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orea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6초

Minamata Disease and the Mercury Pollution of the Globe

  • Harada Masazumi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51-456
    • /
    • 2005
  • Minamata disease made its first appearance in the world at Minamata City, Kumamoto Prefecture, in May 1956. In 1962 methyl mercury poisoning through the placenta was found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This was called congenital Minamata disease. In all cases the clinical symptoms were consistent with those of cerebral palsy. The time and place of outbreak were the same as those for Minamata disease. Their mothers had eaten fish and shellfish during pregnancy. The principal symptoms of congenital Minamata disease are mentalretardation ($100\%$); primitive reflexes ($100\%$); disturbance of coordination ($100\%$); dysarthria ($100\%$); limb deformation (100%); growth disorders ($100\%$); nutritional disorders ($100\%$); chorea-athetose ($95\%$); and hypersalivation ($95\%$). However, today, when the world is polluted by mercury in various places and at various levels, the data we need is not represented by those severe cases, but rather by the chronic milder type. Even in Minamata, the issue of Minamata disease has not been resolved. And likewise, on a global scale the problem of Minamata disease is not yet over.

Stimulant Induced Movement Disorders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Nam, Seok-Hyun;Lim, Myung Ho;Park, Tae Wo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3권2호
    • /
    • pp.27-34
    • /
    • 2022
  • Stimulants, such as amphetamine and methylphenidate, are one of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modalities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may cause various movement disorders. This review discusses various movement disorders related to stimulant use in the treatment of ADHD. We reviewed the current knowledge on various movement disorders that may be related to the therapeutic use of stimulants in patients with ADHD. Recent findings suggest that the use of stimulants and the onset/aggravation of tics are more likely to be coincidental. In rare cases, stimulants may cause stereotypies, chorea, and dyskinesia, in addition to tics. Some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suggested that stimulants used for the treatment of ADHD may cause Parkinson's disease (PD) after adulthood.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evidence that the use of stimulants in patients with ADHD may cause PD, and related studies are only in the early stages. As stimulants are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medication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close observations and studies are necessary to assess the effects of stimulants on various movement disorders, including tic disorders and Parkinson's disease.

파킨슨병의 두침치료에 대한 최신 연구동향 분석: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PubMed 검색을 중심으로 (Current Research Trend Analysis of Scalp Acupuncture Teatment for Parkinson's Disease Using the Search Results of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and PubMed)

  • 이동준;신병철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95-107
    • /
    • 202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find the future prospects by analyzing the trends of scalp acupuncture treatment for Parkinson's disease (PD) by searching the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and PubMed. Methods We searched clinical studies adopting scalp acupuncture treatment as a main intervention for PD through the searching the database of CNKI and PubMed.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elected studies especially according to study design, publication year, sample size, treatment period, treatment methods, outcomes criteria and adverse events. Results Twel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studies published from January 1, 2012 to July 1, 2023 were selected. In these studies, two types of scalp acupuncture treatments were performed and the most common treatment was Jiao shunfa's scalp acupuncture with fine needles. The most commonly used acupoints were "Chorea tremor control area", 風池 (GB20), 四神聰 (EX-HN1) and 百會 (GV20). The most commonly used outcome measures were effective rate, unified Parkinson disease rating scale (UPDRS) and UPDRS-III. Conclusions Through these results, we found that the Chinese review literature positively reported the effects of scalp acupuncture on PD. However, more high-quality evaluation using the well-designed studies including more objective outcomes should be required.

Lesch-Nyhan syndrome 환아의 oral self-mutilation에 대한 증례보고 (ORAL SELF-MUTILATION IN THE LESCH-NYHAN SYNDROME : CASE REPORT)

  • 전진용;이제호;최형준;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51-156
    • /
    • 1999
  • 1. 하순에 심한 self-mutilation wound를 야기한 Lesch-Nyhan syndrome 환아에서 상하악 유전치에 치관부 절단 및 치수 절제술을 시행하여 치아에 의한 자해를 방지하였다. 2. 장치를 이용한 치료가 어려운 경우 발치가 고려되기도 하나 본 증례에서는 발치보다 보존적인 술식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 PDF

소아기 붕괴성 장애의 양상을 보이는 PANDAS 1례 (A CASE OF PANDAS WITH CHILDHOOD DISINTEGRATIVE DISORDER)

  • 조수철;성덕규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2권1호
    • /
    • pp.149-156
    • /
    • 2001
  • 베타 용혈성 A군 연구균(group A beta-hemolytic streptococcus)에 의한 류마치스성 열 이후에 Sydenham 무도병이 발현되는 환자 군에서 강박 증상 또는 틱 증상이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은 후, A군 연구균 감염과 강박 장애 또는 틱 장애 사이의 관계가 주목받게 되었다. A군 연구균 감염 후에 강박 증상 또는 틱 증상이 유발되는 환자들은 갑작스런 발병과 극적인 증상 악화를 보이고 사춘기 이전에 발병하며 무도병 모양의 운동 및 독특한 양상의 운동 과잉 등의 신경학적 이상을 보이고 또 그 경과가 악화 및 완화를 반복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런 임상적 특징을 보이는 소아 환자 군을 PANDAS(pediatric autoimmune neuropsychiatric disorders associated with streptococcal infections)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후 현재까지 강박 장애와 틱 장애뿐 아니라 주의력 결핍/과잉운동 장애, 신경성 식욕부전증, 신체이형장애 환자들이 PANDAS 범주에 속한다는 보고들이 있어 왔다. 본 증례는 7세까지 정상적인 발달을 보이다가 A군 연구균 감염 수개월 후부터, 인지 기능, 사회성, 언어 및 의사소통에 장애를 보이고 틱 증상과 함께 얼굴과 손발에 이상 운동을 보이는 환자를 기술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본 증례가 소아기 붕괴성 장애의 양상을 보이는 PANDAS 증례라고 생각되어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함으로써, PANDAS가 틱 장애, 강박 장애, 주의력 결핍/과잉운동 장애, 신경성 식욕부전증, 그리고 신체이형장애 등의 양상을 보일 뿐 아니라 소아기 붕괴성 장애의 양상을 보일 수 있다는 사실을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심장외폰탄수술의 조기성적 (Early Results of Extracardiac Fontan Operation)

  • 김웅한;정도현;김수철;전홍주;이창하;김욱성;오삼세;정철현;나찬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7호
    • /
    • pp.650-659
    • /
    • 1998
  • 부천세종병원에서는 '96년 8월부터 '97년 8월까지 22명의 환자에게 심장외폰탄 (extracardiac Fontan) 수술을 시행하였다. 남자 14명, 여자 8명이었으며, 진단별로는 단심실증 16명(우심실형 12명, 좌심실형 4명), 삼첨판폐쇄증 4명, 좌측이소성(left isomerism), 대혈관전위증, 심실중격결손증이 있으면서 폐동맥협착증이 있는 환자 1명, 그리고 Criss-Cross 심장이면서 비대칭심실이 있는 1명이었다. 연령은 22개월부터 26세까지 분포하였고 폐동맥압은 평균 11.7$\pm$3.1 mmHg이었다. 선행수술로 양방향성대정맥폐동맥단락술(bidirectional cavopulmonary shunt)을 시행한 환자가 15명으로 평균 15.6$\pm$3.4개월의 기간을 두고 수술을 시행하였고, 고전적 글렌 수술 후 14년만에 Fontan 수술을 시행한 환자가 1명 있었다. 전대정맥폐동맥단락술(total cavopulmonary shunt, Kawashima operation)후 폐동-정맥루(pulmonary arteriovenous fistula) 발생으로 평균 37.5$\pm$20개월만에 수술을 받은 환자가 4명 있었고, 2명의 환자는 선행수술 없이 심장외폰탄수술을 시행하였다.

  • PDF

대동맥궁 이상이 동반된 선천성 심장병에서 국소 순환을 이용한 일차 완전 교정 (One Stage Total Repair of the Aortic Arch Anomaly using the Regional Perfusion)

  • 장우성;임청;임홍국;민선경;곽재건;정의석;김동진;김웅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6호
    • /
    • pp.434-439
    • /
    • 2006
  • 배경: 대동맥궁 이상 수술 시 완전 순환정지 방법은 신경학적 문제나 심근의 손상을 줄 수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 저자들은 대동맥궁 이상이 동반된 선천성 심장병 수술 시 뇌 및 심장의 국소 관류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번 조사를 통하여 그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3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대동맥궁 이상이 동반된 선천성 심장병으로 양심실 일차 완전 교정을 시행한 62명의 신생아 및 영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동맥궁 이상은 축착이 46명, 대동맥 단절이 12명, 좌심실 저형성 증후군 2명, 총동맥관 2명이었으며 동반된 심기형은 심실중격 결손 51명, 총정맥 환류 이상 1명, 부분 정맥 환류 이상 1명, 방실 중격 결손 2명 있었다. 수술시 대동맥궁 기형 교정하는 동안 모든 환자에서 무명동맥과 관상 동맥 혈류를 유지하였다 결과: 국소 관류 시간은 평균 $28{\pm}10$분이었다. 수술 사망은 없었고, 평균 11개월의 관찰 기간동안 1명의 만기 사망(1.6%)이 있었다. 술 후 신경계 합병증은 1명에서 일시적인 무도증이 발생한 것 외에는 없었다. 대동맥궁 기형 교정과 관계된 재수술은 없었다. 1명에서 대동맥궁 기형 교정과 관계되어 기관지 합병증이 발생하였으며 대동맥고정(aortopexy)으로 교정되었다. 결론: 국소 순환법을 이용한 대동맥궁 기형 교정 방법은 완전 순환 정지사용 시 야기될 수 있는 신경 및 심근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