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hild-care teacher

검색결과 641건 처리시간 0.024초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이직의도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on Child Care Teacher's Resilience and Turnover Intention)

  • 박남심;최영희;송승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5-89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ld care teachers. Method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 using SPSS 23 and AMOS 22. The effects of a child care teacher's resilience on turnover intention as a result of job stress was indirectly evaluated by bootstrapping. Results: First, all sub-factors of a child care teacher's resilienc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urnover intention. Second, job stress levels of child care teachers showed a ful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Implications: High job stress levels of child care teacher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daycare field, with significant effects of job stress on resilience and turnover intention.

보육교사의 놀이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Playfulness on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Efficacy)

  • 김종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427-433
    • /
    • 2021
  •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놀이성, 교사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교사의 놀이성과 교수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경로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어린이집 교사 2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변인 간의 구조 및 경로는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놀이성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영향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영향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보육교사의 놀이성은 교사효능감을 매개하여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교사의 성격 특성인 놀이성과 내적신념인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시켜 준다. 또한 보육기관의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교사의 놀이성와 교사효능감을 함양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법이나 내용을 포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영유아 교사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보육직무능력 프로그램이 영아교사의 보육효능감, 보육교사역할수행, 교사민감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hild Care-Work Ability Program on Efficacy of Child Care, Role Performance, and Sensitivity of Infant Teachers)

  • 김현지;한성민;전경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9-5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직무능력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즉 보육시설에서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민감성 향상을 위한 교육을 함으로써 보육효능감, 영아교사의 역할수행, 영아의 요구에 대한 교사민감성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대상은 정읍시의 44명의 영아담당 보육교사들이다. 이들은 통제집단 22명과 실험집단 22명의 교사로 나뉘어졌다. 교사들은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 민감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전-사후검사로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본 연구결과, 보육직무능력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민감성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증진되었다. 결국,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민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된 프로그램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보육교사의 의사소통 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그리고 가정연계 효능감이 부모-교사 협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rly Child Care Teachers' Communication Compet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eacher Self-efficacy to Enlist Parental Involvement on Parent-Teacher Partnerships)

  • 김유정;박지혜;안선희
    • 아동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71-89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 care teachers and the ways this influences their abilities to promote the parent-teacher partnerships. 266 early child car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ent-teacher partnerships, communication compet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eacher efficacy in enlisting parental involvement were measured by means of The Caregiver-Parent Partnership Scale,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and selected elements of the Teacher Self-efficacy Scale.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ent-teacher partnershi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eacher self-efficacy significantly predicted the type and quality of parent-teacher partnerships. In conclusion,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parent-teacher partnerships seems heavily dependent upon the quality and personal abilities an beliefs of early child care teachers.

보육교사의 역할갈등과 조직몰입이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Role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Sensitivity)

  • 장은영;신나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1-18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child care teachers' role confli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eacher's sensitivity. It also aim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pathway from child care teachers' role conflict on teacher's sensitivity. Methods: A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on 301 child care teachers in Chungbuk. Descriptive, means, standard deviations, correlations using SPSS 18.0,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18.0 were all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child care teachers' role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teacher's sensitivity. This study also confirmed the significant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pathway from child care teachers' role conflict to sensitivity. Conclusion/Implications: The significance of role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uggests that the integration of individuals with less conflict and more dedication will contribute more qualitative child care services by improving sensitive interactions with young children.

보육시설장의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 and the Empowerment of Child Care Teachers)

  • 문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95-803
    • /
    • 2010
  • 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follow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 and empowerment as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294 child care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four cities labeled A, B and C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To describe data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mputed. The level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s leadership which child care teacher perceived was 3.64 points in a scale of 5 points, child care teacher's empowerment was 3.50 points in a scale of 5 points and followership was 3.30 points in a scale of 5 points. COMMENT A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leadership, empowerment and followership. Followership was shown to be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s of leadership and empowerment. Furthermore, results also showed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of child-care center director and the child-care teachers' followership and empowerment, thus implying that the child-care teachers' followership is very important to increase the empowerment.

영유아 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교사효능감이 어린이집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Influence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Sense of Efficacy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Child Care Centers)

  • 백성아;송승민;이유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47-46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mmunication ability,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child care cent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7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in the organization effectiveness of child care centers were detected according to teachers' age, career, type of child care center where they were affiliated, and marriage status. Second, the relative effects of the teachers' communication ability and teacher efficacy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early-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each sub-factor; teachers' communication ability's sub-factors - response, analysis, and evaluation - and teacher efficacy's sub-factors - general efficacy and personal efficacy - had partial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child care centers. Of these, personal efficacy had the greatest effects on all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since it identifies the variables that could affect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child care centers.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에 관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연구 분석 (A Study on Teacher Education Programs on Teacher-Child Interaction)

  • 김수정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647-654
    • /
    • 2018
  • 본 연구는 교실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의 질 증진을 위해 보육교사들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교실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교실 내의 영유아와 교사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해 보육교사들을 지원하는 목적을 가지는 교사재교육 프로그램을 연구한 선행 연구를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선행 연구들은 교실 내에서 이루어지는 보육교사와 영유아 간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언어적인 상호작용에 주로 초점을 맞추어 왔다; 2) 선행 연구들은 보육교실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측정 도구 혹은 코딩 스킴을 개발 및 적용하여 왔다; 3) 선행 연구들은 교실 내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의 질 증진을 목표로 하는 교사의 지원 방안으로서, 멘토링이나 컨설팅과 같이 개별적인 접촉을 선호하여 제안하였다; 4) 선행 연구들이 제안한 교실 내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의 질 증진을 목표로 하는 교사교육 프로그램들은 일반적으로 교사의 건설적인 자기 성찰능력의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에 대한 영유아학교 교사 자격 연수의 과목과 운영 모듈 (Subjects and Operational Modules of Young Children School's teacher qualification training for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 care teachers)

  • 김대욱;박지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443-452
    • /
    • 2023
  • 유보통합 이후에 현직교사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자격전환연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자격연수의 과목과 운영모듈에 대해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보육교사 자격이 없는 유치원교사에게는 4과목 12학점이 필요하고, 보육교사 자격만 갖고 있는 교사에게는 14과목 30학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격연수기관으로 4년제 및 전문대 유아교육과와 방송통신대학교를 제안하였다. 보육교사를 소지하지 않은 유치원 교원의 경우 직무연수를 통하여 자격전환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제안하였다.

유아교육기관, 교사 및 유아집단 특성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Level based on Factors of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 Teacher, and Child Group)

  • 박창현;나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99-125
    • /
    • 2012
  • 교사-유아 간의 상호작용은 유치원 평가와 어린이집 평가인증에 포함되고 새로 고시된 누리과정에서도 중요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 교사들의 전반적인 상호작용 수준을 알아보고, 이 상호작용 수준이 기관, 교사 및 유아집단의 특성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 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유아 상호 작용을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으로 구분하고, 기관 유형, 교사 특성 및 유아집단의 특성에 따른 직접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였다. 유아교사 1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선택적 면담조사를 병행한 결과는, 전체 교사의 상호작용 평균이 5점 척도에서 3.96으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기관 유형이나 유아집단의 특성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40대 이상 연령 교사들의 정서적 상호작용 수준이 의미있게 더 높고, 대졸이상 교사들의 행동적 상호작용 수준이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또 교육경력이 6년 이상인 교사의 세 가지 상호작용 수준이 모두 의미 있게 더 높았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유아교사의 상호작용은 교사의 개인특성변인이 기관 유형이나 유아집단특성보다 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