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Level based on Factors of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 Teacher, and Child Group

유아교육기관, 교사 및 유아집단 특성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 분석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included in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accreditation evaluation and is considered as important a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newly implemented Nuri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difference of levels (emotional. verbal, behavioral) for the style of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in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s and to analyze direct effect and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institution(kindergarten, childcare center). teacher(age, educational career, academic career), and child group(child number, child age) variabl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91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G region in Seoul. The overall average of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s)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institution type and child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actors of teacher characteristics affected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more than child-concerned variables.

교사-유아 간의 상호작용은 유치원 평가와 어린이집 평가인증에 포함되고 새로 고시된 누리과정에서도 중요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 교사들의 전반적인 상호작용 수준을 알아보고, 이 상호작용 수준이 기관, 교사 및 유아집단의 특성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 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유아 상호 작용을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으로 구분하고, 기관 유형, 교사 특성 및 유아집단의 특성에 따른 직접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였다. 유아교사 1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선택적 면담조사를 병행한 결과는, 전체 교사의 상호작용 평균이 5점 척도에서 3.96으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기관 유형이나 유아집단의 특성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40대 이상 연령 교사들의 정서적 상호작용 수준이 의미있게 더 높고, 대졸이상 교사들의 행동적 상호작용 수준이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또 교육경력이 6년 이상인 교사의 세 가지 상호작용 수준이 모두 의미 있게 더 높았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유아교사의 상호작용은 교사의 개인특성변인이 기관 유형이나 유아집단특성보다 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숙현(1994).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의 이해와 활용. 서울: 동문사.
  2. 강인숙(2002). 교사반응성 프로그램이 교사 및 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고문영(2001). 유아교사의 역할 수행에 따른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조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관계부처합동(기획재정부.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행정안전부)(2011). 만5세 공통과정 도입 추진 계획. 2011.5.2.
  5.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2012).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고시문. 보도자료 2012.7.6.
  6. 교육인적자원부(2007). 유치원 평가 기본 계획. 교육인적자원부.
  7. 권수현, 이승현(2010). 유치원교사의 회복탄력성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7(2), 137-157.
  8. 김영아(1999). 유아교육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에 대한 교사의 자기평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영옥, 김수영(1999). 유아교육기관의 질에 따른 교사의 상호작용, 유아의 놀이활동 및 인지활동. 교육학연구, 37(1), 407-425.
  10. 김은설, 안재진, 최윤경, 김의향, 양성은, 김문정(2009). 보육종사지의 전문성 제고방안 연구. 보건복지가족부.육아정책연구소.
  11. 김창복, 박영신, 이길동(2010). 유치원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비교와 개편 방향. 2010 한국열린 유아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10.5, 49-78.
  12. 김현지(2005). 보육교사의 유아-교사 상호작용 척도 개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1(1), 1-19.
  13. 김현지, 조복희(2009). 영아-교사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보육교사교육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8(6), 1221-1235.
  14. 나 정, 류숙희, 고미경, 성화영(2005). 유치원 실태조사 보고. 여성부.
  15. 나 정, 임미령, 박창현(2011). OECD가 선정한 5가지 유아교육과정. 경기: 공동체.
  16. 문무경, 권미경, 황미영(2011). 유치원 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 통합을 위한 단중기 전략,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1-02.
  17. 박영태, 이경님, 하수연(2008).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429-451.
  18. 박현정(2004). 교사-유아 상호작용 시작과 참여 유아의 기질 및 사회정서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백경순(2011a).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현상에 관한 질적 연구. 어린이문학연구, 12(2), 261-275.
  20. 백경순(2011b). 교사-유아 상호작용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어린이문학연구, 12(1), 223-240.
  21. 보건복지부(2011). 2011 보육시설 평가인증 지침서.
  22. 서문희, 김은설, 최진, 안재진, 최혜선, 김유경, 조애저(2009a). 2009년 전국보육실태조사-가구조사 보고서. 보건복지가족부.육아정책개발센터.
  23. 서문희, 신희영, 송신영(2009b). 보육시설 평가인증 효과분석.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09-10.
  24. 서유현(2002). 유치원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신은경(2004). 보육교사의 역할수행능력인식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신은수(2000).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이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유아놀이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0(1), 27-42.
  27. 신은수.박은혜.조운주.이경민.유영의.이진화.이병호(2011). 유치원 교원 핵심 역량 구성방향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5(5), 203-226.
  28. 심성경(1989). NAEYC 기준에 의한 한국유아교육프로그램의 질에 관한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9. 유민숙(2009).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형과 유아 창의성 간의 관계 연구. 성균관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유희정, 김희진, 김문정, 조혜주(2007). 육아지원기관의 교육.보육활동 분석. 육아정책개발센터.
  31. 육아정책연구소(2011). 유아교육보육 주요 통계. 연구자료 2011-03.
  32. 이경하, 석은조(2010). 예비교사와 현직교사가 생각하는 좋은 교사의 자질. 열린유아교육연구, 15(5), 167-187.
  33. 이기숙, 홍용희, 박은혜, 김희진(2002). 유아교육기관 인정제 모형. 교육과학연구소 2002-03. 이화교육총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34. 이미화 외 14인(2005). 보육시설 실태조사 보고. 여성부.
  35. 이미화, 임승렬, 조형숙, 유은영, 송신영(2007). 육아지원인력 양성교육과정 모형개발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07-05.
  36. 이미화, 장명림, 신나리, 김문정, 김현철(2006). 육아지원 인력의 수급 전망과 전문성 제고 방안 연구. 육아정책개발센터.
  37. 이숙자, 공병호, 성영화(2011).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보육교사 변인 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1(1), 1-18.
  38. 이순자(2006). 교육현장 문제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유형별 교사의 인식비교. 유아교육학논집, 10(4), 233-264.
  39. 이완정(1999). 보육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 평가. 한국영유아보육학, 17, 97-114.
  40. 이윤경, 김여경(2004). 교사-아동 상호작용 유형과 영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4(4), 55-73.
  41. 이윤옥(2006). 유아학급에서 교사와 유아의 효율적인 상호작용: 비고스키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0(3), 125-154.
  42. 이은정(2011).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한국자치행정학보, 25(2), 319-337.
  43. 이정숙(2003). 교사경력과 유아연령에 따른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임이란(2003). 유치원교사의 교육신념이 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5. 장명림, 안정은, 백승선(2011). 제2주기 유치원 평가 매뉴얼. 교육과학기술부 육아정책연구소, 연구 보고 2011-01.
  46. 장현주(2004). 보육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이 유아의 정서지능발달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7. 전선옥(1989). 유치원 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물리적 환경의 질에 따른 유아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8. 정대현(2005). 유아의 인적변인과 유아교육기관유형에 따른 유아-교사관계.또래관계 및 다중지능 특성비교. 유아교육학논집, 9(2), 19-42.
  49. 조재은(2001). 유아의 성별에 따른 교사의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0. 지성애(2008).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비교. 유아교육학논집, 12(3), 91-110.
  51. 최미숙(2004). 교사경력 및 기관유형에 따른 유아교사의 교육신념 연구. 유아교육연구, 24(1), 29-47.
  52. 최미애(1999). 유치원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3. 최혜진, 황해익(2005).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자기평가에 대한 비교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0(1), 187-208.
  54. 홍근민(1997). 영아보육환경의 질적수준에 따른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5. 홍명인(1998). 유아교육기관의 물리적 환경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 상관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6. Bredekamp, S., & Rosegrant, T. (1992). Reaching potentials: Appropriate curriculum and assessment for young children, Vol. 1.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57. Gerber, E. B. (2003). Predictors of Teacher Sensitive Care-giving in Center-based Child Ca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58. Howes, C., & Rubenstein, J. (1986). Determinants of toddler's experience in day care: age of entry & quality of setting, Child Care Quarterly, 14, 140-150.
  59. Ishimine, K., Talyer, C., & Bennett, J. (2010). Qualit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 policy initiative for the 21st century.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4(2), 67-80. https://doi.org/10.1007/2288-6729-4-2-67
  60. Johansson, E. (2003). Moten for larande. Pedagogisk verksambet for de yngsta barnen i forskolan. Stockholm: Skolverket.
  61. Katz. L. G. (1985). Research currents: Teachers as learners. Language Arts, 62(17), 778-782.
  62. Katz. L. G. (1972). Developmental stages of preschool teacher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73(1), 50-54. https://doi.org/10.1086/460731
  63. Kontos, S. & Wilcox-Herzog, A. (1997). Influences on children's competence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2, 247-262. https://doi.org/10.1016/S0885-2006(97)90002-8
  64. Laevers, F., Bogaerts M., & Moons, J. (1997). Experiential Education at Work: a setting with 5-year olds(video, 23 minutes).
  65. NCCIC(2009).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s toolkit, http://nccic.acf.hhs.gov/pubs/goodstart/pd-section4.pdf. on April 22. 2010.
  66. OECD(2004). Starting strong curricula and pedagog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five curriculum outlines. Directorate for Education OECD, March, 2004.
  67. OECD(2012a). Starting strong III: a quality toolbox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OECD Paris.
  68. OECD(2012b). Quality matt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Korea 2012. OECD Paris
  69. Phillips, D. A., & Howes, C. (1987). Indicators of quality in child care: Review of research. In D. A. Phillips(Ed.), Quality in child care: What does research tell us?,1-19. Washington, D.C.: NAEYC
  70. Pianta, R. C. (2011). A degree is not enough: teachers need stronger and more individualized professional development supports to be effective in the classroom, In E., Zigler, W. S., Gilliam, &, W. S., Barnett (Eds.), The pre-K debate: current controversies & issues(pp. 64-68). Baltimore, MD: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71. Pramling Samuelsson, I., Sheridan, S. & Williams, P. (2006). Five Curricula-Comparative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38(1), 11-30. https://doi.org/10.1007/BF03165975
  72. Rudasill, K. M. (2011). Child temperament,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in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from first to third grad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6(2), 147-156. https://doi.org/10.1016/j.ecresq.2010.07.002
  73. TDA (2007). Professional Standard for Teachers in England from September, UK, London, Training and Development Ag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