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stnut tree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7초

흉고직경별 약제 수간주입구멍의 크기에 따른 주입구멍의 치유도 - 포스팜 수간주입구멍에 대한 반응 - (The Size of Injection Wound, Tree Diameter, and Injection Wound Healing of a Tree - Response to Pospam Injection Wound -)

  • 차병진;윤정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1호
    • /
    • pp.22-30
    • /
    • 1995
  • 천공기로 소나무와 밤나무에 구멍을 뚫고 살충제인 포스팜을 수간주입한 후에 주입공 주변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간주입은 9월에 실시하였으며, 주입공은 지름 1cm와 0.5cm를 비교하였다. 왕성한 수세의 나무들 중에서 공시목을 선발하였으며, 소나무는 흉고직경 10, 20, 30cm, 밤나무는 10, 15, 20cm이었다. 처리 이듬해 6월의 결과조사에서, 외관상으로 부후의 징후를 보이는 나무는 없었으나, 수피를 벗겨낸 목질부에서는 뚜렷한 변색이 일어나고 있었다. 변색의 정도는 수간주입공의 크기에 비례하여, 1cm 주입공에서의 변색부가 0.5cm 주입공에서의 변색부보다 더 컸다. 그러나, 공시목의 종류나 크기는 변색부의 크기와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공시목에서 주입공을 기점으로하여 목질부가 길이방향으로 갈라져 있는 현상이 나타났는데, 그 길이는 소나무에서 보다는 밤나무에서, 그리고 0.5cm 주입공에서 보다는 1cm 주입공에서 더 길었다. 갈라진 부분에서는 새로운 유조직이 자라나와 갈라진 부분을 메워가고 있었다. 흡수식 수간주입 자체가 나무에 미치는 피해는 밤나무에서, 그리고, 주입공의 크기가 1cm일 때 더 컸다.

  • PDF

밤나무 근권토양에서 분리한 Ilyonectria radicicola 균주의 인삼에 대한 병원성 및 유전적 분석 (Pathgenicity on Ginseng and Sequence Assays of Ilyonectria radicicola Isolated from Chestnut Rhizosphere Soils)

  • 서문원;송정영;김선익;오상근;김홍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02-307
    • /
    • 2018
  • Background: A soil-borne pathogenic fungus, Ilyonectria radicicola (Cylindrocarpon destructans) causes root rot on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and is known to attack many other plants. The Nectria/Neonectria radicicola complex has been renamed as the I. radicicola complex after analysis of its multi-gene relatednes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fungi in this complex have been reclassified into 16 species under the genus Ilyonectria based on characteristics analysis Methods and Results: To obtain useful data from the Korean ginseng root rot, I. radicicola was isolated from the rhizosphere soils of the chestnut tree. They were identified through a pathogenicity test and a survey of the morphological features. The existence of I. radicicola in soil samples was confirmed by PCR detections using nested PCR with species-specific primer sets. These were subsequenctly isolated on semi-selective media from PCR-positive soils. Genetic analysis of the I. radicicola complex containing these pathogens was done by comparing the DNA sequences of the histone h3 region. These isolates originating from the rhizosphere soils of chestnut constituted a clade with other closely related species or I. radicicola isolates originating from ginseng or other host plants,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pathogenicity test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I. radicicola isolates revealed that they caused weakly virulent root rot on ginseng. Conclusions: This is the first study reporting that I. radicicola isolates from chestnut rhizosphere soils can attack ginseng plant in Korea. Thu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informations in the selection of suitable fields for ginseng cultivation.

임간재배 시 차광과 부엽토 처리에 따른 갯기름나물의 생장 및 광합성 특성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Photosynthesis of Peucedanum japonicum by Shading and Leaf Mold Treatment in Forest Farming)

  • 송기선;전권석;최규성;김창환;박용배;김종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1호
    • /
    • pp.78-85
    • /
    • 2016
  • 본 연구는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산채인 갯기름나물을 대상으로 임간재배지 내 차광과 부엽토가 갯기름나물의 생장 및 광합성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보다 고품질의 갯기름나물을 생산하는 것뿐만 아니라 생산량 증대 및 친환경 재배기술 개발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전광 및 35%, 50%, 75% 차광으로 총 4차광처리와 부엽토처리(대조구, 침엽부엽토, 활엽부엽토)를 하였다. 초장, 줄기직경, 근원직경, 줄기수, 건중량은 전광 내 활엽부엽토에서 가장 높았으며, 엽면적, 엽장, 엽폭은 35% 차광 내 활엽부엽토에서 가장 높았다. 광합성, 기공전도도, 증산율, 수분이용효율은 전광 내 활엽부엽토에서 가장 높았다. 특히, 광합성률은 모든 차광에서 활엽부엽토가 높게 조사되었으며, 차광률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갯기름나물을 친환경적으로 재배하기 위해서는 임간재배에서 35% 차광(상대광도 51.1%) 후 활엽부엽토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생장을 보여 생산량 증대와 고품질 갯기름나물의 생산에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방사선(放射線)에 의(依)한 밤나무의 돌연변이(突然變異) 육종(育種)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Mutation Breeding in Castanea SP.)

  • 김지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0-84
    • /
    • 1975
  • 밤나무와 약밤나무의 종자(種子), 접수(接穗) 및 생체(生體)에 감마선(線)을 총선량별(總線量別), 총량률별(總量率別)로 조사(照射)하여 방사선(放射線)의 생물학적(生物學的) 효과(効果) 및 돌연변이(突然變異)의 유기(誘起)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한다. 1. 밤나무의 ${\gamma}$선조사(線照射)에 의(依)한 종자발아율(種子發芽率) 반감선량(半減線量)은 4.6 kR 인데 접목활착율(接木活着率) 반감선량(半減線量)은 3.1 kR으로 더욱 높은 감수성(感受性)을 보였다. 2. 종자조사(種子照射) 5 kR구(區)에서 낮은 빈도(頻度)(0.84%로 albino 개체(個體)가 나타났으며 선량(線量)의 증가(增加)에 따라 묘장(苗長)이 유의성(有意性)있게 감소(減少)하였다. 3. 접수조사(接穗照射)에 의(依)한 접목활착율(接木活着率) 반감선량(半減線量)은 급조사(急照射)에서 약밤나무 및 밤나무가 3.2 kR 및 3.1 kR인데 반급조사(半急照射)에서는 10.2 kR으로서 3배(倍)의 높은 누적선량(累積線量)의 조사(照射)가 가능(可能)하였다. 4. 약밤나무의 휴면기(休眠期) 생체(生體) 완조사(緩照射)의 총선량(總線量) 7.5-4.9 kR, 선량율(線量率) 10-98 R/day구(區)에서 대형엽아조변이(大形葉芽條變異)가 높은 빈도(頻度)(16.6%)로 나타났으며 평균엽면적(平均葉面積) $96.36cm^2$로서 정상엽(正常葉) $26.28cm^2$보다 매우 컸다.

  • PDF

밤나무림에서 1995-2010년의 복숭아명나방의 피해율 변화 (The Changes of Damage Rate by Peach Pyralid Moth, Dichocrocis punctiferalis (Lepidoptera: Pyralidae) in Chestnut Orchards from 1995 to 2010 Year)

  • 이총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79-382
    • /
    • 2011
  • 밤나무 재배지에서 밤의 종실에 발생하여 알밤을 가해하는 복숭아명나방(Dichocrocis punctiferalis) 을 선정된 조사지역에서 1995년부터 2010년까지 16년 동안 년도별, 지역별, 숙기별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년도별 피해율은 1998년이 34.5%로 가장 높았고, 2000년이 17.9%로 가장 낮았다. 년도별 피해율의 패턴은 3년의 반복 주기로 변화되었다. 복숭아명나방의 피해율과 강우량과는 부의 상관($-0.6261^*$)이었고, 온도의 상관은 정의 상관($0.5826^*$)이었다. 조사 지역의 전체 평균 피해율은 22.2%이었고, 조사지역 중에서 합천지역이 27.0%로서 가장 높았고, 함양지역이 15.0%로서 가장 낮았다. 밤나무 성숙기별 피해율은 조생종인 단택품종이 26.1%로서 피해율이 가장 높았고, 중생종과 만생종인 축파, 은기품종의 피해율이 각각 19.3%, 21.1%로 같은 수준이었다.

경상남도 가좌산의 소나무, 참나무, 밤나무 우점 산림토양 별 메탄 산화능 평가 (Evaluation of Methane Oxidation Potentials of Alpine Soils Having Different Forestation Structure in Gajwa mountain)

  • 박용권;김상윤;권효숙;김필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06-313
    • /
    • 2014
  • BACKGROUND: Forest soils contain microbes capable of consuming atmospheric methane ($CH_4$), an amount matching the annual increase in $CH_4$ concentration in the atmosphere. However, the effect of plant residue production by different forest structure on $CH_4$ oxidation is not studied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Korean alpine soils having different forestation structure on $CH_4$ uptake rates. METHODS AND RESULTS: the $CH_4$ flux was measured at three sites dominated with pine, chestnut and oak trees in southern Korea. The $CH_4$ uptake potentials were evaluated by a closed chamber method for a year. The $CH_4$ uptake rate was the highest in the pine tree soil ($1.05mg/m^2/day$) and then followed by oak ($0.930mg/m^2/day$) and chestnut trees ($0.497mg/m^2/day$). The $CH_4$ uptake rates were highly correlated to soil organic matter and moisture contents, and total microbial and methanotrophs activities. Different with the general concent, there was no any correlation between $CH_4$ oxidation rates, and soil temperature and labile carbon concentrations, irrespective with tree species. CONCLUSION: Conclusively, the methane oxidation rate was correlated in positive manner with organic matter, abundance of methanotrophs. Methane oxidation was different among tree species. This results could be used to estimate methane oxidation rate in forest of Korea after complementing information about statistical data and methane oxidation of other site.

조선시대 염료의 종류와 유형 (Kinds and Types of Dyes Used in the Joseon Dynasty)

  • 김순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01-215
    • /
    • 2014
  • This study explores the kinds and types of dyes used in the Joseon Dynasty. Some literature including "Sanga Yorok", "Gyuhap Chongseo", "Imwon Gyeonjeji" were reviewed for this purpos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colors obtained from the dyes were divided into seven color series, such as red, yellow and orange, green, blue, purple, brown, gray and black. These are practical color categories differed from abstract five cardinal colors [五方色]. The diachronic dyes used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safflower and Japanese alder bark for red, indigo leaves for blue, gromwell for purple, chestnut tree bark for brown. The representative dyes us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safflower and sappan wood for red, wild pear tree bark and Pentapetes phoenicea for yellow and orange, indigo leaves for blue, sappan wood and gromwell for purple, mulberry tree for brown, and Chinese ink for gray. Common dyes used both in Joseon and China were safflower and sappan wood for red, pagoda tree blossom for yellow, a combination of pagoda tree blossom (or Amur cork tree) and indigo leaves (or sediment) for green, indigo leavers or sediment for blue, sappan wood and hollyhock for purple, and a combination of indigo leaves and Galla Rhois for gray and black.

밤나무 시비시험(施肥試驗)(II) -일조량부족(日照量不足)과 MgO의 시비효과(施肥効果)- (Response to Specific Fertilizer on Chestnut Tree (II) -Deficiency of Insolation and Effect of the Compound Fertilizer with MgO Component-)

  • 정인구;강신우;이명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17-22
    • /
    • 1982
  • 은기(銀寄)밤나무 4년생(年生)을 1979년(年)부터 1980년(年)까지 2년간(年間) 시비시험(施肥試驗)을 실시(實施)하던 중(中) 1980년도(年度)에 일기불순(日氣不順)으로 일조량(日照量)이 부족(不足)하게 되었던 바 각처리별(各處理別) 시비시험중(施肥試驗中) 특(特)히 고토첨가시용구(苦土添加施用區)가 밤나무의 생장(生長)도 양호(良好)하고 밤 수확량(收穫량量)도 증대(增大)되었다. 1) 밤나무 생장(生長)에 있어서 동일시비수준(同一施肥水準)에서도 비료삼요소(肥料三要素)와 붕소(硼素) 및 고토(苦土) 시용구(施用區)가 삼요소시비구(三要素施肥區)보다 약(約)20% 정도생장(程度生長)이 양호(良好)하였다. 2) 밤수확량(收穫量)에 있어서도 시비시험일차년도(施肥試驗一次年度)인 1979년(年) 11月(월) 14일(日) 이상난동(異常暖凍)으로 인(因)하여 다소(多小)의 냉해피해(冷害被害)는 있었으나 일조량(日照量)은 정상적(正常的)이여서 6월(月)서 9월(月)까지 1일(日) 평균일조량(平均日照量)은 7시간(時間)으로 밤수확량(收穫量)은 시료삼요소(試料三要素)의 시비지수(施肥指數) 100에 대(對)하여 비료삼요소(肥料三要素) 및 붕소시비구(硼素施肥區)가 167이고 비료삼요소(肥料三要素) 붕소(硼素) 및 고토시비구(苦土施肥區)는 207dldT다. 3) 시비시험삼차년도(施肥試驗三次年度)인 1980년도(年度)에는 일기불순(日氣不順)으로 일조량(日照量)이 1일(日) 평균(平均) 3.8시간(時間)으로서 이와 같은 일조량(日照量) 부족(不足) 현상하(現狀下)에서는 밤수확량(收穫量)은 비료삼요소시비구(肥料三要素施肥區)의 시비지수(施肥指數) 100에 대(對)하여 비료삼요소(肥料三要素) 및 붕소함유복비시비구(硼素含有複肥施肥區)는 620이고 비료삼요소(肥料三要素), 붕소(硼素) 및 고토함유복비구(苦土含有複肥區)에서는 741로서, 비료삼요소(肥料三要素) 및 붕소시비구(硼素施肥區)보다도 비료삼요소(肥料三要素), 붕소(硼素) 및 고토(苦土) 시비구(施肥區)가 약(約) 21%가 더 증수(增收)되었으며 비료삼요소시비구(肥料三要素施肥區)보다는 7배이상(倍以上)의 밤수확(收穫)이 있었다. 4)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보아 고토(苦土)(MgO)가 토양중(土壤中) 0.82me/100g 미만(未滿)일때에는 MgO의 시비효과(施肥效果)가 크게 나타날 뿐더러 일조량부족시(日照量不足時)는 MgO의 시비(施肥)로 녹색식물(綠色植物)의 탄소동화작용(炭素同化作用)을 활발(活潑)히 하게 하며 엽록소(葉綠素)를 조성(造成)하는 작용(作用)을 돕는 동시(同時)에 탄수화물형성(炭水化物形成)에도 큰 역할(役活)을 하게 되는 것으로 입증(立證)되었다.

  • PDF

밤나무잎의 항주름 효과 (Anti-wrinkle Effect of Chestnut Leaf)

  • 장민정;전동하;김세현;한상익;이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51-756
    • /
    • 2013
  • 본 연구는 노령목의 산림의 경제적 가치를 증진하고자 밤나무 잎에 함유된 물질의 기능성화장품 원료로의 기능을 규명하여 화장품 산업에 적용하기 위하여 천연소재로써의 이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항산화능 측정을 위한 실험으로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cation radical 소거능을 실시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는 항산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BHA를 이용하여 밤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아세톤 추출물의 경우 시료 농도에 따라 DPPH radical 및 ABTS radical 소거 증가 정도가 컸으며, 열수 추출물은 10 ug/ml의 농도에서 50% 이상의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밤잎 추출물은 항산화 작용이 높고 피부에서 흔히 일어나는 활성산소에 대한 노화 방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주름개선 효과 측정으로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아세톤과 열수 추출물에서는 그 효과가 없었으나 에탄올 추출물 100 ug/ml에서 64.6%의 우수한 elast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3가지 추출물은 100 ug/ml에서 열수 추출물 18.0%, 아세톤 추출물 14.3%, 에탄올 추출물 5.3%의 순으로 collagenase 저해활성능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천연물질을 이용한 연구결과와 비교 시 밤잎 추출물은 주름개선에 우수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주름개선 원료로의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보아 밤잎은 항산화 및 항노화 효소 활성을 갖는 천연소재로서 주름개선 소재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임삼 효능 평가 등의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개발된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사료된다.

Insect Funa of Chestnut Bushes at Paju Area in Korea: -Mainly on Dryocosmus kuriphilus Yasumatsu-

  • Pak, Nomyon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8
    • /
    • 1970
  • 경기도 파주지역의 밤나무숲은 밤나무혹벌(Dryocosmus kuriphilus Yasumatsu)이 1965년 이래로 번성하여 막심한 피해를 받고 있으며 벌목되는 나무의 수가 증가 되어가는 실정이다. 저자는 밤나무혹벌의 생물학적 자연구제의 대책을 연구코저 파주군의 법원리, 마장리, 분수리의 3개처와 양주군의 보광사, 벽제리, 2개처에 대하여 밤나무숲의 곤충상을 조사하였다. 전 지역에 대하여 5목 35종의 곤충을 채집하였으며 법원리에서는 해충의 번성이 심하였으나 분수리에서는 작년가지에 많은 밤나무혹벌의 혹이 금년가지에서는 볼수 없어 하나의 회복증상을 발견하고 그 이유로서 법원리는 숲이 고립되어 있으나 분수리는 상수리나무숲으로 잘 둘러싸여 있다는 사실을 지적, 삼림조성에 있어서의 혼합림조성 방식을 제창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