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nience food restaurants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4초

서울 시내 3개 지역별 초등학교 6학년의 패스트푸드 섭취 실태와 식습관에 관한 연구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s and Eating Habits of 6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ul)

  • 신은경;김상연;이석화;배인영;이현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662-67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fast food intake in residential areas and its relation to eating habits among 551 6th grade students (286 male students and 265 female students) from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angnam-gu, Dongjak-gu and Seongbuk-gu,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 for fast food among districts (p<0.05) and children from Seongbuk-gu showed a greater preference for fast food than those from Gangnam-gu and Dongjak-gu. In terms of preferences for particular types of fast food, children from Seongbuk-gu liked hamburgers more than those from Gangnam-gu and Dongjak-gu so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districts (p<0.05). With regards to the frequency of intake of the various types of fast food, there were differences in hamburger, pizza and chicken among three districts (p<0.05) and children from Seongbuk-gu ate fast food 1 to significant 2 times more often than those from Gangnam-gu and Dongjak-gu.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gularity of mealtimes between districts (p<0.05), with children from Seongbuk-gu showing more irregularity in their mealtimes than those from Gangnam-gu and Dongjak-gu.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snack intake (p<0.05), and children from Seongbuk-gu tended to take a snack 1 to 2 times more often than those from Gangnam-gu and Dongjak-gu. 3) In the frequency of fast food intake in accordance with obes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obesity index (p<0.05). In particular, children who were underweight had a tendency to eat more fast foo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requency of fast food intake depending on children's pocket money (p<0.05), and children who took fast food more than twice a week tended to have more pocket money. According to these results, we report there are partly different trends in the consumption of fast food and food habits among the districts in Seoul. Therefore we suggest that different interventions be implemented within the different districts to reduce reliance on fast food restaurants and to address the perceptions of healthy eating as well as time and convenience barriers.

  • PDF

청주지역 중학생의 패스트푸드 섭취량에 대한 영양소 밀도 평가 (Nutrient Density of Fast-Food Consumed by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Cheongju City)

  • 김기남;박은주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71-28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st-food consumption and it's nutrient densit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ubject's characteristics and consumption frequency of fast-food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50 male and 190 female students in Cheongju c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and statistics used were percent of frequency, $X^2$-test,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main reasons for using fast-food restaurants were 'good taste' and 'convenience'. The major concerns when the subjects choose fast-foods were 'taste ($65.9\%$), price ($20.3\%$) and 'nutrition'($6.0\%$). The consumption pattern of fast-foods go as follows: twice a month ($42.3\%$), once a week ($31.5\%$), and less than once a week. The number of fast food items that the subjects ate for one meal was two ($46.0\%$) or three ($33.2\%$). The most frequently chosen combination of foods for number of two choices was beefburger and cola. The mean average energy intake from fast foods for one meal was 620.7 kcal for male, 504.5 kcal for female. The energy ratio of carbohydrate : protein fat from fast foods was 49 : 14 : 43, which means fat intake is much higher than recommended level ($20\%$). Fiber was appeared to be the lowest on the nutrient density which was $17.7\%$ of the recommended level for Koreans, vitamin C was next ($22.8\%$ for male, $20.1\%$ for female). In mineral, iron was the lowest ($71.8\%$ for male, $67.1\%$ for female), and protein was over $100\%$ for both males and females. Frequency of fast food intak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ting frequency of the salty, the sweets, him, caffeine containing foods, instant noodles, and cookies. In conclusion, frequent consumption of fast foods can lead unbalanced nutrient intak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ose who consumed fast foods frequently showed undesirable food habits in their daily meal. Therefore, nutrition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should be needed to encourage them to choose more nutritious food and have healthier dietary pattern.

HMR 밀키트 상품의 선택속성이 소비자만족 및 타인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MR Meal Kit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on Consumers Satisfaction and Other Recommendation Intention)

  • 김동수;김찬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258-267
    • /
    • 2021
  • 본 연구는 언택트 시대의 외식 트랜드에 따라 소비자의 관심과 수요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밀키트 상품에 대해 실증분석 연구를 시도 하였다. 또한 HMR 밀키트 상품 선택속성의 요인과 소비자만족, 타인추천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외식기업 및 스타트업 기업에서 출시 된 밀키트 상품 이용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을 사용하였다. 조사기간은 2020년 7월 01일 부터 약 1달간 진행되었으며, 최종 28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SPSS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가설1의 가격(β=.241), 편리성(β=.317), 다양성(β=.191)은 소비자만족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고 가격(β=.482)과 편리성(β=.133), 다양성(β=.342)은 타인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설3의 소비자만족(β=.443)이 타인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밀키트 상품 관련 기초 연구 자료로 제공되길 기대하고 외식기업 및 레스토랑의 밀키트 상품개발에 방향성 제시와 마케팅의 활용 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로 제시하고자 한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한국 약선음식 인지도 및 만족도 조사 (A Survey on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Korean Herbal Foods according to Dietary Behavior in Lifestyle)

  • 심기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9-58
    • /
    • 2011
  • 본 연구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한국 약선음식 인지도와 만족도를 알아보고, 재료의 활용 실태 조사를 통해서 한국 약선음식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현재 음식을 배우고 있거나 이와 관련된 일을 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군집을 도출하여 조사 항목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요인분석에서 얻은 요인의 점수를 이용해 군집분석 하여 다섯 가지 유의한 군집을 도출하였다. 한국 약선음식 인지도는 연령이 높을수록, 요리경력이 오래될수록 높게 나타났다. 한국 약선음식 관련 경험에서는 재료를 구매하여 조리하는 경우는 전업주부의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높았고, 가격 만족도에서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반 조리나 완전 조리 제품 이용 경험에 대해서는 요리 경력이 많을수록 맛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전문음식점을 이용하는 경우는 요리 경력이 적은 집단이 맛과 영양 만족도가 높았다. 한국 약선음식 재료 활용 실태에 대하여 조사대상자 대부분이 재료의 위생과 품질 관리, 유통과 판매, 홍보 등 모든 부분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약선 음식을 전략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적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 PDF

음식점 콘셉트와 스토리텔링에 의한 고객의 재방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en Innovation and Performance of New Product Development)

  • 박지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481-491
    • /
    • 2016
  • 본 연구는 고객들에게 매력적인 관심을 끌 수 있는 고객 재방문의 요소를 알아보고 성공할 수 있는 음식점 콘셉트와 스토리텔링에 의한 고객의 재방문에 관한 연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음식점 콘셉트나 광고, 음식점 인테리어도 이제는 음식점의 메뉴/서비스의 특징이나 다른 음식점과의 비교우위를 강조하던 전략에서 벗어나 이야기를 들려주는 방식으로 표현 콘셉트를 변화해야 할 것이다. 논문의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멤버십 카드나 레스토랑을 이용하는 편리성과 같은 금전적 또는 비금전적 '전환비용'이 일시적 고객만족의 실패로 인한 레스토랑 고객들의 부정적 감정이나 낮은 만족수준을 보완해주고 레스토랑을 재방문하도록 만드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따라서 이러한 전환비용이 고객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고려한다면 효과적인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레스토랑과 같은 고급 음식점에서는 음식의 맛, 고객 서비스, 음식점 분위기 등의 수준향상을 통해 방문고객의 긍정적 소비감정을 느끼게 되면 고객만족과 재방문 의도를 강화시키는 것이며, 점포 콘셉트, 물리적 환경과 같은 경험적 요소, 조명을 이용한 시각적 식감의 수준향상을 꾀하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긍정적 소비감정을 유발하려면 점포 콘셉트, 물리적 환경, 경험적 요소를 활용한다. 즉, 멤버십 카드, 마일리지 포인트, 고객과의 친분 등 다양한 금전적, 비금전적 마케팅 수단을 평상시 제공한다면 고객의 재방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태리 레스토랑의 실내공간과 음식서비스 품질에 대한 고객과 종사자의 인식차이 분석 (An Analysis of Perception Gap on the Interior Space and Foodservice Quality of Italian Restaurants between Customers and Personnel)

  • 이은정;안선정;이보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0-152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이태리 레스토랑에서 음식서비스 전달자인 종사자와 고객을 대상으로 실내공간과 음식서비스 품질에 대한 인식의 괴리(gap)를 분석하여 고객 만족을 위한 음식서비스 전달에서의 문제점과 종사자의 인식 전환 필요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실내공간과 음식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하여 레스토랑에서 서비스 품질인식과 고객 만족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종사자의 점수(3.79점/5점)가 고객의 점수(3.78)보가 약간 높게 평가되었다. 특히 16개의 고객의 속성 중 '레스토랑 전체 조명', '음식재료의 신선도', '음식의 창의성' 등이 직원의 점수보가 유의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종사자와 고객 모두가 4개의 속성 중에서 '음식의 품질'을 가장 높게, '테이블 세팅'을 가장 낮게 인식했다. 격자도 분석 결과, 'Q3. 음식을 담은 그릇', 'Q6. 테이블 전체의 청결도', 'Q12. 음식의 배치도', 'Q17. 실내공간의 쾌적성', 'Q18. 실내공간의 온도', 'Q23. 레스토랑 전체 조명', 'Q30. 가구 및 액세서리 장식'이 Quadrant A 영역에는 포함되었는데, 이는 종사자의 인식도가 고객의 인식도 보다 낮아 고객들의 불만족하는 속성들이다. 따라서 이종사자들이 전달하고 있다고 인지하고 있는 서비스 수준이 고객과 괴리가 있음을 깨닫고 서비스 품질 개선에 있어 우선순위를 부여하여야 한다.

  • PDF

레트로 식당의 서비스스케이프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SNS 신뢰 조절효과 중심- (The Effect of Retro Restaurant Servicescape on Customer Satisfaction - Focused on Moderating Role of the SNS Trust-)

  • 양동휘;김찬우;조성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407-416
    • /
    • 2021
  • 최근 서울을 포함한 전국적으로 레트로 식당이 생겨나기 시작하면서 서비스스케이프의 중요 요인과 SNS의 활용에 따라 소비자는 그 중요성을 지각하며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레스토 식당의 서비스스케이프와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에서 SNS 신뢰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최근 서울을 중심으로 생겨난 레트로 식당 이용경험이 있는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을 사용하였다. 조사기간은 2020년 7월 1일부터 약 1달간 진행되었으며, 최종 28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SPSS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가설1의 서비스스케이프 요인 중 매력성(β=.442, p<.001)과 인적서비스(β=.516, p<.001)는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가설2의 레트로 식당의 서비스스케이프와 SNS신뢰의 조절효과에서는 매력성⁎SNS 신뢰는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고 접근성⁎SNS 신뢰는 유의적인 부(-)의 영향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치열한 외식산업의 환경 하에서 레트로 식당과 같은 차별화된 서비스스케이프를 통해 외식시장에서의 경쟁 우위를 달성하고 SNS 마케팅 전략을 통해 외식업체를 방문하는 고객의 충성도와 재방문을 검장하여 고객 지향적 마케팅 전략 수립에 유용한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경기도 커피 전문점의 입점 전략에 대한 실증 연구 (An Empirical Analysis of Coffee Franchise Location Strategies: Evidence from Gyeonggi Province)

  • 윤영태;이동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92-199
    • /
    • 2016
  • 본 논문은 경기도의 5대 커피 프랜차이즈의 매장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각 브랜드의 커피 전문점의 입점 전략을 실증적으로 고찰한다. 경기도는 대도시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 많은 인구수, 다양한 산업구조를 지니고 있어 프랜차이즈의 경영 전략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기 적합한 지역이라 할 수 있다. 이에 5대 커피 프랜차이즈의 경기도 내 모든 매장의 주소 정보를 수집하고, Google Maps Geocoding API를 통해 위도와 경도에 기반한 정확한 위치 정보로 변환한 다음, 이를 Haversine 공식에 대입하여 매장들 간의 거리를 미터 단위로 측정한다. 지금껏 계량적으로 입증하기 쉽지 않았던 비즈니스 주체들의 입점 전략을 매장사이의 실제 거리를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조사하는 것은 새로운 시도이며, 이를 통해 다음의 세 가지 사항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자치구내 매장의 수와 커피 소비 연령 인구는 양의 관계를 가지며, 특히 유동인구가 많고 상권이 발달한 지역에서는 더 많은 매장을 찾을 수 있다. 둘째, 33%의 스타벅스 매장으로부터 반경 300m 이내의 지역에서 다른 스타벅스의 매장을 발견할 수 있으며, 이는 중심 상권에 다수의 매장을 배치하는 스타벅스의 집중적 초토화 전략을 잘 반영한다. 셋째, 80%의 스타벅스 매장으로부터 500m 이내에 이디야 커피의 매장이 자리하고 있으며, 이는 스타벅스의 옆자리에 입점하려는 이디야 커피의 전략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연구의 분석 방법은 편의점, 패스트 푸드점, 휴대폰 판매점과 같은 여러 체인 소매업종 입점 전략 분석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대한민국 국민의 세대별 국내여행 방식 및 만족도 영향요인 (A Comparative Study of Domestic Travel Patterns and Determinant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by Generations)

  • 이미숙;박윤주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137-166
    • /
    • 2020
  • 대한민국 국민의 해외여행 비율은 매년 증가 추세인데 반해, 국내여행 비율은 수년간 답보 상태에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다양한 국내 관광 활성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이를 통한 국내관광 증진 효과는 제한적이다. 국내관광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여행자들별로 선호하는 여행 방식에 차이가 있음을 이해하고, 이에 맞춤화된 여행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 국민들의 세대별 여행 방식의 특징을 분석한 후, 각 세대별로 맞춤화된 여행 서비스를 구성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세대'란 같은 시대에 살면서, 비슷한 생애주기에 유사한 내/외부의 경험을 하기 때문에(김기연 등, 2003), 다른 세대와는 구별되는, 그 세대만의 관광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여행상품 구성의 관점에서 세대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즉, 여행 상품 구성 및 마케팅에 필요한 요소인, 여행정보 수집 방식 및 출처, 사전 예약 상품의 종류, 패키지 이용 여부, 여행 시기/기간 및 장소, 여행시 주요활동 그리고, 여행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에 대한 세대 간 차이를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는 한국 문화체육관광연구원에서 수집한 2017년 국민 여행 실태조사 데이터 16,713건이 활용되었으며, 데이터는 패널들의 세대에 따라서, 밀레니얼(19세~34세), X세대(35세~54세), 베이비부머(55세~64세), 시니어(65세 이상) 등으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전 세대 모두 자연경관이 수려하고, 문화유산이 풍부하며, 숙박 시설이 쾌적할 때, 여행만족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전체 패키지보다는 숙박, 차량 대여 등 개별 상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맛집 탐방 상품을 제공하는 것도 유효할 수 있을 것이다. 각 세대별로는, 밀레니얼은 여름철 성수기에 인기 방문지를 중심으로 체험 상품을 구성하는 것이 좋으며, 이들을 위한 관광 안내 시설을 잘 마련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포털사이트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한 마케팅도 밀레니얼 세대에게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X세대는 자가용으로 여행하기 좋은 지역에, 자녀와 함께 할 수 있는 체험형 여행상품이 유효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에게는 교통만족도가 중요하며, 여름철 성수기에 인기 관광지로 여행을 많이 간다는 특징은 밀레니얼 세대와 유사하다. 베이비부머와 시니어 세대의 경우, 자연 감상 및 휴식, 쇼핑 등을 포함한 여행 상품을 구성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이며,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보다는 구전 효과를 이용하는 것이 유효하겠다. 특히 시니어 세대의 경우, 봄가을을 중심으로, 당일 여행 패키지 상품을 구성하는 것도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세대별 여행 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화된 관광상품을 구성한다면, 궁극적으로 국내관광산업을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