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umer taste

검색결과 501건 처리시간 0.035초

칼슘 첨가 마늘 페이스트로 제조한 양갱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alcium-added Garlic Yanggaeng)

  • 전미라;김민희;손찬욱;김미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95-200
    • /
    • 2009
  • 마늘과 칼슘을 이용한 기능성과 고가치의 양갱을 제조하기 위하여 칼슘의 종류를 각각 달리하고, 마늘을 무취화 시킨 칼슘첨가 마늘페이스트를 제조한 후 양갱을 만들어 품질 특성 및 항산화성,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칼슘첨가 마늘 양갱은 산도가 무첨가군보다 증가하였으며, 당도가 다소감소하였으나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양갱의 색도 측정 결과는 칼슘 및 마늘의 첨가에 따라 L값이 감소하였으며, a값과 b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의 L값과 유사한 군은 젖산칼슘, 탄산칼슘, 칼슘파우더이었다. 마늘양갱의 기계적 경도는 탄산칼슘, 젖산칼슘, 칼슘파우더 첨가군에서 증가하였으며, 탄력성은 칼슘파우더를 첨가한 경우에 증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항산화 활성 역시 무첨가군에 비해 마늘양갱과 칼슘첨가 마늘양갱에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탄산칼슘, 젖산칼슘, 칼슘믹스에서였다. 관능검사 결과 마늘 냄새, 마늘 맛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전체적인 수용도에 있어서 탄산칼슘, 젖산칼슘, 구연산칼슘 첨가군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칼슘첨가 마늘 페이스트는 새로운 기능성 양갱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좋은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사료된다.

글루코만난 첨가가 저지방 계육 패티의 품질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lucomannan on Quality and Shelf-life of Low-fat Chicken Patty)

  • 김승진;최원석;유상권;민윤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5-6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계육을 사용하여 글루코만난이 첨가된 저지방 계육 패티를 제조하였다. 가열육의 경우 글루코만난의 첨가가 지방함량 감소를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루코만난 첨가구가 가열감량 및 직경감소율을 낮추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열육 패티의 조직감은 응집성과 씹힙성의 경우 글루코만난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 검사결과 계육 패티의 연도, 색도, 냄새 및 전체적인 맛은 대조구나 글루코만난 첨가구들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다즙성의 경우 글루코만난을 첨가한 패티가 대조구보다 낮게 나타났다. 동결 저장기간 동안 대조구와 글루코만난 첨가구 사이의 pH는 큰 차이가 없었다. 휘발성염기질소 함량은 저장 4주째에 네 종류의 패티가 7.97-8.56mg%를 나타내었는데, 이들 값으로부터 저장 4주까지는 모든 계육 패티들이 위생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지방을 대신하여 글루코만난을 첨가한 저지방 계육 패티가 지방을 20% 첨가한 대조구와 품질 면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따라서 계육 패티를 제조할 때에 지방 첨가량 및 글루코만난의 함량을 조절하여 저지방 계육 패티의 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백복령 가루를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okies added with Baekbokrung(Poria cocos Wolf) Powder)

  • 유현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43-45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백복령 가루를 첨가(0, 3, 6, 9, 12%)한 쿠키를 제조하여 쿠키의 품질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반죽 pH는 백복령 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반죽 밀도는 대조군에 비해 백복령 가루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아지다가(p<0.001), 9%와 12% 첨가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퍼짐성 지수는 백복령 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반대로 수분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쿠키의 색도를 보면 대조군에 비해 백복령 첨가량에 따라 L값과 b값은 감소, a값은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경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백복령 가루첨가 쿠키의 총 페놀 화합물과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총 페놀 화합물과 DPPH radical 소거능이 증가하였다. 쿠키의 관능검사(색, 맛, 외관, 조직감, 향,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쿠키의 색과 맛, 전체적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 점수는 대조군, 3%와 6% 첨가군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9%와 12% 첨가군은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조직감은 3%와 6% 첨가군이 대조군과 다른 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01), 외관, 향은 백복령 가루 첨가량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이로보다 백복령 첨가 쿠키 제조 시 품질특성, 항산화성, 기호도 면에서 3%~6% 백복령 가루를 첨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레시피가 되겠다.

보리의 품종 및 도정률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특성평가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rley Makgeolli prepared with different barley cultivars and milling recovery)

  • 이경하;이석기;박혜영;심은영;우관식;오세관;이병규;김현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30-53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보리 품종 및 도정률이 막걸리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도정률(95, 85, 75%)을 달리한 새쌀보리, 새찰쌀보리, 흰찰쌀보리 원료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원료곡의 품질 특성은 도정률이 감소할수록 단백질, 지방 및 회분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호화특성 또한 도정률이 감소할수록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호화 특성 측정 결과 최고점도 및 강하점도가 높고 치반점도가 낮으면 식미가 양호하게 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새쌀보리 및 흰찰쌀보리가 새찰쌀보리에 비해 식미특성이 양호할 것으로 판단된다. 보리의 품종 및 도정률에 따라 제조한 막걸리의 알코올 함량과 총산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도정률이 감소할수록 고형분 함량과 환원당함량이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으며, 관능 특성을 살펴본 결과 보리의 품종과 도정률이 낮을수록 막걸리의 향기, 맛, 색의 점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형분 함량, 환원당함량 그리고 관능적 특성에서 새쌀보리로 제조된 막걸리에서 다른 품종에 비해 높은 수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도정률이 75%인 새쌀보리로 막걸리를 제조하였을 때 우수한 품질특성을 갖는 막걸리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구절초 분말을 첨가 제조한 양갱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added with Chrysanthemum zawadskii Powder)

  • 이정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7-125
    • /
    • 2017
  • 구절초 분말을 첨가한 양갱을 제조하여 특성을 조사하였다. 구절초 분말첨가 양갱의 pH는 구절초 분말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가 감소하였다. 산도는 구절초 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구절초 분말을 첨가할수록 양갱의 색도인 명도 L값은 낮아지고, 적색도 a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Texture 측정에서 경도, 탄력성, 부서짐성은 대조군보다 구절초분말 첨가군이 더 낮았으며, 응집성, 씹힘성은 대조군보다 구절초 분말 첨가군이 더 높았다. 구절초 분말첨가 양갱의 DPPH 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결과는 구절초 분말첨가량이 많을수록 항산화성이 증가하여 2% 첨가군에서 62.40%로 가장 높았다. 구절초 분말 0.5~1%를 함유한 첨가군에서 색, 냄새, 맛, 질감 및 전반적인 선호도에 대한 관능 평가 점수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1% 이내의 구절초 분말 첨가 양갱이 가장 좋은 대체률임을 알 수 있었다.

프리미엄 생수 수요에 대한 융합적 영향요인 분석 (A Study on the Convergence Determinants of Premium Bottled Water Purchase Demand)

  • 이원옥;김순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221-229
    • /
    • 2015
  • 본 연구는 프리미엄 생수 선택에 주요 속성과 구매행동을 분석하고 관련 변수들이 프리미엄 생수 수요에 미치는 융합적인 영향정도를 분석하여 그 결정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절단된 음이항 모형을 적용하여 프리미엄 생수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추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프리미엄 생수 구매행동 변수 중에서 본인이 구매선택권을 갖는 집단의 수요는 상대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성분이 좋은 물을 마시기 위해, 특별한 느낌을 받기 위한 목적으로 프리미엄 생수를 구매하는 집단일수록 수요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단순히 물을 마시기 위해서라는 구매목적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에서 여성의 프리미엄 생수 구매 수요가 남성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전문직/사무직과 같은 직업군, 대졸 이상의 소비자가 상대적인 집단에 비해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프리미엄 생수 선택속성 요인들 중에서 생수의 맛과 패키지 디자인 요인은 구매 수요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지역적 특성과 가격 요인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토마토 농축액을 이용한 크래커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rackers with Tomato Concentrate)

  • 김기쁨;김경희;김영식;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77-82
    • /
    • 2017
  • 본 연구는 토마토 농축액을 밀가루 대신 0%, 3%, 5%, 7%, 10%의 비율로 첨가하여 토마토 농축액이 크래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토마토 농축액을 첨가한 크래커의 pH와 굽기손실률은 대조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 크래커의 밀도와 수분함량은 토마토 농축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10% 토마토 농축액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크래커의 L값은 토마토 농축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지만, a와 b값은 토마토 농축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크래커의 경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크래커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평가한 결과 0%(37.52%), 3%(57.46%), 5%(69.36 %), 7%(80.96%), 10%(86.54%)로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마지막으로 토마토 농축액을 첨가한 크래커의 관능검사를 한 결과 맛, 색, 향미, 질감, 전반적인 기호도는 대조군과 다른 첨가군보다 5% 토마토 농축액을 첨가한 크래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를 볼 때 5% 토마토 농축액을 첨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해나루쌀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Haenaru Rice Flour)

  • 주형욱;이광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44-56
    • /
    • 2016
  • 본 연구는 밀가루의 일정량을 당진 특산물인 해나루 쌀가루를 10%, 30%, 50% 대체하여 제조된 식빵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발효율, pH, 부피, 비용적, TPA, 영상분석, 색도, 기호도 검사, 특성차이 검사를 통하여 해나루 쌀가루를 첨가한 식빵을 분석하였다. 발효율은 60분까지는 대조구가 가장 좋았으나, 그 이후부터는 HRF 50 시료를 제외한 나머지 시료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반죽과 식빵 모두 해나루 쌀가루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pH가 높아졌고, 쌀식빵의 부피와 비용적은 감소하였다. TPA와 영상분석 결과, 쌀가루 첨가량이 많을수록 경도와 기공의 조밀도는 증가하였으며, 기공의 찌그러짐은 감소하였고, 색도는 해나루 쌀가루 첨가량에 따라 b값이 낮아졌다. 관능검사 결과 조직감과 풍미,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대조구가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으나, 외관은 HRF 30, 맛은 HRF 10이 대조구보다 더 좋게 평가되었으며, 세 시료 간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아 결과적으로 해나루 쌀가루를 30%까지 첨가하여도 밀가루 식빵과 소비자의 기호도에서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노년층여성의 의복 자아이미지와 선호 디자인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lothes Self-image and Clothes Design Preferences of Elderly Women)

  • 배현숙;유태순
    • 복식
    • /
    • 제50권2호
    • /
    • pp.151-165
    • /
    • 2000
  • This study was to find out clothing design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clothing self-image of elderly women and to grasp the variety on clothing of elderly women and thereby to help in merchandise production planning and putting the brands into markets and to provide data for establishing a sales strategy a d to itemize women with the goods which can satisfy the desire and taste of consumer groups in the quality market. For this purpose , various researches as above were conducted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a total of 488 elderly women above full 55 from an elderly women and who lived in downtown Pusan. The data were analysed by using MANOVA, ANOVA , factors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and the Cronbach α was also applied . The conclusions made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result of questionnaire surveys are as follows ; 1. The realistic self-image of clothing showed a similar pattern by age. 50's and 60's showed little difference by item but 70's was greater in variation between items compared to 60's. The response to each item was that most people answered "common" and they showed a pattern that responded low only in items of 'colorful' , individualistic', 'susceptible to fashion'. A similar pattern was shown by age band also in the ideal self-image and the response to each item appeared higher than in the realistic self-image , and also in items of 'colorful', 'individualistic ' , 'susceptible to fashion' the response appeared low and showed a unity. 2. The results of clothing design preferences examined on the self-image according to age are as follows ; 1) Fro jacket in the realistic self-image , 50's and 60's preferred 'tailed collar' , 'set-in sleeve', 'hips long' and 'plain jacket' and 70's agreed to the design preferences in the items except 'open collar' and also in the idealistic self-image , the degree of preference was same. 2) For skirt in the realistic self-image , 50's and 60's preferred 'tight skirt', 'normal length' , 'plain skirt' and it was appeared that 70's preferred 'pleat skirt' , 'medium length' , 'plain skirt'. Also in the idealistic self-image , the degree of preference was same. 3) For blouse in the realistic self-image, 50's preferred 'open collar', 'round neck line' , 'long set-in sleeve' , 'plain separation belt', 'open front', 'zipper' ad 60's agreed to the favorite designs with 50's except puff sleeve, and 70's appeared to prefer fastening buttons without belt. In the designs preferred in the idealistic self-image, 50's agreed with 50's of the realistic self-image and for 60's , the designs except puff sleeve type and no belt type agreed to 50's and 70's except puff sleeve agreed with 70's of the realistic self-image in their design preferences.

  • PDF

RSM을 적용한 관능 특성에 따른 Rye Bread의 최적 Formulas에 대한 연구 (The Optimized Formulas of Rye Bread on the Sensory Properties using RSM)

  • 권경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78-285
    • /
    • 2004
  • 본 논문은 rye bread 제조에 있어서, water, rye flour 그리고 vital gluten이 rye bread의 관능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관능검사 및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Response surface model은 rye bread의 최적 variation을 결정하고 관찰되어진 결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되었으며, 본 실험은 water 57, 62, 67%, rye flour 0, 10, 30, 50% 그리고 vital gluten 0, 1, 3, 5%의 12가지 조합을 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water 67%, rye flour 10% 그리고 vital gluten 3%일 때 높은 specific volume의 rye bread가 생산되었으며, water 62%, rye flour 10%그리고 vital 히uten 5%일 때 전체적인 관능치가 높은 rye bread가 생산되었다. 또한 specific volume과 전체적인 기호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bread loaf volume과 소비자의 기호도가 직접적인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rye bread의 생산에서 다양한 water, rye flour그리고 vital gluten의 배합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였으며, 표준화 최적화 방법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큰 의의를 두었다. 또한 이 결과는 water, rye flour 그리고 vital gluten이 rye bread의 생산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배합될 수 있으며, 제빵의 기능적 특성을 최적화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