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lass interval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26초

정서 정보가 생물형운동자극의 시지각 및 작업기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otional Information on Visual Perception and Working Memory in Biological Motion)

  • 이한나;김제중
    • 감성과학
    • /
    • 제21권3호
    • /
    • pp.151-164
    • /
    • 2018
  • 기존의 사회인지와 정서 연구들은 주로 얼굴자극을 이용하여 초기지각단계 및 후기인지과정에의 정서 효과를 조사해 왔다. 그러나, 정서의 효과가 정보처리과정의 각 단계에서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와, 정서유형에 따른 효과 양상의 변화 여부는 불확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얼굴 대신 생물형운동자극을 이용해 자극에 내포된 행복, 분노, 중립정서가 지각과제와 작업기억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참가자는 연달아(지각과제) 또는 시간차를 두고(작업기억과제) 제시되는 두 생물형운동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였다. 지각과제에서는 정서가를 가진 자극 시행의 정확도가 중립정서자극에 비해 낮아 정서정보가 초기지각처리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으나, 작업기억과제에서의 기억정보유지에는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과제에서 정서유형에 따라 다른 수행 양상이 관찰되었다. 분노정서는 지각단계에서 더 많은 정신적 자원을 요구하여 부하가 증가할 경우 정확도가 낮아지지만 기억유지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행복정서의 경우 중립정서가 이어서 제시될 때 이를 행복정서와 유사하게 처리하려는 편향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생물형운동자극을 이용하여 정보처리과정에서의 정서 영향을 재확인하였고, 처리단계별 및 정서 종류별로 다른 양상의 영향이 나타난다는 점을 추가로 밝혀, 정서정보의 정교한 조작 및 통제를 위한 유용한 단서를 제공한다.

Formation of a large-scale quasi-circular flare ribbon enclosing three-ribbon through two-step eruptive flares

  • Lim, Eun-Kyung;Yurchyshyn, Vasyl;Kumar, Pankaj;Cho, Kyuhyoun;Kim, Sujin;Cho, Kyung-Suk
    • 천문학회보
    • /
    • 제41권2호
    • /
    • pp.42.1-42.1
    • /
    • 2016
  • The formation process and the dynamical properties of a large-scale quasi-circular flare ribbon were investigated using the SDO AIA and HMI data along with data from RHESSI and SOT. Within one hour time interval, two subsequent M-class flares were detected from the NOAA 12371 that had a ${\beta}{\gamma}{\delta}$ configuration with one bipolar sunspot group in the east and one unipolar spot in the west embedded in a decayed magnetic field. Earlier M2.0 flare was associated with a coronal loop eruption, and a two-ribbon structure formed within the bipolar sunspot group. On the other hand, the later M2.6 flare was associated with a halo CME, and a quasi-circular ribbon developed encircling the full active region. The observed quasi-circular ribbon was strikingly large in size spanning 650" in north-south and 500" in east-west direction. It showed the well-known sequential brightening in the clockwise direction during the decay phase of the M2.6 flare at the estimated speed of 160.7 km s-1. The quasi-circular ribbon also showed the radial expansion, especially in the southern part. Interestingly, at the time of the later M2.6 flare, the third flare ribbon parallel to the early two-ribbon structure also developed near the unipolar sunspot, then showed a typical separation in pair with the eastern most ribbon of the early two ribbons. The potential field reconstruction based on the PFSS model showed a fan shaped magnetic configuration including fan-like field lines stemming from the unipolar spot and fanning out toward the background decayed field. This large-scale fan-like field overarched full active region, and the footpoints of fan-like field lines were co-spatial with the observed quasi-circular ribbon. From the NLFF magnetic field reconstruction, we confirmed the existence of a twisted flux rope structure in the bipolar spot group before the first M2.0 flare. Hard X-ray emission signatures were detected at the site of twisted flux rope during the pre-flare phase of the M2.0 flare. Based on the analysis of both two-ribbon structure and quasi-circular ribbon, we suggest that a tether-cutting reconnection between sheared arcade overarching the twisted flux rope embedded in a fan-like magnetic field may have triggered the first M2.0 flare, then secondary M2.6 flare was introduced by the fan-spine reconnection because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xpanding field and the nearby quasi-null and formed the observed large-scale quasi-circular flare ribbon.

  • PDF

청소년 ADHD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CASS(S)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SCALE FOR ADHD IN ADOLESCENTS:RELIABILITY AND VALIDITY FOR CASS(S))

  • 신민섭;조수철;홍강의;반건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2권2호
    • /
    • pp.218-224
    • /
    • 2001
  •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ADHD)는 소아질환으로 생각되었으나, 청소년과 성인에서도 문제가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질환의 유병율이 2.0~14.3%로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는데, 그 이유로는 질병 정의 기준의 차이, 평가방법의 차이 외에 연구대상자의 연령 차이 때문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소아, 청소년, 성인을 대상으로 각각 적용가능한 ADHD 평가도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청소년에게 사용가능한 ADHD 유병율 평가도구의 개발을 위하여 Conners-Wells' Adolescent Self-Report Scale(Short Form)[CASS(S)]을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CASS(S)는 세 명의 정신과 전문의와 임상심리전문가 한 명이 번안, 수정하였다. 공존타당도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보기 위하여 K-YSR 중 주의력 관련 9문항과 번안된 CASS(S)를 서울 시내 중학교에서 학년당 한 학급씩 선택하여 삼 개 학년에게 2주 간격으로 실시하였다(총인원 115명:남학생 58명, 여학생 57명). 신뢰도 평가를 위하여 내적일관성을 나타내는 Cronbach's alpha를 구하였다. 구성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을 위한 검사대상은 전국의 중고교생 4,354명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공존타당도를 알아보는 상관계수는 .65(p<.01),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알아보는 Pearson 상관계수는 .83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 내적 일관성은 Cronbach's alpha .88로 만족할만한 수준이었다. 요인분석 결과 품행문제, 과잉행동문제, 인지문제의 세 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 PDF

Intensive Monitoring Survey of Nearby Galaxies: Current Status

  • Im, Myungshin;Choi, Changsu;Lim, Gu;Kim, Sophia;Paek, Seunghak Gregory;Kim, Joonho;Hwang, Sungyong;Shin, Suhyung;Baek, Insu;Lee, Sangyun;O, Sung A;Yoon, Sung Chul;Sung, Hyun-Il;Jeon, Yeong-Beaom;Lee, Sang Gak;Kang, Wonseok;Kim, Tae-Woo;Kwon, Sun-gil;Pak, Soojong;Eghamberdiev, Shuhrat
    • 천문학회보
    • /
    • 제43권1호
    • /
    • pp.64.1-64.1
    • /
    • 2018
  • SNe light curves have been used to understand the expansion history of the universe, and a lot of efforts have gone into understanding the overall shape of the radioactively powered light curve. However, we still have little direct observational evidence for the theorized SN progenitor systems. Recent studies suggest that the light curve of a supernova shortly after its explosion (< 1 day) contains valuable information about its progenitor system and can be used to set a limit on the progenitor size, R*. In order to catch the early light curve of SNe explosion and understand SNe progenitors, we are performing a ~8hr interval monitoring survey of nearby galaxies (d < 50 Mpc) with 1-m class telescopes around the world. Through this survey, we expect to catch the very early precursor emission as faint as R=21 mag (~0.1 Rsun for the progenitor). In this poster, we outline this project, and present a few scientific highlights, such as the early light curve of SN 2015F in NGC 2442.

  • PDF

골격성 III급 부정 교합을 동반한 악교정수술 환자에서 수술 전후의 하악기능 변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CHANGES OF MANDIBULAR MOVEMENT AND MUSCLE ACTIVITY FOLLOWING ORTHOGNATHIC SURGERY IN PATIENTS WITH MANDIBULAR PROGNATHISM)

  • 이형식;박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7-88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mandibular movement and muscle activity following orthognathic surgery in patients with mandibular prognathism. Lateral cephalogram, M.K.G., E.M.G. recordings were obtained immediately before surgery, and 2 months and 8 months after surgery. Among the patients who received orthognathic surgery, 19(13 men, 6 women)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is for each time interval differences were performed with the SPSS pack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ompared with the pre-operative group (opening 349.7mm/sec, closing 313.1mm/sec), the mean values of the maximum opening and closing velocity in the skeletal Class III surgery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2 months post-operative (opening 232.9mm/sec, closing 206.9mm/sec), but the values tended to increase in the 8 months post-operative group (opening 280.9 mm/sec, closing 319.1mm/sec). 2. Compared with the pre-operative group (61.7 mm/sec), the maximum velocity of the terminal tooth contact increased in the 2 months (72mm/sec) and 8 months (105.7mm/sec) postoperative groups. 3. In the mean value of vertical freeway spac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pre-operative group, but not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8 months post-operative group. 4. In the mean values of the maximum opening, the maximum anterio-posterior movement from centric-occlusion, and the lateral deviation from centric oc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surgery group (the pre-operative and the 8 months post-operative groups). 5. The mature swallowing pattern was 58% in the pre-operative group, but 90% in the 2 months post-operative group, and 63% in the 8 months post-operative group. 6. In the comparison of muscle activ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surgery group during the rest position. However, during cotton roll clenching,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pre-operative group, but not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8 months post-operative group.

  • PDF

점착성 퇴적물의 염분과 퇴적물농도에 따른 플럭 특성: 플럭카메라를 이용한 실험연구 (Floc Property of Yeongsan Cohesive Bed Sediment with Respect to Salinity and Sediment Concentration)

  • 신현정;;이관홍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8권3호
    • /
    • pp.122-130
    • /
    • 2013
  • 점착성 퇴적물이 다른 광물입자 혹은 유기물과 결합하여 형성되는 플럭(floc)을 현장에서 관측하기 위한 플럭카메라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험실에서 플럭카메라 시스템을 검증하고 영산강 점착성 해저 퇴적물의 플럭 특성을 규명하는 데 있다. 플럭카메라 시스템의 검증은 $88-125{\mu}m$$63-88{\mu}m$의 체에 걸러진 모래를 사용하였다. 플럭카메라 영상을 통해 분석한 평균입경은 각각 102와 $65.2{\mu}m$고, 침강속도는 각각 6.7과 5.9 mm/s이다. 카메라 심도에서 벗어난 입자는 실제 크기보다 크거나 작게 측정이 되는 현상으로 인해 체의 범위를 벗어난 입자가 관측되지만, 입경과 침강속도의 평균값에 대한 95% 신뢰수준 오차가 체의 범위에 속하므로 플럭카메라를 이용한 분석을 신뢰할 수 있었다. 영산강 하구의 해저 표층 퇴적물을 0 psu의 증류수에 0.1 g/L 퇴적물 농도로 관측한 평균 입경은 약 $40.6{\pm}0.66{\mu}m$, 침강속도는 1.4 mm/s 프랙탈 차원은 2.86이었다. 추가적으로 10과 34 psu의 염분과 0.1 및 0.3 g/L의 퇴적물 농도에서 관측한 평균입경과 침강속도는 서로 유사했고, 그 값들은 오차범위 내에 존재한다. 플럭카메라 관측을 통해서 얻은 플럭의 빠른 침강속도와 프랙탈 차원은 유기물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표층퇴적물의 특성을 반영한다. 또한, 염분과 퇴적물 농도를 변화시켰음에도 플럭의 입경 변화가 거의 없는 것은 플럭을 형성에 충분한 난류 강도가 주어지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향후에는 염분, 퇴적물 농도 및 외력의 변화에 따른 플럭의 특성을 밝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체장조성과 성장곡선식에서 생잔율을 추정하는 방법 (ESTIMATION OF THE SURVIVAL RATE IN FISH POPULATION FROM THE LENGTH COMPOSITION AND THE GROWTH EQUATION1)

  • 신상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7-143
    • /
    • 1977
  • 완전상태에 있는 자원에 있어서 감소계수를 Z, 완전가입연령을 $\alpha$라 할때 $\chi세 년급군의 미수는 $N\chi=N\alpha\;\exp\;{-z(\chi-\alpha)}$이므로 체장조성과 성장곡선식에서 감소 계수 z 및 생잔율 $\varrho^{-z}$를 추정하는 방법을 연구한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최고연령을 b라 하고, a, b, z와 평균연령 $U\chi$와의 관계는 $$U\chi=\frac{a-b\;\exp\;(-z(b-a))}{1-\exp\;(-z(b-a))}+\frac{1}{z}....(1)$$ $$Z=\frac{1}{U\chi-\alpha....(2)$$ 이다. 2. 성장식을 사용하여 체장조성표의 각 체장계급치에 해당하는 연령을 추정하고 전계급에 걸친 평균연령을 계산하였다. 3. $U\chi$값을 $U\chi$, a, b, $\chi$의 관계식에 대입하여 감소계수 z 값을 구하고 이 zrkqtdf 사용하여 생잔율 $\varrho^{-z}$ 값을 구하였다. 4. 황해 및 동지나산 참조기의 감소계수, 생잔율 및 생잔율의 $95\%$ 신속구간을 계산한 결과는 0.82595, 0.43782, $0.43767\~0.43797$였다. 5. 같은 통계자료를 써서 다른 방법으로 계산한 생잔율 0.46089의 상대오차는 약 0.05이였다.

  • PDF

방크스소나무 인공림(人工林) 임분(林分)의 재적생장(材積生長) 추정(推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Estimation of Stand Volume Increment in the Jack Pine (Pinus banksiana Lamb.) in Artificial Forest)

  • 이종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3호
    • /
    • pp.414-421
    • /
    • 2000
  • 본(本) 연구(硏究)는 경기도 포천군 소흘면에 소재한 23년생(年生)의 방크스소나무 인공림(人工林) 임분(林分)을 대상으로 연년(連年) 재적생장량(材積生長量)과 재적생장율(材積生長率)을 구명(究明)하고 현실(現實) 임분축적(林分蓄積)을 파악(把握)함과 동시에 연년(連年) 재적생장량(材積生長量)을 구명(究明)하므로서 년간 벌채량(伐採量)의 조절(調節)을 합리적(合理的)으로 책정할 수 있으므로 적정(適正) 임목축적(林木蓄積)의 달성(達成) 및 유지(維持)를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시(提示)코저 하였다.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재적생장량(材積生長量)을 합리적(合理的)으로 산출(算出)하기 위하여 표준지별(標準地別)로 흉고직경(胸高直徑), 수고(樹高), 수피후(樹皮厚)와 최근(最近) 10년동안의 core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이들의 측정치(測定値)을 이용하여 직경계별(直徑階別)로 연년(連年) 직경생장량(直徑生長量) 및 95%신뢰폭(信賴幅)의 재적생장량(材積生長量)을 산출(算出)하고 아울러 수고곡선식(樹高曲線式)을 유도(誘導)한 후 본(本) 식(式)을 이용(利用)하여 수고(樹高)값을 산출(算出)하였다. 재적표(材積表)를 이용한 재적산출(材積算出)은 본(本) 수고(樹高)값을 적용(適用)하였다. 본(本) 수종(樹種)의 재적생장관계(材積生長關係)를 구명(究明)한 결과(結果) 연년(連年) 재적생장율(材積生長率)은 7.7%이고 이의 추정오차율(推定誤差率)은 6.1%이었다. 재적(材積)은 ha당 $79.58m^3$이었고 연년(連年) 재적생장량(材積生長量)은 $6.13m^3$이었으며 이를 95%의 신뢰폭(信賴幅)으로 본다면 $5.77{\sim}6.51m^3$이었다.

  • PDF

MPLS 망에서 복수 연결해제 타이머를 이용한 레이블 공간의 효율적 사용방법 (An Algorithm for Efficient use of Label Space over MPLS Network with Multiple Disconnent Timers)

  • 이선우;변태영;한기준;정연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29권1호
    • /
    • pp.24-30
    • /
    • 2002
  • 레이블 스위칭 기술은 격증하는 인터넷 서비스의 요구 대역폭을 만족시키기 위해 개발된 기술이다. 이중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MPLS)은 기존의 레이블 스위칭 기술을 통합하고 여러 장비제조 업체들간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를 중심으로 표준화가 진행중이다. MPLS에서 레이블은 패킷의 스위칭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단위이므로 이러한 레이블 공간이 각 레이블 스위칭 라우터를 어떻게 관리되고 효율적으로 사용되는가에 따라 MPLS망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레이블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다중 도메인에서 레이블 스위칭 라우터의 연결 해제 타이머의 복수 사용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패킷 분류기를 통해 트래픽의 특성에 따라 등급이 높은 트래픽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긴 연결 해제 타이머를 할당하여 새로운 연결에 걸리는 지연시간을 줄이고 3계층으로 라우팅 되는 패킷의 양을 줄이는 것이다. 제안된 방법을 실제 인터넷 망에서 수집된 트래픽 자료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 MPLS망의 동작에 필요한 레이블 공간이 기존의 방법보다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N-Terminal Pro-B-type Natriuretic Peptide Is Useful to Predict Cardiac Complications Following Lung Resection Surgery

  • Lee, Chang-Young;Bae, Mi-Kyung;Lee, Jin-Gu;Kim, Kwan-Wook;Park, In-Kyu;Chung, Kyung-You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4권1호
    • /
    • pp.44-50
    • /
    • 2011
  • Background: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are major causes of morbidity and mortality following non-cardiac thoracic operations. Recent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elevation of N-Terminal Pro-B-type natriuretic peptide (NT-proBNP) levels can predict cardiac complications following non-cardiac major surgery as well as cardiac surgery. However, there is little information on the correlation between lung resection surgery and NT-proBNP levels. We evaluated the role of NT-proBNP as a potential marker for the risk stratification of cardiac complications following lung resection surgery. Material and Methods: Prospectively collected data of 98 patients, who underwent elective lung resection from August 2007 to February 2008, were analyzed. Postoperative adverse cardiac events were categorized as myocardial injury, ECG evidence of ischemia or arrhythmia, heart failure, or cardiac death. Results: Postoperative cardiac complications were documented in 9 patients (9/98, 9.2%): Atrial fibrillation in 3, ECG-evidenced ischemia in 2 and heart failure in 4. Preoperative median NT-proBNP level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ho developed postoperative cardiac complications than in the rest (200.2 ng/L versus 45.0 ng/L, p=0.009). NT-proBNP levels predicted adverse cardiac events with an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of 0.76 [95% confidence interval (CI) 0.545~0.988, p=0.01]. A preoperative NT-proBNP value of 160 ng/L was found to be the best cut-off value for detecting postoperative cardiac complication with a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0.857 and a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0.978. Other factors related to cardiac complications by univariate analysis were a higher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grade, a higher NYHA functional class and a history of hypertension. In multivariate analysis, however, high preoperative NT-proBNP level (>160 ng/L) only remained significant. Conclusion: An elevated preoperative NT-proBNP level is identified 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cardiac complications following lung resection surg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