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 V restoration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4초

5급 와동에서 수종의 상아질 접착제에 따른 미세누출의 비교 (THE COMPARISON OF MICROLEAKAGE OF CLASS V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WITH VARIOUS DENTIN BONDING SYSTEMS)

  • 임연희;이희주;허복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6권2호
    • /
    • pp.153-161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microleakage of six current dentin bonding systems. In this in vitro study, class V cavities were prepared on buccal and lingual surfaces of thirty extracted human molars. Each margin was on enamel and dentin/cementum. Experimental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six groups of 5 each. Group 1 : Scotchbond Multi-Purpose; Group 2 : Single Bond; Group 3 : Prime&Bond NT ; Group 4 : Clearfil Liner Bond 2 ; Group 5 : MAC Bond II ; Group 6 : One-up Bond F. The bonding agent and composite resin were applied to class V cavities according to manufacturer's directions. After thermocycling, the specimens were immersed in 0.5% basic fuchsin dye solution for 6 hours and sectioned longitudinally through the center of the restoration with a low speed diamond saw. The degree of microleakage was measured as the extent of dye penetration under the stereomicroscope at $\times$20.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one way ANOVA. When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multiple comparisons were made using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all groups, leakage value seen at the enamel margi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seen at the dentin margin(P<0.001). 2. At the enamel margin, none of the dentin bonding systems used in this stud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kage values(P<0.05). 3. At the cementum margin, group 3 showed the highest leakage value, and others were decreased as group 5, 6, 4 in that order, and group 1, 2 showed the lowest leakage valu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3 and the other groups except for group 5(P<0.05).

  • PDF

제 5급와동에서 광중합 그래스 아이오노머 수복물의 미세변연누출에 관한 연구 (THE MICROLEAKAGE OF LIGHT-CURED GLASS LONOMER RESTORATIVE MATERIALS IN CLASS V CAVITIES)

  • 조인식;박준일;권혁춘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3권1호
    • /
    • pp.304-315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leakage of light cured glass ionomer restorative materials in class 5 cavities. In this in vitro study, class 5 cavities were prepared on buccal and lingual surfaces of forty extracted human premolars and molars on cementum margin. These specimen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of 10 each : Group 1 was Fugi II (control), Group 2 was Fugi II LC, Group 3 was Vitremer, and Group 4 was Dyract. Group 2 was also divided once more into 2 groups of 5 each : Group 2-1 was pretreated with dentin conditioner and Group 2-2 was not. All teeth were resto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After 500 thermocycling between $5^{\circ}C$ and $55^{\circ}C$, the 40 teeth were placed in 2 % Methylene blue dye for 24hr, then rinsed with tab water. The specimen were embedded in clear resin, then sectioned buccolingually through the center of restoration with a low speed diamond saw. The dye penetration on each of the specimen were then observed with a stereomicroscope at 2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tudent-Newman-Keuls Methods and the Mann-Whitney Rank Sum Test. Tooth restorative interfaces were evaluated using SEM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1. Compared to conventional glass ionomer restoratioqs, all light cured glass ionomer restorations were fairly resistant to microleakage (P<0.05). 2. Groups 3 (Vitremer) and Group 4 (Dyract) were found to be the most resistant, Group 2 (Fugi II LC) fairly resistant, and Group 1 (Fugi II) least resistant to microleakage(P<0.05). 3.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roup 2-1 and Group 2-2 (P>0.08). 4. With the backscattered SEM analysis, the degrees to which tight bonding occurred were also observed in all the groups except for Group 1. Group 4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tight bonding than any other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 PDF

5급 복합레진수복물의 응력분포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Stress distribution of Class V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study)

  • 박정길;허복;김성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1호
    • /
    • pp.28-38
    • /
    • 2008
  • 본 연구는 3차원 유한요소 분석법적 연구를 통해 쐐기형 비우식성 치경부병소의 복합레진 수복물에서 다른 탄성계수를 가진 복합레진의 수복과 와동의 형태와 응력의 방향에 따른 응력분포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발거된 상악 제2소구치를 Micro-CT로 스캔한 후 3D-DOCTOR로 3차원유한요소 모형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소구치 모형에 쐐기형 와동과 변형시킨 와동을 형성하고 각 와동을 탄성계수가 서로 다른 혼합형 복합레진 또는 흐름성 복합레진으로 수복하였다. 수복 전, 후 협측교두와 설측교두에 500N의 하중을 가한 후 응력분포를 ANSY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 응력 분석법으로 평가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복 전 응력은 근심측 백악법랑경계와 와동저 선각부에 집중되었으며 최대응력은 근심협측우각부에서 나타났다. 2. 와동수복 후 와동저 선각의 응력은 현저히 감소했으나 치경부측 변연의 응력은 수복전보다 증가하였다. 3. 쐐기형태의 병소의 수복 시 와동저 선각부는 탄성계수가 높은 재료가 유리하고 치경부측 변연은 탄성계수가 낮은 재료가 유리하였다. 4. 와동저 선각부를 둥글게 변화시키는 것은 압축응력은 감소시키지 않으나 인장응력은 감소시켰다.

갈륨과 아말감 수복물의 변연미세누출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ISON OF MICROLEAKAGE OF GALLIUM ALLOY AND AMALGAM RESTORATION)

  • 이민호;이희주;허복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3권1호
    • /
    • pp.269-277
    • /
    • 1998
  • This in vitro study compared the microleakage of 4 lining conditions when used with Gallium alloy GF II and Valiant PhD. Class V cavity was prepared on both buccal and lingual surface of 80 extracted human premolar & molar teeth with one margin in enamel and another in dentin. Before restoration, prepared cavities were applied to no-liner, cavity varnish, Scotchbond multipurpose, and Superbond D-liner II plus according to manufacture's instructions. The restored teeth were stored in saline for 1 week, then thermocycled for 100 times, stained with 0.5% basic fuchsin dye for 1 day, sectioned, and observed using a light microscop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leakage value of Superbond-lin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lined group on both margins of Valiant PhD(p<0.05).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4 lining conditions in Gallium alloy GF II (p>0.05). 3. When We make a comparison between Gallium alloy GF II and Valiant PhD under same lining conditions, the microleakage value of Gallium alloy GF II showed lower than that of Valiant PhD on occlusal & gingival margin(p<0.05) except for Superbond-lined group(p>0.05).

  • PDF

복합레진의 충전방법에 따른 변연접합성에 관한 주사전자현미경적 연구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for the Effect of the Filling Techniques of Composite Resin on the Marginal Adaptation)

  • 조현경;박동수;이찬영;이정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3권1호
    • /
    • pp.139-150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arginal adaptation of Class V resin restorations by the filling techniques. The cavities were filled with Heliosit$^{(R)}$ light curing composite resin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three filling techniques - bulk-pack placement technique, apical to occlusal layering placement technique, and buccolingual layering placement technique. And the interface between the restoration and the tooth structure was observed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Marginal adaptation of enamel showed excellent irrespective of the filling techniques. 2. Marginal leakage of dentin was observed irrespective of the filling techniques. 3. No difference of marginal adaptation according to the filling techniques was observed in light curing composite resin.

  • PDF

The effect of irradiation mode on degree of cure, shrinkage and microleakage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

  • Park, Jong-Jin;Park, Jeong-Won;Kim, Sung-Kyo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제116회) 및 13회 Workshop 제3회 한ㆍ일 치과보존학회 공동학술대회 초록집
    • /
    • pp.558.2-558
    • /
    • 2001
  • The aims of this study are (1)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irradiation mode, polymerization shrinkage and degree of cure of composite resin and(2) it effect on micorleakage of class V restorations. VIP(BISCO Dental Products, Schaumburg, IL, USA) and Optilux 501 (Demetron/Kerr, Danbury, CT, USA) curing lights were used for curing Z-250 composite resin following irradiation mode: VIP 200㎽d, VIP 400㎽, VIP 600㎽, pulse-delay(200㎽ 3sec, 5min wait, 600㎽ 30sec), Optilux R mode.(omitted)

  • PDF

SEM과 3차원 재구성법을 이용한 수복면의 위치와 와동 크기에 따른 미세누출도 분석 (MICROLEAKAGE OF THE CLASS V CAVITY ACCORDING TO RESTORATION SITE AND CAVITY SIZE USING SEM AND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TECHNIQUES)

  • 양인서;신동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2호
    • /
    • pp.112-12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수복면의 위치와 와동의 크기에 따른 미세누출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3차원 재구성법에 의한 색소침투량과 주사전자현미경 검경을 통한 변연틈새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32개의 건전한 대구치의 협/설면과 인접면에 각기 $2\;{\times}\;2\;{\times}\;1.5\;mm$의 작은 와동과 $4\;{\times}\;2\;{\times}\;1.5\;mm$크기의 큰 5급 와동을 형성 한 다음, 자가부식형 접착시스템으로 치면 처리하고 혼합형 복합레진인 Esthet X로 단일 충전하였다. 5도와 55도 사이에서 1000회의 열순환을 시킨 다음, 레진 복제물을 제작하고 SEM 검경을 통해 전체 변연길이에 대한 변연틈새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열순환된 치아에 $50\%$ 질산은 용액으로 색소를 침투시킨 후 자가중합형 레진에 포매하여 0.25 mm두께의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갈아내면서 각각의 단면상을 채득하였다. 각 단면상을 3차원으로 재구성하여 미세누출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3차원 색소 침투량의 유의성 검정에는 Two-way ANOVA와 independent T-test를, 변연틈새의 비율에는 Mann-Whitney U test를 사용하였으며 , 두 방법 사이의 Spearman's rho test로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미세누출도는 수복면의 위치와 와동의 크기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즉 협/설면과 작은 와동보다는 인접면과 큰 와동에서 더 많은 미세누출을 보였다. 2. 두 방법 사이에는 높은 상관 관계를 보였다 (상관계수 = 0.614/P= 0.000).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협/설면과 작은 와동의 수복물보다는 인접면과 큰 와동의 수복물에서 더 많은 미세누출을 보였으므로, 불필요한 치질 삭제를 줄임으로써 변연부의 노출이 커지는 것을 막아야 할 것이다.n-St/SS 군에서는 비표준화 medium 규격 master cone과 스테인레스 스틸 spreader를, 그리고 Non-St/NT 군에서는 비표준화 medium 크기 master cone과 니켈-티타늄 finger spreader를 각각 사용하였다. 충전된 근관은 $37^{\circ}C$, 상대습도 $100\%$하에서 24시간 보관한 후, 치근단 1, 3및 5 mm수준에서 횡절단하여 입체현미경 하에서 관찰하고 컴퓨터에 저장한 다음, $Auto^{(R)}$CAD 20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형성된 근관 및 gutta-percha 충전물의 외형을 추적하여 근관내 gutta-percha 면적비를 계산하였다. Gutta-percha 면적비의 결과치는 two-way ANOVA를, 그리고 accessory cone 수는 one-way ANOVA 및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스테인레스 스틸 finger spreader를 사용한 경우 및 니켈-티타늄 finger spreader를 사용한 경우 공히, 모든 치근단 수준에서 비표준화 medium 크기 master cone 사용군이 ISO 표준화 규격의 master cone 사용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gutta-percha 면적비를 나타내었다 (p < 0.01). 비표준화 medium크기 master cone 사용군에서는 표준화 규격의 master cone 사용군에 비해 유의하게 적은 수의 accessory cone이 사용되었다 (p < 0.01). 대학생간에는 유의한 차이(p<0.05)가 인정되었다. 응답자의 체형은 ${\ulcorner}$적당하다${\lrcorner}$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이 이러한 음식을 즐겨 먹었으며(49.5%), 그

전주 오송제, 오공제, 신용제, 어두제 소류지의 관속식물상과 훼손실태 (Vascular Plants and Deterioration Status of Osongjae, Ogongjae, Shinyongjae and Eodujae Reservoir in Jeonju)

  • 변무섭;오현경;김재병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4-35
    • /
    • 2006
  • The vascular plants of the studied area was listed 384 taxa of 90 families, 234 genera, 331 species, 1 subspecies, 45 varieties and 7 forms. The flora of each reservoir, 285 taxa of 83 families, 190 genera, 247 species, 1 subspecies, 30 varieties, 7 forms in Osongjae, 117 taxa of 39 families, 87 genera, 100 species, 17 varieties in Ogongjae, 83 taxa of 30 families, 67 genera, 73 species, 8 varieties, 2 forms in Shinyongjae and 86 taxa of 33families, 70 genera, 75 species, 1 subspecies, 10 varieties in Eodujae. Based on the list of the rare plants by the Forest Research Institute, 3 taxa were recorded in the studied areas; Magnolia kobus (Preservation priority order : No. 187), Penthorum chinense (No. 144), Prunus yedoensis (No. 110) and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4 taxa were recorded; Populus tomentiglandulosa, Clematis trichotoma, Prunus yedoensis, Paulownia coreana.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15 taxa; Prunus yedoensis in class V, 2 taxa (Carex idzuroei, Magnolia kobus) in class IV, 2 taxa (Monochoria korsakowi, Poncirus trifoliata ) in class III, 10 taxa (Sagittaria aginashi, Salix glandulosa, Clematis brachyura, Nymphoides peltata, etc.) in class I. The naturalized plants in this site were 13 families, 29 genera, 43 species, 1 varieties, 44 taxa and naturalization rate was 11.5% and based on the list of an ecosystem disturbance plants, 3 taxa were recorded in the studied areas : Paspalum distichum, Solanum carolinense,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The hydrophytes was listed 31 taxa of 15 families, 20 genera, 29 species, 2 varieties and Eleocharis mamillata var. cyclocarpa, Penthorum chinense, Soirodela polyrhiza were recorded in Osongjae, Sagittaria aginashi, Eleocharis kuroguwai, Scirpus juncoides, Scirpus triqueter, Monochoria korsakowi, Monochoria vaginalis var. plantaginea were recorded in Ogongjae. Besides, Scirpus fluviatilis, Trapa pseudoincisa were recorded in Shinyongjae and Scirpus triangulatus, Nymphoides peltata, Myriophyllum verticillatum were recorded in Eodujae. This site is located in the urban area and ecosystem-disturbing wild animal and plant has been imported here, therefore ecosystem has been disturbed more and more. The wetland here rapidly has changed into upland, so it needs conservation measures through long-term monitoring.

복합레진으로 수복한 5급 와동의 미세누출에 대한 3종의 레진 표면 전색제의 효과 (The Effect of Three Surface Sealants on Microleakage of Class V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 이원철;류재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82-190
    • /
    • 2009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 레진(Z250)으로 수복한 5급 와동에서 변연부 미세누출에 대한 3종의 레진 표면 전색제(Fortify, Permaseal, Biscover LV)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개월 이내에 발거된 건전한 40개의 소구치와 대구치에 백악-법랑 경계를 중심으로 교합측 변연은 법랑질에, 치은측 변연은 백악질에 위치하도록 5급 와동을 협면과 설면에 각각 형성하였다. Clearfil SE bond와 복합 레진으로 충전한 치아를 무작위로 4개의 군으로 분류한 후 대조군을 제외한 실험군은 각각 20개의 와동에 레진 표면 전색제 3가지 제품을 각각 적용하고 24시간동안 생리식염수에 보관하였다. 보관한 시편을 열순환시킨 후 24시간 동안 2% methylene blue 염색 용액에 담가 두었다가 투명 레진에 매몰하였다. 매몰한 시편을 협설면의 충전물 중앙을 지나도록 절단한 후 현미경을 사용하여 교합면측과 치은측 변연부의 염색 용액의 침투도를 관찰함으로써 미세누출 여부와 정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복합레진으로만 수복한 대조군은 실험군에 비해 교합면측과 치은측에서 미세누출이 컸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레진 표면 전색제를 적용한 실험군들 사이에는 교합면측과 치은측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각 군의 교합면측과 치은측의 변연 미세누출을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Fortify는 대조군과 비교시 치은측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미세누출 감소 효과가 없었다. 결론: 복합레진으로 충전한 5급 와동 변연에 레진 표면 전색제를 적용한 경우 교합면측과 치은측 변연에서 미세누출 감소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치은측 변연은 레진 표면 전색제의 적용 후에도 미세누출을 보이므로 각별히 주의를 요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열순환 횟수에 따른 복합레진의 미세누출 (MICROLEAKAGE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RMOCYCLING)

  • 김창윤;신동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4호
    • /
    • pp.377-384
    • /
    • 2007
  • 작금의 치질 접착시스템은 도말층 처리 방법에 따라 전부식형과 자가부식형 접착시스템으로 대별된다. 이러한 두 가지 접착시스템의 효용성을 비교, 평가하고 열순환 횟수에 따른 미세누출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각각의 접착시스템으로 수복된 우치 5급 수복물에, 수복 초기의 효용성를 의미하는 500회의 열순환 자극과 상대적으로 긴 내구성을 의미하는 5,000회의 열순환 자극을 부여한 다음,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건전한 40개의 단근관을 가진 우치를 이용하여 백악법랑 경계부를 중심으로 5급 와동을 형성하였으며, 치아를 각각 10개씩 4개의 실험군 (열순환 횟수 2종 $\times$ 복합레진 수복 2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20개의 치아에는 전부식형 접착시스템인 Single bond와 Z250 (shade A4)을, 나머지 20개의 치아에는 자가부식형 접착시스템인 AQ bond와 Metafil (shade A4)로 각각 충전하고 광중합기 (XL2500, 3M ESPE, St. Paul, MN, USA)를 이용하여 $600\;mW/cm^2$의 광도로 40초간 광중합하였다. 모든 시편을 실온에서 24 시간동안 증류수에 보관한 다음, 연마하고 각 수복물의 반은 섭씨 5도와 55도의 수조에 30초씩 담궜으며 이동 시간 10초의 열순환 (thermocycling)을 500회 시행하였고, 나머지 반은 5,000회 실시하였다. 미세 전류 측정을 위해 직류 공급원인 TOE 8841 (TOELLNER electronic instrument GMBH, Germany)을 이용하여 10 V의 전압을 부여하였으며 6514 system Electrometer (Keithley Co., Cleveland, Ohio, USA)로 미세전류 (${\mu}A$)를 측정하였다. 전류를 흐르게 한 다음 5-10분까지 20초 간격으로 측정 한 15개 측정치의 평균값을 시편의 미세전류 측정치로 인정하였다. 각 군간의 미세전류 측정치에 대한 유의성은 수복방법 및 열순환 횟수의 변수에 대한 Two-way ANOVA test로 95% 유의 수준에서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수복방법과 열순환 횟수 사이의 상호작용은 없었으며 (p = 0.485), 열순환 횟수에 따른 미세누출의 차이도 없었다(p = 0.814). 그러나 자가부식형 접착시스템인 AQ Bond와 Metafil로 수복된 실험군이 전부식형 접착시스템인 Single Bond와 Z250으로 수복된 군에 비해 적은 미세누출도를 보였다 (p = 0.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