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metic emulsion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23초

얇은 오일쉘 이중에멀젼을 이용한 고효율 단분산성 하이드로젤 마이크로 입자 생산 (Highly Efficient Production of Monodisperse Poly(ethylene glycol) (PEG) Hydrogel Microparticles by Utilizing Double Emulsion Drops with a Sacrificial Thin Oil Shell)

  • 김병진;정혜선;최창형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1호
    • /
    • pp.139-144
    • /
    • 2022
  • 본 연구는 미세유체기술을 기반으로 매우 간단하고 효율적인 단분산성 하이드로젤 마이크로 입자 제조 방법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유리모세관 미세유체장치 내에서 형성된 이중에멀젼은 자외선기반 자유라디칼 중합에 의해 빠르게 고형화가 이루어진다. 수용액에 분산됨과 동시에 계면활성제의 부족으로 인해 얇은 오일쉘은 자발적으로 분리되어, 단분산성 하이드로젤 입자를 형성하였다(C.V.=1%). 본 연구의 결과는 water-in-oil (w/o) 단일에멀젼 기반의 제조 방법과 달리 오일 부피를 최소한으로 사용하여 크기 및 조성 제어가 가능한 단분산성 하이드로젤 입자의 제조가 달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상도표를 기반으로 미세유체장치 내 유동 패턴에 대한 심층 연구는 상대적인 부피 유속들 간의 중요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하이드로젤 마이크로 입자의 안정적인 제조를 위한 실험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도라지 추출물로부터 천연계면활성제의 개발 (Development of a Natural Surfactant from Extra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 김희진;박숙경;김보영;홍슬기;조성기;김동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2호
    • /
    • pp.227-232
    • /
    • 2008
  • 화장품용 천연계면활성제를 개발하기 위해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껍질에서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도라지 추출물의 화장품용 계면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계면장력, 용해도, 기포력, 분산력, 유화력, 유화활성, 유화안정성을 측정하였고 피부자극을 평가하기위해 첩포시험을 실시하였다. 도라지 사포닌 함량이 0.005 wt%일 때 castor oil에 대한 계면장력은 11.5 dyn/cm로 비교대상인 Tween 40이나 quillaja bark보다 낮은 계면활성을 보여주었다. 도라지 추출물은 화장품에 유상으로 사용되는 olive oil, soybean oil, canola oil에 대해서도 우수한 유화활성과 유화안정성을 나타내었다. 2~5%의 도라지 추출물과 글리세린을 사용한 피부자극 시험에서는 도라지 추출물은 약간의 피부자극을 보여 주었다. 결론적으로 도라지 추출물은 화장품용 계면활성력은 양호하나 다소의 피부자극을 보여주었다.

유화제의 구조에 따른 W/O 에멀젼의 특성 및 안정도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operty and Stability of W/O Emulsion by Various Structures of Emulsifier)

  • 김운하;이광식;이건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19-131
    • /
    • 2012
  • w/o 에멀젼은 내수성이 뛰어나고 보습 효과를 오랫동안 지속시킬 수 있으므로 화장품에 많이 사용하지만 안정도가 좋지 않기 때문에 안정한 w/o 에멀젼을 만들기 위해서는 전해질의 농도, 오일의 극성 정도, 수상의 비율, 유화제의 농도 등을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안정도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요소 중에서 유화제의 구조에 따라 유화가능여부와 안정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유화제를 구조적으로 polyglyceryl ester 계열, silicone 계열, sugar 계열 유화제 등으로 나누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유상에 사용되는 오일의 실리콘 함량을 다르게 하여 유화제의 유화 능력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를 참고하여 유화제에 따른 에멀젼의 입자, 점도의 경시 변화 등의 w/o 에멀젼의 특성을 찾아내고, 여러 조건에서 에멀젼의 안정도를 관찰하였다.

생태교란종 가시박(Sicyos angulatus L.)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Functional Cosmetic Material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 of Sicyos angulatus L.)

  • 장예진;황수빈;변지아;신운교;박시현;윤수빈;이진태;송일대;권용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756-770
    • /
    • 2024
  • 본 연구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생태교란종으로 지정되어있는 가시박 (Sicyos angulatus L., SA)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항산화, 미백, 항균, 항염증 효능 평가를 수행한 후, 에멀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SA는 초순수 (SAW)와 70% EtOH (SAE)로 추출하였다. SAE는 SAW와 비교하여 DPPH radical 및 ABTS+ radical에 대한 소거 활성과 SOD 유사 활성이 보여 항산화의 효능이 뛰어나며, tyrosinase의 활성을 저해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다. SAW는 Escherichia coli (E.c), Staphylococcus epidermidis (S.e), Staphylococcus aureus (S.a), Pseudomonas aeruginosa (P.a), Cutibacterium acnes (C.a) 균주에 대한 항균 효과가 없는 반면, SAE는 S.a를 제외한 E.c, S.e, P.a, C.a 균주에서 clear zone이 생성되어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LPS를 처리한 RAW 264.7 세포에서 SAE는 SAW보다 iNOS 및 COX-2의 발현량이 억제됨으로써 NO의 생성량을 억제하여 항염증에 대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SAE을 첨가한 에멀션을 4℃, 25℃, 50℃의 온도에서 분리 현상이 관찰되지 않고, pH와 점도는 수치상 큰 변화가 없었으며, 입자크기가 대조군 에멀션의 입자와 유사하므로 제형에 영향을 끼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기능성 화장품 연구에 새로운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천연색 인화지용 사진유제 제조와 경막 시험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hotographic Emulsion Manufacture for Color Paper and Hardening Test)

  • 김영찬
    • 정보학연구
    • /
    • 제8권4호
    • /
    • pp.43-50
    • /
    • 2005
  • In this paper, we describ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otographic emulsion manufacture and hardening test of color paper. The hardener was prepared by the reaction of cyanuric chloride with sodium hydroxide, disodium hydrogenphosphate-12-water and trisodium phosphate-12-water in the presence of water. The hardener used in this study is a 2,4-dichloro-6-hydroxy-1,3,5-triazine mono sodium salt. The hardening test of photographic emulsion was studied respectively at pH 5.5, 7, 8.5 and about increasing temperature. Novel hardener can be used in photo-graphic emulsion of color paper and showed very good hardening effect.

  • PDF

대칭적 Triazine 유도체들에 의한 중성 유제층의 경막시험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Hardening Test of Neutral Emulsion Layers by Derivatives of Symmetrical Triazine)

  • 김영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5-210
    • /
    • 2007
  • In this paper, we describ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utral emulsion manufacture and hardening test of films. The hardeners were prepared by condensation of equimolar amounts of trichlorotriazine with benzene- or naphthalene-based amino or oxy acids at 0 to $5^{\circ}C$ and at pH 7, and used as hardening agents for gelatin. The hardening test of neutral emulsion layers was studied at pH 7.0. For example I(R=ONa) had strong hardening properties, I substituted with an aminobenzosulfonate moiety $(R=NHC_6H_4-p-SO_3Me$ where Me = K, Na) was a much weaker gelatin hardener, and when substituted with amino- or oxynaphthalene derivative (II, III) did not harden gelatin at all. Compound with 2 dichlorotriazine groups as IV exhibited hardening properties. The hardener can be used in neutral emulsion layer of film and showed good hardening effect.

대칭적 Triazine 유도체들에 대한 젤라틴 유제층의 경막 시험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Hardening Test of Gelatin Emulsion Layers by Derivatives of Symmetrical Triazine)

  • 김영찬
    • 정보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1-7
    • /
    • 2006
  • In this paper, we describ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otographic emulsion manufacture and hardening test of films. The hardeners were prepared by condensation of equimolar amounts of trichlorotriazine with benzene- or naphthalene-based amino or oxy acids at 0 to 5$^{\circ}C$ and at pH 7, and used as hardening agents for gelatin. The hardening test of photographic emulsion was studied at pH 5.5. For example I(R=ONa) had strong hardening properties, I substituted with an aminobenzosulfonate moiety (R=$NHC_6H_4-p-SO_3Me$ where Me = K, Na) was a much weaker gelatin hardener, and when substituted with amino- or oxynaphthalene derivative (II, III) did not harden gelatin at all. Compound with 2 dichlorotriazine groups as IV exhibited strong hardening properties. The hardener can be used in photographic emulsion of film and showed very good hardening effect.

  • PDF

9-Phenyl-5,5'-Diphenyl-3,3'-Bis(3-sulfopropyl)Benzoxazolo Carbocyanine Triethyl Ammonium Salt의 분광증감과 사진특성 (Spectral Sensitization and Photographic Characteristics of 9-Phenyl-5,5'-Diphenyl-3,3'-Bis(3-sulfopropyl)Benzoxazolo Carbocyanine Triethyl Ammonium Set)

  • 김영찬
    • 정보학연구
    • /
    • 제8권3호
    • /
    • pp.51-56
    • /
    • 2005
  • In this paper, we describ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tral sensitization and phot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lor paper. The photographic emulsion used in this study is a green-sensitizing emulsion. U.V maximum absorption peak value of 9-phenyl-5,5'-diphenyl-3,3'-bis(3-sulfopropyl)benzoxazolo carbocyanine triethyl ammonium salt was observed 507nm, and wedge spectrograms maximum peak value of color paper added dye to photographic emulsion was shown 553nm. As compared with the absorption peak of the dye in methanol solution, the sensitizing peaks of 9-phenyl-5,5'-diphenyl-3,3'-bis(3-sulfopropyl)benzoxazolo carbocyanine triethyl ammonium salt have red shifts of 46nm. The photographic characteristics of green-sensitizing emulsion were obtained contrast(2.6), speed(48-57), fog(0.08). Therefore, benzoxazolo carbocyanine dye is of industrial importance as green-sensitizing dye in the spectral sensitization of photographic emulsion.

  • PDF

원적외선 방사체인 경옥 파우더를 함유하는 스킨케어 화장품 제형이 피부 온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f Effect on Skin Temperature by Jadeite Powder Containing O/W Emulsion Formulation)

  • 김나리;심종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01-21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원적외선 방사체로 알려져 있는 준 보석 광물인 옥(jade)의 한 종류인 경옥(jadeite) 파우더를 함유하는 스킨 케어용 O/W 유화 제형을 제조하였다. 경옥 파우더는 화장품 원료로 기 등록된 옥의 다른 한 종류인 연옥(nephrite) 파우더나, 자외선 차단을 목적으로 화장품에 적용되는 이산화티탄 파우더와는 달리, 아무런 분산 첨가제 없이도 수상에서 한달 이상 안정하게 분산이 유지되며 저점도 유화 제형에 5 wt% 이상 균질 유화기로 용이하게 분산이 가능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경옥 파우더가 2% 함유된 제형을 피부에 도포하고 피부의 표면 온도변화를 적외선 열 영상 분석기로 측정한 결과 동일인의 안면 피부에 경옥 파우더가 함유된 O/W 유화제형을 도포한 부위가 30 min 경과 시 대조군을 도포한 부위의 온도 대비 평균 약 $+1.5^{\circ}C$, 최대 $+2^{\circ}C$의 온도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현상의 원인을 보다 분명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경옥 파우더 자체를 가온한 뒤 복사에 의한 열 방출을 살펴보았고, 전파장대에서의 흡광 분석, 원적외선 방사율 및 표면 원소 분석을 진행한 결과, 이와 같은 피부 온도 변화는 경옥 파우더의 원적외선 방사 효과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경옥 파우더의 표면에 노출된 원소들과 스킨케어용 화장품에 높은 비율로 포함되어 있는 물 분자와의 수소결합으로 인해 수분 증발을 억제하여 열에너지의 손실을 막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경옥 파우더는 화장품용 새로운 보습, 보온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하며, 흡광 분석결과로 미루어 보아 이산화티탄과 같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간단히 혼합 병용하여 자외선 및 유해 가시광선 영역의 차단을 증대시키는 보조 소재로도 유용할 것이다.

키토산 마이크로캅셀 및 비드의 제조와 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hitosan Microcapsule and Bead.)

  • 하병조;이옥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7-51
    • /
    • 1994
  • Glutaraldehyde를 사용하여 화학적인 가교반응에 의해 empty cross-linked chitosan microcapsule을 제조하였다. 또한 chitosan bead는 sodium hydroxide 용액을 이용한 coaervation에 의해 제조하였다. 이들의 제조를 위해 수상/유화제/유기상으로 이루어진 w/o emulsion을 형성시킨 후 에멀젼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해 조사하였다. 보조계면활선제로 n-hexanol을 첨가한 결과 유화안정성이 상승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Chitosan microcapsule은 광택이 나는 형태로 내부가 투명한 반면 chitosan bead는 백탁으로 내부가 불투명하며 매우 porous한 구조를 하고 있었다. Chitosan bead의 유리 아미노기의 분석은 picric acid titration으로 수행하였으며, 아미노산 반응의 종결여부는 ninhydrin color test에 의해 판정하였다. 또한 fluoroscamine에 의한 형광분석으로 chitosan bead의 표면에 많은 반응성 아미노기가 존재하고 있음을 정성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생리활성 펩티드의 커플링 반응에 이용할 수 있었다. 모델 펩티드로서 콜라겐의 receptor 부분에 해당하는 생체내 growth factor로 알려진 Gly-His-Lys를 각 아미노산 유도체를 차례로 커플링하여 chitosan bead 위에서 합성할 수 있으며, 세포 성장인자와 같은 여러 가지 생리 활성 펩티드의 운반체로서 chitosan bead가 쉽게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