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Role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Sensitivity

보육교사의 역할갈등과 조직몰입이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 장은영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 신나리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Received : 2018.04.26
  • Accepted : 2018.12.07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child care teachers' role confli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eacher's sensitivity. It also aim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pathway from child care teachers' role conflict on teacher's sensitivity. Methods: A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on 301 child care teachers in Chungbuk. Descriptive, means, standard deviations, correlations using SPSS 18.0,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18.0 were all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child care teachers' role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teacher's sensitivity. This study also confirmed the significant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pathway from child care teachers' role conflict to sensitivity. Conclusion/Implications: The significance of role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uggests that the integration of individuals with less conflict and more dedication will contribute more qualitative child care services by improving sensitive interactions with young children.

Keywords

BOJGB2_2018_v14n6_1_f0001.png 이미지

그림 1. 보육교사의 역할갈등과 조직몰입이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모형

BOJGB2_2018_v14n6_1_f0002.png 이미지

그림 2. 보육교사의 역할갈등과 조직몰입이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의 최종 모형

표 1.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 특성

BOJGB2_2018_v14n6_1_t0001.png 이미지

표 2.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치 및 상관

BOJGB2_2018_v14n6_1_t0002.png 이미지

표 3. 연구모형과 수정모형의 적합도

BOJGB2_2018_v14n6_1_t0003.png 이미지

표 4. 연구모형과 수정모형의 경로별 계수

BOJGB2_2018_v14n6_1_t0004.png 이미지

표 5. 주요 변인의 직접효과, 간접효과 및 총효과

BOJGB2_2018_v14n6_1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권기남, 민하영 (2010). 유아교육보육기관 교사의 집단주의 및 역할갈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3), 129-137.
  2. 권정해, 김판희 (2015).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아동교육, 24(1), 81-98.
  3. 김난실, 조혜진 (2007). 영아의 기질적 특성과 기질에 따른 놀이행동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1(1), 237-256.
  4. 김미영, 정옥분 (2014). 영아전담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교사민감성에 관한 연구: 환경변인 및 개인변인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21(2), 75-96.
  5. 김숙령 (2010). 영아-교사간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과 교사의 민감성이 영아의 부모와 교사에 대한 애착과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1, 197-215.
  6. 김숙령, 김선희, 육길나, 조숙진 (2006). 영아와 교사의 집단활동 상호작용에 있어서 영아교사의 민감성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0(4), 125-150.
  7. 김아령, 김미숙 (2015. 4).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교사 민감성의 관계: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한국인간발달학회 춘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논문, 인천.
  8. 김윤미, 이지연, 박미란 (2013). 기혼 여교사의 배우자 지지, 다중역할 현실성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 교사 효능감. 상담학연구, 14(1), 305-322. doi:10.15703/kjc.14.1.201302.305
  9. 김윤희, 신나리 (2016). 유아의 수줍음이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6), 1-17. doi:10.14698/jkcce.2016.12.06.001
  10. 김지연, 최미경 (2018). 보육교사 소진이 보육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9(3), 127-139. doi:10.5723/kjcs.2018.39.3.127
  11. 김현지 (2008). 영아-교사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현지, 조복희 (2009). 영아-교사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8(6), 1221-1235. https://doi.org/10.5934/KJHE.2009.18.6.1221
  13. 김현지, 한성민, 전경아 (2010). 보육직무능력 프로그램이 영아교사의 보육효능감, 보육교사역할 수행, 교사민감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2), 39-56.
  14. 문정애, 문혁준 (2016). 가정어린이집 교사의 영아발달지식과 조직문화가 민감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논집, 35(1), 71-101.
  15. 박태준 (2016).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박찬옥, 이영미 (2007). 멘토링(mentoring)을 통한 2세 영아교사 보육프로그램 수행 과정 탐색. 유아교육연구, 27(4), 79-103. doi:10.18023/kjece.2007.27.4.004
  17. 배세은, 문혁준 (2016). 영아반 교사의 행복감,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5(3), 239-258. doi:10.21183/kjcm.2016.09.15.3.239
  18. 보건복지부 (2017). 보육통계. 세종: 보건복지부.
  19. 송연숙, 유수경 (2008). 유아교사용 역할갈등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유아교육연구, 28(4), 189-213. doi:10.18023/kjece.2008.28.4.009
  20. 송은경 (2011). 원장의 감성리더십, 유아교사의 역할갈등, 교사효능감과 조직몰입 간의 인과적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송정애, 장정순 (2008). 보육교사의 역할갈등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 복지학, 13(4), 229-249.
  22. 신혜영, 이은해 (2005).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 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6(5), 105-121.
  23. 신희이, 문혁준 (2012). 영아교사의 민감성과 보육교사직 헌신도가 전문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6(2), 1-24.
  24. 엄세진 (2010). 보육교사의 SOC 책략과 정서지능,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62, 97-123.
  25. 오정윤 (2011). 보육교사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25-47.
  26. 옥원호, 김석용 (2001). 지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35(4), 355-373.
  27. 옥장흠 (2009).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175-200. doi:10.24211/tjkte.2009.26.2.175
  28. 유영현 (2009). 해양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요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16(4), 193-211.
  29. 유현숙, 권정해 (2017).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조직헌신, 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21(1), 113-132.
  30. 이선희, 이승연 (2011). 만 1세반 자유놀이시간에서의 영아-교사 상호작용과 교사 민감성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8(1), 163-189. doi:10.24211/tjkte.2011.28.1.163
  31. 이영, 김온기 (2000). 엄마와 함께 하는 영아교육프로그램이 어머니-영아관계 및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0(3), 67-84.
  32. 이정숙 (2003). 교사경력과 유아연령에 따른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지현 (2015). 영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보육효능감 및 교사민감성 간의 관계. Global Creative Leader, 5(1), 43-61.
  34. 이흥연, 장재남, 신건철 (2014). 슈퍼바이저의 직무소진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역할갈등과 조직/직무 몰입 수준을 중심으로. 고객만족경영연구, 16(2), 203-223.
  35. 임성혜, 손영수 (2001). 유치원에서의 유아생활세계의 긴장과 갈등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유아교육연구, 21(2), 85-109.
  36. 임옥희 (2006). 보육교사-영아 상호작용과 보육교사 신념 및 효능감 간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장현주 (2004). 보육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이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정다운, 문혁준 (2009). 보육교사의 개인특성 및 보육시설의 조직특성이 조직갈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9(5), 163-183. doi:10.18023/kjece.2009.29.5.008
  39. 정영희, 이영숙 (2012).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환경과 민감성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2), 107-132.
  40. 정유정, 김진욱 (2017).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정서안정성, 대인관계 스트레스, 근무환경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8(2), 205-218. doi:10.5723/kjcs.2017.38.2.205
  41. 정혜진, 박재옥 (2014). 영아반 교사의 민감성과 놀이교수효능감에 따른 전문성 인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5), 193-205. doi:10.7466/JKHMA.2014.32.5.193
  42. 조부경 (1997). 유치원 교사의 역할지각과 역할수행에 관한 한미 비교연구. 비교교육연구, 7(1), 235-258.
  43. 차대운, 정영만 (2002). 개인적 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5, 117-131.
  44. 채영란 (2009). 유아교사의 역할갈등 및 직무만족도가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8(3), 115-135.
  45. 천순덕, 이은용, 이승곤, 이수범 (2006).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상사-부하 교환관계와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20(1), 17-34.
  46. 하동현, 김정선 (2010). 호텔 종사원의 직무착근도와 역할스트레스원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4(6), 173-191.
  47. 홍은숙, 부성숙 (2015). 영아교사의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과 민감성 수준 및 민감성인식의 관계. 아동교육, 24(4), 329-349. doi:10.17643/KJCE.2015.24.4.18
  48. 홍창남 (2006). 교사 효능감의 제고 가능성에 대한 실증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4(4), 161-186.
  49. Bigelow, A. E., Maclean, K., & Proctor, J. (2004). The role of joint attention in the development of infants' play with objects. Developmental Science, 7(5), 518-526. doi:10.1111/j.1467-7687.2004.00375.x
  50. Buchanan, B. II. (1974). Build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ocialization of manager in work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9(4), 533-546. doi:10.2307/2391809
  51. Burchinal, M. R., Cryer, D., Clifford, R. M., & Howes, C. (2002). Caregiver training and classroom quality in child care centers. Applied Developmental Science, 6(1), 2-11. doi:10.1207/S1532480XADS0601_01
  52. Gerber, E. B. (2003). Predictors of teacher sensitive care giving in center-based child ca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USA.
  53. Gerber, E. B., Whitebook, M., & Weinstein, R. S. (2007). At the heart of child care: Predictors of teacher sensitivity in center-based child car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2(3), 327-346. doi:10.1016/j.ecresq.2006.12.003
  54. Getzels, J. W., & Guba, E. G. (1955). The structure of roles and role conflict in the teaching situ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Sociology, 29(1), 30-40. doi:10.2307/2263349
  55. Ho, W. H., Chang, C. S., Shih, Y. L., & Liang, R. D. (2009). Effects of job rotation and role stress among nurse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9(8), 1-10. doi:10.1186/1472-6963-9-8
  56. Howes, C., & Smith, E. W. (1995). Relations among child care quality, teacher behavior, children's play activities, emotional security and cognitive activity in child car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0(4), 381-404. doi:10.1016/0885-2006(95)90013-6
  57. Jalongo, M. R., & Isenberg, J. P. (2000). Exploring your role: A practitioner's introduc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58. Kontos, S., & Wilcox-Herzog, A. (1997). Influences on children's competence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2(3), 247-262. doi:10.1016/S0885-2006(97)90002-8
  59. Montgomery, D. C., Blodgett, J. G., & Barnes, J. H. (1996). A model of financial securities salespersons' job stress. Journal of Services Marketing, 10(3), 21-38. doi:10.1108/08876049610119776
  60.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NICHD) Early Childhood Research Network. (2000).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child care for toddlers and preschoolers. Applied Developmental Science, 4(3), 116-135. doi:10.1207/S1532480XADS0403_2
  61. Pianta, R., Howes, C., Burchinal, M., Bryant, D., Clifford, R., Early, D., et al. (2005). Features of pre-kindergarten programs, classrooms, and teachers: Do they predict observed classroom quality and child-teacher interactions? Applied Developmental Science, 9(3), 144-159. doi: 10.1207/s1532480xads0903_2
  62. Porter, L. W., Steers, R. M., Mowday, R. T., & Boulian, P. V. (1974).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among psychiatric technicia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9(5), 603-609. doi:10.1037/h0037335
  63. Somech, A., & Bogler, R. (2002).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eacher organizational and professional commitment.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38(4), 555-577. doi:10.1177/001316102237672
  64. Steers, R. M. (1977). Antecedents and outcom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2(1), 46-56. doi:10.2307/2391745
  65. Whitebook, M., Sakai, L. M., & Howes, C. (2004). Improving and sustaining center quality: The Role of NAEYC accreditation and staff stability.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5(3), 305-326. doi:10.1207/s15566935eed1503_4

Cited by

  1. 어린이집에서의 인간관계가 직무몰입을 매개로 보육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vol.16, pp.6, 2020,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6.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