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untercultur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1초

대항문화로서의 전통음식의 재탄생 (The Reinvention of Traditional Cuisine as Counterculture)

  • 김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944-954
    • /
    • 2014
  • 이 글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전통음식이 과거에 대한 "향수"를 자극하며 재창조되고 소비되는 방식에 대해 논의한다. 이 글은 사찰음식과 안동음식이 재탄생한 과정 등의 사례 분석을 통해 오늘날 전통음식이 상품화되는 과정에서 탈맥락화의 과정을 거친다고 주장한다. 또한 고대 중국 사회에서 채식문화가 불교문화의 일부로 인정받기 시작한 과정을 되짚으며 불교의 채식문화가 여러 환경요인에 의해 발명된 문화라는 점을 밝히려 한다. 고대 중국사회에서 채식문화가 불교사상을 전파하기 좋은 도구로 자리 잡았다면 오늘날 사찰음식은 불교사상의 전파보다는 상품화와 소비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논문은 현대 한국사회에서 전통음식이 다시 인기를 끌고 있는 현상에 초점을 맞추어 이와 같은 현상이 현대 한국사회의 소비자들의 심리와 요구를 어떻게 반영하는가를 살펴본다. 그리고 현대 한국사회에서 각광을 받고 있는 전통음식 문화가 자본주의 사회 내에서 대항문화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을지에 대해 논의한다.

Madras Fashion of the American Women's Costume in the Sixties

  • Kim Hye Kyung;Choi Hyung-Min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5권2호
    • /
    • pp.1-12
    • /
    • 2004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India madras fashion was diffused in the American women's costume of the different social levels from 1960 to 1975, by using fashion illustrations such as photographs, drawings and advertisements collected from fashion magazines. The purpose was to obtain data for high fashion(Vogue), mainstream fashion(Mademoiselle) and college newspapers for youth fashion. The data were incorporated from 439 clothing items classified by different categories over the 16-year perio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ppearance of madras in the American women's fashion in all social classes supported the idea that fashion change during this period accompanied a concurrent change in social environment. In America during the 1960s when there was strong influence of youth counterculture and interest was high on Indian culture, this corresponded to the time of maximum popularity of madras observed in American fashion in general from 1965 to 1971. Though the Indian influence on fashion in the sixties was often ascribed solely to youth counterculture, it is evident that different social groups-high and mainstream social classes, responded to the appeal of Indian culture in different ways.

1960년대(年代) 영 패션이 현대(現代) 패션산업(産業)에 미친 영향(影響) (A Study on the Influences on the Contemporary Fashion Industry of the 60s Young Fashion)

  • 최비숙;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2권2호
    • /
    • pp.11-25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the young fashion which maintains a large share of fashion market emerged in the 1960s, its characteristics and what its influences on the contemporary fashion industry are. In particular, I am going to consider the significance of the young fashion by looking at the formation of niche market, the emergence of mass market for fashion, the expansion of aesthetic categories. we will be able to see the 60s young fashion of the young generation who emerged as new consumers in mass consumer culture exerted important influences on the contemporary fashion industry. First, the counterculture of young generation who rebeled against the uniformity of mass production helped the formation of new niche market. Second, the young fashion which pursued the lower prices for fashion made a big contribution to the popularization of fashion. The young generations tendency to demand new things and rapid change coincided with that of inexpensive popular fashion people can buy and change more easily than expensive high fashion. Lastly, the playful tendency of the young fashion expanded the aesthetic boundaries of the clothing, going beyond the uniformity of modernism with the emergency of diverse fashion materials - fabric and textiles - enable by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the miniaturization of forms as revealed in mini skirt.

  • PDF

1760년대 말 미국여성복식에 나타난 홀치기염 패션 -내용분석법을 이용하여- (Tie-dyed Fashion Appeared in the American Women′s Costume of the Late 196o′s - Using a content analysis method -)

  • Kim, Hye-Kyung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728-1737
    • /
    • 2001
  • 1760년대 말의 미국문화는 전통적인 가치관에 반발하는 청년문화운동의 화산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데 이러한 사회적인 변화는 복식에 새롭고 혁신적인 스타일을 가져오게 되는 요인이 되었다. 특히 이 시기의 미국의 청년층에 의해 일어난 반문화적인 현상으로 인식되어 온 동앙문화의 도입은 미국의 여성복식에 tie-dyeing(홀치기염)패션의 출현으로 복식에 반영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지금까지 복식 학자들에 의한 단편적인 추론으로만 설명되어 왔던 1960년대 말 미국여성복식에 나타난 홀치기염 패션의 특성에 관하여 문화적인 배경에 관한 고찰과 함께 이 시기에 출판된 정기 간행물을 연구의 일차자료로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1955년부터 1975년 사이에 출판된 Vogue와 Mademoiselle 잡지에 실린 홀치기염 패션 사진자료를 내용분석법을 이용하여 수집하여 의류품목, 소재, 기법, 디자이너 및 제조업 체에 관한 내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두 종류의 잡지 모두에서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진 여러 의류품목에 각종 기법으로 적용되었던 홀치기염 패션이 이 시기에 나타나, 청년층에서 시작되었던 이 패션이 미국의 대중 및 상류층의 복식에도 확산되었음이 밝혀졌다. 나아가 홀치기염 패션스타일이 가장 많이 보여졌던 1969년에서 1971년 사이의 기간은 청년층의 반문화적 현상이 절정을 이루었던 시기와 일치하고 있어서 이러한 급진적인 사회 현상이 그대로 패션에도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여성 패션에 표현된 밀리터리룩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Military took Expressed in Women's Fashion Design)

  • 간문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9-128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ilitary look, which is one of the most popular fashion trends in the 1996 women's fashion. Military look is that imitates or reinterprets the Army uniform which is functionally useful. After World War 1 , military look appeared in the women's fashion which is functionable tailor suits style, ankle-length skirt, pants or boiler suits for work wear, overcoat against the cold, and there was an attempt to introduce a National Standard Dress. In the middle of World War II, there was a similiar circumstance in women's military fashion. There were functionable tailor suits, knee-length skirt, pants or siren suits for work wear. And the Utility Dress was nationally recommended. In addition, the regulations were introduced to control the materials and styles used for some clothes. In the 70s, as the resistance movement as counterculture began to wear Army look which was army-uniform or army caps with 'US ARMY' logo and badges, and became very popular among the youth. In the 90s, military look has got one of the fashionable fashion themes with revival of Neo- Hippie look. Not only street fashion but also high fashion designer selected the trend for '96A/W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litary look are khaki colors or camouflage prints, epaulets, big outpockets with flap, golden buttons and army belt. As I examined, during the World War I and ll, women wore the military look because of shortage of goods and work or service, and it was recommended by government. Though the military look in 70s, began by the resistance movement, at least it became a popular fashion. Military look in 90s, does not have inner symbolic meaning or ideology but it only represents fashion trend and revival fashion.

  • PDF

Hip-Hop 패션에 관(關)한 연구(硏究) - 90 년대 New Generation의 디자인 기획(企劃)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Hip-Hop Style - Concentrating on the Design Planning of the New Generation in the 1990' s -)

  • 주은희;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2권1호
    • /
    • pp.86-99
    • /
    • 1998
  • The aim of this study to examine the Hip-Hop style, one of the fashion trends of the new generation in the 1990s and to come up with a design with a Hip-Hop image. As the Counterculture, Black Renaissance, Pop Star Syndrome, the importance of Hip-Hop fashion in mass culture was recognized and given a firm place as one of the major cultural trends of the 1990s. Hip-Hop fashion has a history: it originated from the Caribbean style in the 1940s and was transformed into Rude Boys style in the 1960s, Two-tone style and Rastafarians style in the 1970s. Finally it was succeeded by B-boys and Flygirls style. Hip-Hop style combines characteristics of all three styles mixed in one, which are as follows. First, Neo-Hip-Hop Fashion, Second, Hip-Hop Reggae Fashion and Third, Graffiti Fashion. Based on these three Hip-Hop images of the 19905, an attempt will be made to produce a Design Planning with a predicted 1998 fashion trend. This research provides order sheets on ready-made clothes designed for new generation in their late 10s and early 20s. Design Concept, Image Map, Fabric, color direction will be offered on the basis of an image map drawn in line with the three design concepts incorporating three sub themes of Liveliness, Modern Ethnic, and Dynamic Future. Three designs will be designed based on the following fashion themes$\ddot{o}$ Generation 'Y', Black Guys and Street Boys.

  • PDF

흑인 스트리트 스타일이 현대 패션에 미친 영향 (Influence of Black Street Style on the Contemporary Fashion)

  • 이영재;구인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44-558
    • /
    • 1997
  • Black street style has made unique fashion in popular music such as Jazz, Soul, Rhythm Il Blues. Reggae, and Rap, and it is counterculture and subculture against white. Furthermore, the black street style has played a starring role in the development of white culture as well as black culture, which emerged in direct opposition to the dominant cultures practised by a fraction of fellow countrymen within the black diaspora.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social chronology of the black street style and the contemporary fashion, and the influences of the black street style on white culture. The seeds of black's style were sown in the late forties, developing throughout the fifties with the arrival of black immigrants from the west Indies and its examples were zooties, hip cats 8l hipsters, modernists. Rude boy & two-tone was anti·fashion style in sixties and then rastafarians continued in seventies costume is used to convey an essential symbolic class and ethnic message. The latest black's street fashion is hip-hop dress, which is pluralistic and electric, and funk is also erratic. During its ten-year reign as an international style, it has undergone numerous shifts because it is decline of racism B-boy & flygirls toraggamuffins & bhangra style to acid Jazz. These have played a crucial part in influencing the gigh fashion and avant-grade fashion designers' work. Today's street fashion has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culture without a racism in global village. Moreover, pop music stars take an effect on the street style continuously. With the opening of a new century, the study of the street style will overcast popular fashion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fashion design.

  • PDF

메이커 운동과 시민과학의 가능성 (Maker Movement and the Possibility of Citizen Science)

  • 김동광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95-133
    • /
    • 2018
  • 2천 년대가 시작된 이후 전 세계적으로 메이커 운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오늘날에는 서울을 비롯해서 지구촌의 주요 도시들에서 해마다 메이커 페어가 열릴 정도이고 참석자들이 날로 늘어나고 있어서 일종의 메이커 '현상'으로까지 볼 수 있을 정도이다. 메이커 운동이 가지는 적극적 함의는 그동안 소비자로만 머물게 했던 제조의 독점을 무너뜨리고 시민들의 메이커로서의 권리와 능력을 되찾게 하려는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고도로 발전한 산업자본주의는 구조적으로 시민들을 불능으로 만들고, 손발을 묶어놓고 오로지 소비만 하는 존재로 퇴화시키려는 일련의 경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메이커 운동은 탄생에서 현재까지의 궤적으로 통해 볼 때 현재의 신자유주의적 제조문화와 구조적 긴장 관계에 놓여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메이커 운동을 "비판적 만들기(critical making)"의 관점에서 적극적으로 해석하려는 시도이다. 메이커 운동은 1960년대와 1970년대 미국에서 나타났던 "대항문화"와 "신공동체주의"에까지 그 근원을 추적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메이커 운동이 또다른 기술유토피아주의에 빠질 수 있으며, 소비사회의 한 영역으로 기능하면서 오히려 소비주의를 활성화시키는 방향으로 동원될 수 있다는 비판도 있다. 메이커 운동은 그 특징상 무정형적이며 현재 진행중인 상태이기 때문에 아직 섣부른 규정을 내리기 힘든 상태이지만, 그동안 과학기술의 소비자로만 규정되던 시민들이 메이커라는 생산자로 나서면서 과학기술과 시민사회의 지형에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 시민과학적 함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대중문화에 나타난 뉴에이지 사상의 특징 -아바타를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New Age Consciousness in the Popular Culture - Focus on 'Avatar')

  • 이준수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1호
    • /
    • pp.1-29
    • /
    • 2015
  • 본 연구는 뉴에이지 사상에 나타난 특성이 애니메이션이라는 대중문화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있으며 그 특징이 대중적으로 어떻게 사용되고 있음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뉴에이지 사상은 뉴에이지 운동과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뉴에이지 사상의 기본적 철학은 '인간의 무한한 잠재력이 인간 자신과 지구를 변화시킴으로 평화와 빛과 사랑의 새시대가 일시에 나타날 것이다'라고 말하는 인본주의에 중심을 두고 있다. 이 사상은 서양의 기독교에 대한 부정과 서구의 비술과 동양사상을 바탕으로 1960년대의 미국의 기존질서를 의심하고 부정하는데서 출발하여 포스트모더니즘의 사상과 반문화운동의 영향을 받아 1970년대에 대체종교로 발전하게 되었다. 하지만, 뉴에이지 사상은 자체적 한계로 인하여 종교적 사상보다는 문화, 평화, 인류의 행복과 치유를 위한 사회운동으로의 변환을 시도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뉴에이지 문화에는 본질적인 종교적 특성이 들어있으며 그러한 특성은 대중문화에서 차용하기에 용의하고 침투력도 높다. 종교란 넓은 의미에서 보면 제도화된 기성 종교, 성스럽고 가장 높은 가치를 부여하는 것에 대한 사회적 움직임이나 경향, 그리고 많은 개인들이 갖고 있는 고유한 종교적 믿음과 수행 모두를 포함한다. 종교는 개인에게 삶의 의미와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 한편, 사회질서의 유지와 시회통합에 기여한다는 점에서도 가장 총체적이며 복합적인 문화현상으로 평가된다. 그러한 이유로 종교와 문화는 깊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대중문화가 수용자에게 깊은 감동과 재미를 주기 위해서는 인간의 깊은 의식 속에 숨어 있는 종교적 갈망을 포착하고 들어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뉴에이지의 환생, 환상, 명상, 범신론과 일원론과 같은 특징을 분석하고 이러한 특징이 대중문화와 대중문화를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아바타'를 통하여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난 뉴에이지사상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대중문화의 사상적 실체가 되는 종교적 영향력을 재조명하고 다양한 시각으로 대중문화를 바라보는 통찰력을 가지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