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ection of the posterior horn of the medial meniscus at the posterior tibial attachment - Clinical features and A new repair technique (Pullout suture) -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의 후방 경골 부착부위의 절단 파열 - 임상 양상 및 새로운 봉합 수기(pullout suture) -

  • Ahn, Jin-Hwa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
  • Ha, Chul-Wo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
  • Kim, H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
  • Kim, Sung-Mi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 안진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하철원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김호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김성민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1999.12.30

Abstract

Purpose : The importance of meniscal repair is well recognized. But transeciton of the posterior horn of the medial meniscus at the posterior tibial attachment is rarely documented and known irreparable. We experienced 9 cases of transection, and present clinical features and pull out suture technique. Methods and Materials : There were 9cases of transection of the posterior horn of medial meniscus from September 1998 to July 1999 in our hospital. Age was 59.3 years in average and ranged from 38 to 70years. Clinical features and MRI made diagnosis in all cases. We confirmed the diagnosis with arthroscopy and repaired the transection with pullout suture technique. Clinical features : Transection of the posterior horn of the medial meniscus at the posterior tibia attachment occurred frequently in middle aged people. They complained posterior knee pain, but they have no history of definitive trauma. Characteristically they had difficulty in full flexion of the knee and in having a squatting position. MRI is very important in diagnosis of transection, especially in coronal view, there is separation of the posterior horn of the meniscus from the posterior tibial attachment. Surgical technique : Pullout suture technique includes debridement of fibrous or scar tissue, exposure of the subchondral bone of the posterior tibial attachment site, suture the transected end of the meniscus with PDS suture, bone tunnel formation from the anteromedial aspect of the proximal tibia, insertion of wire loop through the tibia tunnel, pull the PDS suture through the tibia tunnel out of the joint and stabilize the PDS with post-tie technique to the proximal tibia. Conclusion : Transection of the posterior horn of the medial meniscus at the posterior tibial attachment is not common clinically and rarely documented. Clinical features and MRI are very important in diagnosis of this type tear. Arthroscopic pullout sutures is useful for treatment of this type tear of the meniscus.

목 적 : 내측 반월상 연골후각의 후방 경골 부착부위의 절단 파열은 흔하지 않고 기존의 수기로는 봉합이 어렵다. 이에 저자들은 내측 반월상 연골의 후방 경골 부착부위의 절단 파열의 임상 양상 및 pullout suture를 통한 새로운 봉합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년 9월부터 1999년 7월까지 9명의 환자에서 후방 경골 부착부위의 절단 파열을 경험 하였다. 평균 나이는 59.3세로 38세에서 70세까지의 분포였다. 전예에서 자기공명영상과 임상양상으로 진단하였고, 슬관절경을 통해서 확진과 치료를 하였다. 1예에서 2차적 관절경을 시행하여 봉합 된 반월상 연골의 치유여부를 확인하였다. 임상 양상 : 대개 중년이후의 나이에서 호발하며, 특별한 외상의 과거력이 없다. 슬관절 후면의 통증을 호소하였으나, 그 위치가 불명확한 특징이 있었다. 경도내지 중등도의 슬관절의 종창을 호소하였으며, 특징적으로 슬관절을 굴곡 시킬수록 심해지는 술관절 후면의 통증으로 완전한 굴곡의 장애가 있었다.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퇴행성 변화는 없거나, 나이에 비해서 미미한 양상이었다. 술 전 자기 공명영상이 진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관상면에서 반월상 연골의 후각이 후방 경골 부착부위에서 분리되어 있는 형태를 보인다. 수술 수기 : 4개의 표준 portal 로 도달하여 후각부의 절단파열을 확인하고, 변연절제술로 시야를 확보하고 후각의 후방 부착부위의 연골하골을 노출 시킨다. 전내측 또는 후내측 도달법으로 절단단율 PDS 로 봉합한다. PDS 봉합사를 전내측 도달법으로 밖으로 꺼내 놓는다. 경골 내측 근위부에 종절개를 가한 후에 ACL tibla guide를 이용하여 경골 내측 근위부에서 후각의 후방 경골부착부위까지 골 터널을 만든다. 강선 루프를 경골 터널을 통하여 삽입하여서 전내측 도달법으로 빼내고, PDS 봉합사를 사이에 끼워서 다시 경골 터널을 통해 아래쪽으로 당겨서 끌어낸다. PDS 봉합사를 경골 내측 근위부에 post-tie 방법으로 고정한다. 결 론 : 내측 반월상연골 후각의 후방 경골부착부위의 절단피열은 임상적으로 흔하지 않고 보고도 드물다. 임상 양상과 자기공명영상이 진단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관절경적 pullout 봉합이 이런 형태의 파열에 대한 치료로서 유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