직 문화로 구성된 관습문화로 구분하여 관련 문헌들을 심도 있게 검토하였다. 초국가 및 국가 문화의 특성으로 각각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예술친화적인 사회분위기와 다문화 경험 등을 논의하였고, 관습문화에 포함된 직업 및 조직 문화의 경우, 창의성의 두 가지 핵심 능력인 독창성과 유용성간의 균형을 중시하는 건축 영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문헌분석결과, 창의적 사고와 아이디어 생성에 영향을 미친 문화적 요인들은 관습 문화와 가치 문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나 연구 결과들이 일관적이지 못한 한계를 보였다. 저자들은 논의한 선행연구의 문제점들을 문화에 대한 다차원성 고려 부족, 국가문화와 창의성 간 관계 규명의 어려움, 개인 또는 집단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차별적인 인식의 필요성, 관습과 가치문화에 대한 인위적인 구분 등으로 요약하였고 이를 후속 연구들을 위한 제언과 함께 논의하였다.

문제제기 수업이 수학 문제해결력과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roblem Posing Teaching on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 이상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3호
    • /
    • pp.361-374
    • /
    • 2005
  • I analyzed the effect of problem posing teaching and teacher-centered teaching on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in order to know the efffct of problem posing teaching on mathematics study. After we gave problem posing lessons to the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far 28 weeks, the evaluation result of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and creativity test is as fellows. First, problem posing teaching proved to be more effective in developing problem-solving ability than existing teacher-centered teaching. Second, problem posing teaching proved to be more effective than teacher-centered teaching in developing mathematical creativity, especially fluency and flexibility among the subordinate factors of mathematical creativity. Thus, 1 suggest the introduction of problem posing teaching activity for the development of problem-solving ability and mathematical creativity.

  • PDF

CPS를 위한 Blended Learning 프로그램 개발 - 고등학교 수학내용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Blended Learning Program for CPS)

  • 김영미;김향숙;임선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407-423
    • /
    • 2006
  • 창의성이 21세기의 중요한 화두로 등장하게 된 것은 국제화, 세계화, 지식정보화 등으로 불리는 현재의 우리 생활 전반에 관련된 많은 문제들을 해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존의 창의성을 연구해온 학자들은 창의성의 필요성을 훨씬 내면적이고 근본적인 이유를 들어 설명한다. 즉, 창의성을 발현하고 창의적 산물을 내는 등의 창의적인 활동들은 삶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는 근원이며, 창의적인 자원을 통해서 개인의 내면세계를 외부에 표출함으로써 개인의 삶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기 위해 필요한 일련의 활동들이라 할 수 있다. 이 같은 시대적, 교육적인 흐름에 부응하기라도 하듯 최근 창의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교육과 훈련을 통해 창의성의 계발 및 증진이 가능하다는 결과들이 나오고 있으며, 어떤 방법을 통해 창의성을 어떻게 키울 것이냐에 더 많은 초점을 두고 관련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해 본 결과, 창의성에 관한 최근 연구 이슈는 창의적인 교육방법 및 행동변인들에 관한 연구들로 전환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창의적 교육방법과 프로그램 그리고 교실분위기와 교사변인으로 창의성 교육에 관련된 주제가 선택되어진다. 이는 과거 개념적인 연구에서 실제로 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교육방법과 효과에 관한 연구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말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위해 교과와 관련된 Blended Learning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지구과학 창의력 평가 문항 개발 방법에 관한 연구 (A Method for Developing Items to Assess Earth Science Creativity)

  • 이항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50-15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지구과학 지식과 창의력을 동시에 적용해야 해결할 수 있는 지구과학 창의력을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의 개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R&D과정을 거친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조작적 정의를 통해 창의력과 과학창의력간의 인지능력 차이를 명료화하였고 둘째, 과학창의력을 구성하는 하위 요소들 중에서 문항 개발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유창성, 융통성, 정교성, 독창성을 선정하여 각각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내린 후 각 요소들에 대한 평가와 채점의 준거를 제시하였다. 셋째, 평가도구의 구비 조건인 타당도, 신뢰도, 변별도, 난이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3번의 현장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지구과학창의력 평가도구는 각 하위 요소별로 2문항씩 총 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넷째, 문항합치도 지수 평균은 .99, 문항 내적 합치도 지수인 Cronbach ${\alpha}$값은 .79, 각 문항별 평가자간 신뢰도는 0.78,각 하위 요소별 평가자간 신뢰도는 0.75, 변별도 지수인 점이연상관 지수는 .19, 문항 난이도 지수는 .00이었다. 이와 같이 평가도구의 구비조건들이 허용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지구과학 창의력 평가도구는 유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간호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 자아존중감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Everyday Creativity and Self-Esteem on Sociality)

  • 정경순;박의정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19-127
    • /
    • 2021
  •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everyday creativity and self-esteem, with sociality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nursing science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sociality. Methods : In the study 209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nursing science in B city were surveyed for the period of July through September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2.0 for Windows to determine the frequency, percentage ratio,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Statistical analyses included the t-test, analysis of variance,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everyday creativity of the nursing students was 3.65±0.43, self-esteem was 3.70±0.63, and sociality was 3.21±.33.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self-esteem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grade (F=3.11, p=.027), monthly income (F=2.41, p=.050), health condition (F=4.87, p=.001) and clinical experience (t=-2.17, p=.03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observed with regard to sociality. A static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everyday creativity and self-esteem (r=.478, p<.001) and between everyday creativity and sociality (r=.342, p<.001). Self-esteem and sociality were also statistically correlated (r=.168, p<.05). Factors that influenced the participants' sociality included monthly income (𝛽=.168, p=.015), health condition (𝛽=.178, p=.022), clinical experience (𝛽=-.161, p=.048), ability to find alternative solutions (𝛽=.245, p=.015), and in dependent nature (𝛽=.224, p=.003); The explanatory power was 15.60 %. Conclusion : More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veryday creativity, self-esteem, and sociality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nursing science, Greater efforts are needed to develop programs that nurture the sociality of college student majoring in nursing science.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위한 창의성 검사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Creativity Test for Children from 4 to 7 years)

  • 김호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5권3호
    • /
    • pp.265-273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창의성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창의성과 관련된 문헌과 전문가의 내용 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47개 문항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위한 창의성 검사 도구는 몰입과 독립성, 사고의 확장, 호기심과 개방성 요인의 22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문항양호도인 문항반응분포와 문항변별도,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검사 도구는 우리나라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창의성 정도를 간편하게 측정하는데 적절하다고 볼 수 있고, 창의성을 구성하는 인지적인 특성과 정의적인 특성을 비교적 잘 측정하고 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위한 창의성 검사 도구는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창의성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Some Factors Discriminating Mathematically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 Johny, Sholy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2권4호
    • /
    • pp.251-258
    • /
    • 2008
  • This paper deals with factors discriminating mathematically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Discussion of som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is done in the first session. Several factors distinguish mathematically gifted from the non-gifted students. High mathematical creativity, high intelligence and opinion of teachers are some of the key factors that can be used for discriminating mathematically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Research studies have revealed that cognitive as well as affective factors will enhance giftedness. In this study the investigator wishes to look in detail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how they can be identified. Anyway, teachers can change environmental factors and maximum outcome of giftedness can be ensured."

  • PDF

창의성경영과 R&D성과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을 중심으로-

  • 손태원;신유정;유성재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3년도 제22회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01-22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creativity management factors on R&D performance. To do this, the data(885 cases) was collected from 19 Korean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and 3 hypothesis derived from model of creativity management(after here CM) were tested.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CM factors are grouped into diversity, autonomy, connectivity, redundancy and flexibility factors; 2) The factors that can explain R&D performance are connectivity, autonomy, diversity and flexibility factors; 3) All CM factors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of the employees; 4) Flexibility and connectivity factors give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of the members.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in model building and empirical testing. But this study provided th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bout CM and R&D management, especially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