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aborative virtual environments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2초

가상건축엔지니어링의 구현과 인터넷 가상협동작업을 위한 실시간 상태서버의 설계 (Implementation of Virtual Architectural Engineering and Design of Real-time State Server for Internet Virtual Collaboration)

  • 고동일;이범렬;김종성;오원근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3)
    • /
    • pp.169-172
    • /
    • 2000
  • Recently, the advent of World-Wide-Web(WWW) and the explosive popularity of the Internet gave birth to collaborative applications which were enabled by computers and networks as their primary media. And the progress of 3D computer graphics enabled collaborative application with 3D virtual environments or distributed virtual environments. In this paper, we explain our implementation of Share collaboration engine and Virtual Architectural Engineering 2000 (VAE2000) system which is our pilot application implemented with Share collaboration engine. And we explain problems presented by our experiments with VAE2000 system. For those problems, we design our new middle-ware system, SHINE(SHared INternet Environment). The SHINE proposes new concepts and approaches for collaboration with 3D objects in a virtual world.

  • PDF

다중 참여자를 지원하는 3차원 가상환경에서 공동작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공유 시스템 설계 (Design of Application Sharing System for Collaborative Works in 3D Virtual Environment supporting Multi-Participants)

  • 탁진현;이세훈;왕창종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355-364
    • /
    • 2000
  • 공동작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공유는 분산되어 있는 개발도구와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여 다수의 참여자가 환경적으로 제약받지 않고 공동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CVE(Collaborative Virtual Environment)에 기존의 어플리케이션 공유방식을 적용하기에는 기존 방식의 3차원이라는 공간적인 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자유스런 상호작용을 방해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된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CVE(에서 효과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기 위한 3차원 가상환경에서 공동작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공유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 공유 관리기와 그룹 관리자와 통신 관리자로 구성하였다. 시스템은 참여자 사이트로 이동하는 에이전트에 의해 가상 환경에서 참여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3차원상의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고 스케줄링에 의해 참여자간의 충돌을 해결할 수 있다. 다라서 설계한 가상환경 공동작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공유 시스템은 가상환경을 위한 ,CSCW응용 개발 시, 기존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3차원 가상환경에서 쉽게 공동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공동 작업을 지원하고 기존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 PDF

틸팅차량의 네트워크 협업 엔진 구현 (Implementation of A Networked Collaboration Engine for Virtual Engineering of Tilting Train)

  • 정유진;한성호;송용수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2권2호
    • /
    • pp.45-50
    • /
    • 2006
  • Tilting technology is to tilt the train on the curve in order to minimize centrifugal force to passengers and to improve the speed within the limits of passenger's comfort and safety. According to reports from other countries, there is 15~30% speed improvemen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rains. Recently, the advent of World-Wide-Web(WWW) and the explosive popularity of the Internet gave birth to collaborative applications which were enabled by computers and networks as their primary media. The progress of 3D computer graphics enabled collaborative applications with 3D virtual environments or distributed virtual environments. In this paper, we explain our implementation of the Share collaboration engine which is for collaboration applications based on a distributed virtual environment. The Share collaboration engine proposes a new Share network architecture for management of participants, and it provides some synchronization methods for 3D objects in virtual collaboration. TTX_PDM is an experimental application that tries to prevent wastes of human, material and time resources in networked virtual collaboration.

  • PDF

동시공학적 선박설계를 위한 웹 기반의 협업설계 시스템 (Web-Based Collaborative Design System for Concurrent Ship Design)

  • 이경호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37-43
    • /
    • 2004
  • Under the concept of the global economy, the enterprises are assigning design and production environments around the world in various areas. In shipbuilding companies, a serious problem of information exchange has emerged as companies use traditional hardware and very distinct softwares that is tailored to their field of expertise. To overcome the decreased productivity resulting from the interruption of information, the concepts of simultaneous engineering and concurrent design become very significant. In this article, the concept of collaborative design based on Internet environments is described. Specifically, the core technologies necessary to achieve collaborative design environments among shipbuilding companies, ship owners, ship classification societies, model basin, and consulting companies are adopted.

가상공학 서비스를 위한 유비쿼터스 및 상황인식 컴퓨팅 프레임워크 (A Framework for Supporting Virtual Engineering Services Using Ubiquitous and Context-Aware Computing)

  • 서동우;김현;김광수;이재열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402-411
    • /
    • 2005
  • Context-aware engineering services in ubiquitous environments are emerging as a viable alternative to traditional engineering services. Most of the previous approaches are computer-centered rather than human-centered. In this paper, we present a Ubiquitous and Context-Aware computing Framework for collaborative virtual Engineering $(U-CAF\acute{E})$ services. The proposed approach utilizes BPEL-based (Business Process Execution Language) process templates for engineering service orchestration and choreography and adopts semantic web-based context-awareness for providing human-centered engineering services. The paper discusses how to utilize engineering contexts and share this knowledge in support of collaborative virtual engineering services and service interfaces. The paper also discusses how Web services and JINI (Java Intelligent Network Infrastructure) services are utilized to support engineering service federations and seamless Interactions among persons, devices, and various kinds of engineering services.

가사의 협업 환경을 통한 신제품 개발 사례연구 : Web2.0 가상 공간을 이용한 디자인 리서치 (A Case Study on New Product Development in Collaborative Virtual Environments(CVE) : A Design Research Leveraging a Virtual Space of Web 2.0)

  • 권희정;김진우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634-639
    • /
    • 2008
  • 사회적 컴퓨팅(social computing)의 현상이 Web 2.0 공급사슬(supply chain)의 변화관점에서 새로운 변화의 단계를 맞이하고 있다. Web 2.0 플랫폼을 어떤 형태로 기업 활동에 활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제기에 대하여 다양한 기업 활동의 변화사례가 발견되고 있다. 본 논문은 그와 같은 다양한 Web 2.0 환경 확산에 대한 기업 활동의 변화현상 중에서 Web 2.0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신제품개발(New Product Development) 사례연구를 통하여 진행한 결과를 반영하였다. 신제품 개발을 위한 플랫폼으로서 Web 2.0 의 협업적 환경을 설계하게 될 경우, 고객의 내재적 요구사항(latent requirement)이 제품개발에 효과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절차(process)가 기존의 제품개발방법론과 연관되어, 어떤 형태로 적용되고 개선되어 발전될 수 있는가에 대한 경험적 사례를 사례연구방법의 탐험적 경향을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 다루어졌던 사례는 Web 2.0 플랫폼을 기반으로 사용자 창작 콘텐츠(User Created Content)를 생산하고 증가된 연세대학교 UCC의 양적 팽창에 의해서 수익모델이 발생하는 전형적인 Web 2.0 비즈니스 모델의 구조를 보여주는 경우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사용자의 내재적 요구사향을 Web 2.0 기술특성을 통해서 참여적 사용자, 혹은 사용자 디자이너들의 적극적인 활동에 의해서 개선 및 구현해 가는 과정을 구체적 개발방법론의 틀로서 정착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 PDF

가상 건축 엔지니어링 응용을 위한 네트워크 공유작업 엔진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 Networked Collaboration Engine for Virtual Architectural Bngineering Application)

  • 송경준;고동일;김종성;맹성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8권12호
    • /
    • pp.642-652
    • /
    • 2001
  • 웹의 보급과 이에 따른 인터넷의 폭발적 확산은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핵심 매개로 하는 공동작업과 이에 따른 공동 문제해결의 출현을 가능하게 했으며 3차원 그래픽 기술의 발달과 함께 3차원 가상환경을 바탕으로 한 공동작업 응용이 출현하였다. 가상 건축 엔지니어링은 이런 3차원 가상환경 기반 공동작업 응용의 하나로 여러 설계자가 설계한 건축 설계 도면을 가상 공간에서 미리 통합하여 실현함으로써 발생할수 있는 오류를 사전에 발견하여 인적, 물적, 시간적 낭비를 막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에서는 가상 건축 엔지니어링 응용을 제작하는데 고려해야 할 문제점을 정의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구현된 Share 협동작업 엔진에 대해 설명한다. Share 협동작업 엔진은 새로운 Share 분산 네트워크 구조를 제안하여 네트워크 참여 개체를 관리하여 가상공동작업의 3차원 객체의 실시간 동기화를 지원하며, 파라메터기반 3차원 가상 객체 표현 기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대역폭 사용을 최소화하여 확장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실제로 제작된 가상 건축 엔지니어링 2000 (VAE2000) 서비스에 대해 설명하며 시뮬레이션과 실제 시연을 통해 이의 유용성을 증명한다.

  • PDF

지리적으로 분산된 디자이너들을 위한 3D 디자인 협업 환경 - 공유 조작과 원격 실재감을 지원하는 증강현실 기반 인터랙션 기법을 중심으로 - (Collaborative 3D Design Workspace for Geographically Distributed Designers - With the Emphasis on Augmented Reality Based Interaction Techniques Supporting Shared Manipulation and Telepresence -)

  • 사공경;남태진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4호
    • /
    • pp.71-80
    • /
    • 2006
  • 국제화, 전문화, 분업화 되고 있는 비즈니스 환경으로 인해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협업의 중요성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공간에 존재하는 디자인 전문가들이 3D 모델을 함께 검토하고 논의할 수 있는 실시간 원격디자인 협업 환경을 제안한다. 특히 원격 협업 환경에서 원격 실재감, 공유조작, 상대 인식 등의 비언어적인 의사소통 방법을 제공하는 새로운 인터랙션 기법을 개발하고, 디자인 리뷰와 관련된 작업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평가하였다. 관련연구 조사와 디자인 협업 행태의 관찰 실험을 기반으로 작업대상 관련, 작업공간 관련, 상대인식 관련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반의 3차원 원격 협업 환경을 구축하였고 원격 사용자에 대한 존재감을 제공하는 회전원반(Turn-table)과 가상그림자(Virtual Shadow)라는 인터랙션 도구를 개발하였다. 회전원반은 가상모델의 조작에 직관성을 부여하고 상대의 조작에 물리적인 단서를 제공한다. 가상그림자는 상대의 위치, 제스처, 지시 등의 인식 정보를 지속적이고 자연스럽게 제공한다. 평가 실험을 통하여 새로운 인터랙션 도구들이 3D 모델의 검토에 있어서 대략적인 지시를 효과적으로 지원하며 수정사항에 대한 논의를 촉진시킴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는 가상의 3차원 모델을 다루는 원격에 위치한 사용자들(디자이너-디자이너, 디자이너-엔지니어, 혹은 디자이너-모델러 등) 간의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촉진하고 협업의 효율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 PDF

가상기업의 성과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for Virtual Enterprise)

  • 박경혜;최세연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4권1호
    • /
    • pp.117-135
    • /
    • 2007
  • Globalization changes in market structures and consumer needs, as well as technology innovations force organizations to adopt new structures and collaborative networks to cope with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These Collaborative Networks are based on the Idea of virtual enterprise. A virtual enterprise(VE) is a temporary alliance of globally distributed independent enterprises that share core competencies and computer networks. This paper presents a proposal for a methodology to measure a key factor of success and risk First of all, we chose thirty experts' defines on virtual enterprise, fifteen are academic specialist and other fifteen are from industry. For this study we define twenty two factors determining VE's success and seventeen factors determining VE's risk using by Delphi method. And we built the influence model on virtual enterprise.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preceeding research and consensus on experts then the revised model of key factors on virtual enterprise. This survey was based on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AHP is an approach to decision making that involves structuring multiple choice criteria into a hierarchy, the assessing the relative important of these criteria, comparing alternative for each criteria, and determining an overall ranking of the alternatives. A model was constructed as 3 level hierarchy. The hierarches are organizational, strategic, technical criteria. for success model on VE has 22 factors and 17 factors for risk model. They are selected by all 30 experts. 14 copies among 30 copies distributed to carry out on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Consistency ratio confirm hig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instrument and support theoretical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is study presented success on VE influenced strategic criteria, and essential factor is Creating a value. Risk on VE influenced strategic criteria, and essential factor is Outcome/Distribution. (2) Its enable that ranking the criteria influence on VE. These are supported VE management and using guideline of VE.

  • PDF

몰입형 가상현실에서의 협업 기반 다수 사용자 상호작용의 현존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sence of Collaboration based Multi-user Interaction in Immersive Virtual Reality)

  • 박성준;박원준;허하영;김진모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11-20
    • /
    • 2018
  • 본 연구는 몰입형 가상현실에 존재하는 다수의 HMD 사용자들에게 보다 향상된 현존감과 만족스러운 경험을 제공하기 위하여 협업기반 다수 사용자 상호작용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다수 사용자 상호작용의 핵심은 가상현실 환경에 존재하는 HMD 사용자가 각자 구분된 역할과 행동을 기반으로 소통과 협업을 통해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가상협업환경에 존재하는 사용자 각각은 손을 활용하여 가상 환경 또는 가상의 객체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기본 구조를 바탕으로 사용자간 소통과 협업을 통해 공동의 목표를 수행해 갈 수 있는 방식(동기화, 의사소통)을 함께 설계한다. 그런 다음 제안하는 다수 사용자 상호작용을 통해 향상된 현존감과 만족하는 경험을 제공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소통과 협업을 고려한 아케이드 장르의 가상현실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한다. 그리고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실험을 진행한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제안한 몰입형 가상협업환경에서의 상호작용이 사용자 모두에게 만족하는 현존감과 경험을 제공함을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