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onal suture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18초

안와하연 및 측벽(frontozygomatic suture)에 대한 lateral canthotomy-conjunctival approach를 이용한 협골체 골절의 치료 (LATERAL CANTHOTOMY-CONJUNCTIVAL APPROACH TO THE LATERAL AND INFERIOR ORBIT)

  • 김현철;변숙;윤옥병;이태영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6권1호
    • /
    • pp.99-103
    • /
    • 1994
  • 협골체 골절시 접근방법은 안와하연에 대해 섬모하절개, 하안검절개, 안와하연절개 및 결막절개등이 사용되고 안와측벽, frontozygomatic suture에 대해서는 lateral brow incision, 상안검절개등이 사용되며 관상절개술은 frontozygomatic suture와 협골궁에 접근할 수 있다. 관상절개술을 제외한 접근방법은 한가지 절개술로 단지 한부위의 정복과 고정술이 가능하므로 결국 협골체 골절시 2점이상 고정을 할 경우 2가지 이상의 절개가 필요하게 된다. 이에 저자들은 관상절개술의 적응증이 아닌 협골체 골절에 lateral-canthotomy-conjunctival incision을 사용하여 안와하연 및 측벽의 골절부에 대한 정복술과 고정술을 시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관찰하여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두개골 봉합부의 초기 형태발생과정에서 Msx 유전자들의 발현양상 (THE EXPRESSION OF MSX GENES DURING EARLY CRANIAL SUTURE EMBRYOGENESIS)

  • 이상엽;박미현;유현모;남순현;김영진;김현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1-180
    • /
    • 2003
  • 두개골의 성장은 뇌의 발달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두개봉합부 주위 여러 조직들사이의 조화로운 상호작용을 필요로 한다. 두개골의 조기융합으로 알려진 craniosynostosis는 이러한 상호작용의 불균형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으며, craniosynostosis의 원인 유전자의 하나로 Msx2가 알려져 있다. Msx1, Msx2, Msx3로 구성되어 있는 Msx 유전자는 homeobox를 포함하고 있는 전사조절인자로, 초파리의 muscle segment homeobox 유전자의 homologue이다. Msx1과 Msx2 유전자들은 척추동물의 발생과정에서 조직 상호작용하는 여러 부위에 서로 겹치는 양상으로 발현되며 기관형성동안 상피-간엽조직 상호작용과 연관되어 나타나고, BMP와 FGF signaling의 표적 유전자들이다. Mouse 두개골의 시상봉합부와 관상봉합부의 초기 형태발생과정에서의 Msx 유전자들의 기능을 알아보기위해, 태생 15일에서 태생 18일까지의 mouse의 두개골을 이용하여 in vivo 실험을, 태생 15.5일 mouse 두개골을 이용하여 in vitro 실험을 시행하였다. 시상두개봉합부에서는, Msx1은 봉합부의 간엽조직과 dura mater에 발현하였으며 Msx2는 두개봉합부와 dura mater에 강하게 발현되었다. 관상두개봉합부에서는 Msx1, Msx2 유전자 모두 강하게 발현되었으며, 골막에서도 관찰할 수 있었고, Msx1이 Msx2보다 좀더 광범위하게 발현되었다. In vitro 실험결과, BMP2 bead 주위로 Msx1 mRNA와 Msx2 mRNA 모두 발현되었으나, FGF2 bead 주위로는 Msx1만 발현되고 Msx2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Msx1, Msx2 유전자들은 태생기 두개봉합부의 형태발생 및 유지를 조절하는데 중요하며, Msx 유전자들은 거의 유사한 발현양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들 유전자들을 조절하는 상위 siganling에 의해 서로 보완적으로 혹은 독립적으로 기능을 나타내고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 PDF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의 후방 경골 부착부위의 절단 파열 - 임상 양상 및 새로운 봉합 수기(pullout suture) - (Transection of the posterior horn of the medial meniscus at the posterior tibial attachment - Clinical features and A new repair technique (Pullout suture) -)

  • 안진환;하철원;김호;김성민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09-114
    • /
    • 1999
  • 목 적 : 내측 반월상 연골후각의 후방 경골 부착부위의 절단 파열은 흔하지 않고 기존의 수기로는 봉합이 어렵다. 이에 저자들은 내측 반월상 연골의 후방 경골 부착부위의 절단 파열의 임상 양상 및 pullout suture를 통한 새로운 봉합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년 9월부터 1999년 7월까지 9명의 환자에서 후방 경골 부착부위의 절단 파열을 경험 하였다. 평균 나이는 59.3세로 38세에서 70세까지의 분포였다. 전예에서 자기공명영상과 임상양상으로 진단하였고, 슬관절경을 통해서 확진과 치료를 하였다. 1예에서 2차적 관절경을 시행하여 봉합 된 반월상 연골의 치유여부를 확인하였다. 임상 양상 : 대개 중년이후의 나이에서 호발하며, 특별한 외상의 과거력이 없다. 슬관절 후면의 통증을 호소하였으나, 그 위치가 불명확한 특징이 있었다. 경도내지 중등도의 슬관절의 종창을 호소하였으며, 특징적으로 슬관절을 굴곡 시킬수록 심해지는 술관절 후면의 통증으로 완전한 굴곡의 장애가 있었다.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퇴행성 변화는 없거나, 나이에 비해서 미미한 양상이었다. 술 전 자기 공명영상이 진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관상면에서 반월상 연골의 후각이 후방 경골 부착부위에서 분리되어 있는 형태를 보인다. 수술 수기 : 4개의 표준 portal 로 도달하여 후각부의 절단파열을 확인하고, 변연절제술로 시야를 확보하고 후각의 후방 부착부위의 연골하골을 노출 시킨다. 전내측 또는 후내측 도달법으로 절단단율 PDS 로 봉합한다. PDS 봉합사를 전내측 도달법으로 밖으로 꺼내 놓는다. 경골 내측 근위부에 종절개를 가한 후에 ACL tibla guide를 이용하여 경골 내측 근위부에서 후각의 후방 경골부착부위까지 골 터널을 만든다. 강선 루프를 경골 터널을 통하여 삽입하여서 전내측 도달법으로 빼내고, PDS 봉합사를 사이에 끼워서 다시 경골 터널을 통해 아래쪽으로 당겨서 끌어낸다. PDS 봉합사를 경골 내측 근위부에 post-tie 방법으로 고정한다. 결 론 : 내측 반월상연골 후각의 후방 경골부착부위의 절단피열은 임상적으로 흔하지 않고 보고도 드물다. 임상 양상과 자기공명영상이 진단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관절경적 pullout 봉합이 이런 형태의 파열에 대한 치료로서 유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rouzon's disease 의 증례 (CROUZON'S DISEASE: A Case Report)

  • 손흥규;김순주;최병재;이명숙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49-254
    • /
    • 1984
  • This is a case report of Crouzon's disease as a kind of craniofacial dysostosis by premature closure of unilateral coronal suture, showed plagiocephalic skull. 5-year-old boy was visited for the treatment of dental caries and oral examination. Physical examination showed hypertelorism, internal strabismus, and saddle nose. Intraoral radiographs showed congenital missing of upper right and left deciduous and permanent lateral incisors. Cephalometric analysis showed shortening the posterior cranial base length, clockwise growth pattern and class III and open bite tendency. Posterior-anterior and submentovertex view showed multiple radiolucencies-digital impression on inner surface of cranial vault. Maxillo-facial and neuro-surgical treatment was required to improvement of facial esthetics and optic complications. Continuous examination was needed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 PDF

쇄골두개이형성증(Cleidocranial Dysostosis)환자에서 Porous Polyethylene(Medpor®)를 이용한 두개골 함몰의 교정 1례 (Correction of Frontal bone defect in Cleidocranial Dysostosis with Porous Polyethylene(Medpor®): A case report)

  • 모재성;나영천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4호
    • /
    • pp.481-484
    • /
    • 2009
  • Purpose: Cleidocranial dysostosis is a rare hereditary disorder affecting bones that develop by intramembranous formation. The typical features include excessive growth of transverse diameter of the skull, hypoplastic clavicles, low height and characteristic facial features. Methods: A 28 years old female patient visited by frontal area depression. The diagnosis was performed by computed tomographic study and radiographic imaging. The patient has widely opened anterior fontanelle, partial fused metopic suture, multiple wormian bone and supernumenary impacted teeth. Under the coronal incision, we exposed depressed frontal area and corrected with Medpor block carving. Results: Postoperatively, frontoparietal skull was aestheticlly improved and she was satisfied with the results. Conclusion: Authors report a case of cleiodocranial dysostosis who has been done correction of abnormal skull shape by Medpor$^{(R)}$ insertion.

Apert syndrome 환자의 제증상에 관한 증례보고 (APERT SYNDROME : A CASE REPORT)

  • 송수복;김정욱;김종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4-50
    • /
    • 2002
  • Apert syndrome은 첨두합지증(acrocephalosyndactly)중의 하나로, 1906년 Apert에 의해 보고된 증후군이며 관상봉합의 조기유합에 의한 첨두증(acrocephaly)과 합지증이 공존하는 선천성 유전 질환이다. 임상적으로 뾰족한 고깔모양의 머리 형태를 하고 있으며, 손과 발이 합지증을 보이는 것이 가장 특징적이다. 상염색체 우성의 유전을 하며 중안면부의 발육부전으로 인한 안구돌출 경도의 양안이개 및 상악골 발육부전을 나타내고, 고구개, 연구개열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으며, 하악 발육은 정상이나 상대적으로 하악 전돌의 양상을 나타내고 좁은 상악과 하악궁에 심한 총생이 나타나고, 골격적 이상에 의한 부정 교합과, 전방부의 개교를 유발한다. 본 증례는 성형외과에서 상악과 하악에 대한 교정적 처치의 가능성에 대하여 의뢰된 3세 1개월의 Apert syndrome 남아에 대한 것으로 의학적 기왕력과 향후 치과적 처치방향에 대해 과거의 문헌을 고찰하고, 교정적 진단과 치료계획의 수립과정 중에 다소의 지견을 얻었기에 이에 대해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부족교정된 일측성 관상봉합 조기유합증 환자의 수술 교정예 (A Case of Surgical Correction of Undercorrected Unicoronal Synostosis)

  • 심형섭;백혜원;변준희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5-89
    • /
    • 2008
  • Purpose: Unicoronal synostosis is the craniofacial anomaly caused by premature fusion of unilateral coronal suture. Ipsilateral flattening of the frontal and parietal bones, temporal retrusion with elevation and recession of the supraorbital rim are main clinical features. Compensatory contralateral frontal bossing and deviation of the nasal root and/or chin can also occur. There is a controversy about techniques for surgical correction, however, bilateral approach technique is more effective for correction of deformity. Methods: A 4-year-old patient with unicoronal synostosis had undergone unilateral suturectomy at 28-month-old but fronto-facial deformity had remained and aggravated as she grew older. She had both fronto-facial and endocranial asymmetry. We performed coronal cranial approach and fully exposed affected cranium including supraorbital rim. Anterior 2/3 calvarial reconstruction with bilateral frontal bone osteotomy and fronto-orbital bandeau advancement was performed. Results: Fronto-facial symmetry including fronto-orbital contour, nasal devation was improved. Endocranial twisting was also improved from $158^{\circ}$ to $162^{\circ}$ in CSO(crista gallisella turcica-opisthion) degree. There was n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no need for revision, and facial asymmetry improved at the period of 2 years of follow-up. Conclusion: Bilateral approach with fronto-orbital bandeau remodeling in surgery of unicoronal synostosis looked superior to unilateral approach in achieving better symmetry and preventing recurrence of asymmetry. Remodeling surgery should be tried in patients even at an older age to correct fronto-facial asymmetry.

Pattern of microimplant displacement during maxillary skeletal expander treatment: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tudy

  • Ney Paredes;Ausama Gargoum;Ramon Dominguez-Mompell;Ozge Colak;Joseph Bui;Tam Duong;Maya Giannetti;Fernanda Silva;Kendra Brooks;Won Moo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289-297
    • /
    • 2023
  • Objective: To analyze the microimplant (MI) displacement pattern on treatment with a maxillary skeletal expander (MSE)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Methods: Thirty-nine participants (12 males and 27 females; mean age, 18.2 ± 4.2 years) were treated successfully with the MSE II appliance. Their pre- and post-expansion CBCT data were superimposed. The pre- and post-expansion anterior and posterior inter-MI angles, neck and apical inter-MI distance, plate angle, palatal bone thickness at the MI positions, and suture opening at the MI positions were measured and compared. Results: The jackscrew plate was slightly bent in both anterior and posterior a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tent of suture opening between the anterior and posterior MIs (P > 0.05). The posterior MI to hemiplate line was greater than that anteriorly (P < 0.05). The apical distance between the posterior MIs was greater than that anteriorly (P < 0.05). The palatal thickness at the anterior MIs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posteriorly (P > 0.01). Conclusions: In the coronal plane, the angulation between the anterior MIs in relation to the jackscrew plate was greater than that between the posterior MIs owing to the differential palatal bone thickness.

상부 관절와 및 관절와 순의 해부학적 분석 (Anatomical Analysis of Superior Glenoid and Glenoid Labrum)

  • 최남용;송현석;윤형문;최승균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2-106
    • /
    • 2010
  • 목적: 상부 관절와에 부착하는 관절와 순에 발생한 병변에 대한 봉합술 후의 결과가 모든 예에서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 본 저자들은 상부 관절와 순의 치료에 도움이 되는 해부학적인 정보를 얻고자 견관절 자기 공명 영상 검사를 분석하고, 상부 관절와 순이 부착하는 부위의 관절와의 해부학적인 형태 및 부착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견관절 자기 공명 영상 검사를 시행한 108예에서 관상면 영상을 분석하였다. 평균 연령은 52세(17~71세)였으며, 남자는 55예였고 여자는 53예였다. 일반적으로 상부 관절와 순 파열에서 봉합하게 되는 영역인, 이두건 장두의 관절와 부착 부위의 후방 2개 영상에서 관절와 순의 부착 부위의 길이 및 상외측 관절와의 단면 각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상부 관절와 순의 관절와 전방 부착 부위의 내-외측 길이는 평균 $9.78{\pm}1.64\;mm$였다. 남자는 평균 $10.1{\pm}1.61\;mm$, 여자는 평균 $9.43{\pm}1.6\;mm$였다. 상외측 관절와의 각도는 평균 $89.6{\pm}7.6$도였다. 결론: 관상면에서의 상부 관절와 순의 부착 부위는 후방이 전방보다 짧다. 상외측 관절와의 각도는 후방이 전방보다 작았다.

  • PDF

한국인 성인에서 두정골의 부위별 두께에 대한 연구 (REGIONAL THICKNESS OF PARIETAL BONE IN KOREAN ADULTS)

  • 차인호;김희진;정영수;이충국;정인혁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0권3호
    • /
    • pp.269-273
    • /
    • 1998
  • To clarify the clinical utility of the calvarial bone graft in the maxillofacial reconstruction, we performed on anatomical study by measuring the regional thickness of the parietal bone on 17 Korean adult dry skulls. Before the sectioning the calvarium, the anatomical landmarks were marked on each specimens. And then we measured the total thickness of the parietal bone, the thickness of the outer and inner cortical plates on various points in each sections of parietal bones using a digital caliper under the stereomicroscope. The total thickness of the parietal bone was ranged from 5.17mm to 7.50mm,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total thickness of the parietal bone on the same points bilaterally. But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thickness of the parietal bone was thicker toward to the lambda point than the coronal suture area. At the other hand, the thickness of the outer and inner plate of the parietal bone was the thickest at the first point of the right aspect on the line 1, the first point of the left aspect on the line 5,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donor site of the parietal bone for the maxillofacial reconstruction should be located at more posterior and medial area of the parietal bone than the prevalent known donor si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