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ntral places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5초

교통발달에 의한 중심지체계 변화 모형의 분석과 함의 (A Model Research on How the Development of Transport Changes Central Place System)

  • 권오혁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77-88
    • /
    • 2016
  • Christaller의 중심지모형은 공간분석 연구에서 가장 설득력 있는 개념과 이론구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어 왔지만 동시에 많은 비판들을 받아왔다. 특히, 이 모형의 한계로서 중심지체계의 변화를 적절히 수용하지 못하는 정태성의 문제가 지적되었다. 본 연구는 교통발달이 중심지체계를 변화시키는 원리를 규명하기 위해 중심지모형을 선형상권분석모형으로 재구성한 바, 교통비용의 하락이 어떻게 중심지의 상권을 변화시키게 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모형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통발달은 고차중심지의 상권을 확대하는 반면 저차중심지의 상권 축소와 기능 쇠퇴를 가져올 것이다. 더하여 이러한 현상은 고차중심지와 저차중심지가 규모에서 차이가 클수록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품의 중심성이 높을수록 크게 나타나며, 쇠퇴의 속도는 교통발달 속도가 일정할 경우 점점 더 빨라지게 된다. 나아가 상권의 형태는 저차중심지를 향해 오목하게 나타날 것이다.

  • PDF

포칼 입지계수를 이용한 중심지 성숙도 평가 (Assessing the Maturity of Central Place Using Focal Location Quotients)

  • 이병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21-228
    • /
    • 2013
  • 도시계획이나 상권분석 등의 분야에서, 중심지의 성숙도와 같은 중심지에 대한 평가는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해 고려하여야 할 중요한 정보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대한 2004년과 2009년의 전화번호부 업종 데이터 중 대표적인 소매업종인 소매, 생활서비스, 음식업의 세 업종을 선택하여 중심성 지수와 입지계수를 구했다. 중심성 지수와 세 개의 소매업종에 대한 입지계수로부터 각각 중심지의 성장, 쇠퇴, 성숙을 파악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여 중심지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어떤 중심지에 대해서 세 소매업종에 대한 입지계수를 비교하여 성장지역인지, 쇠퇴지역인지, 아니면 성숙지역인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중심지의 평가 결과는 상권분석에서 업종의 선택이나 출점 가능 여부 판단과 같은 업무에서 중요한 지표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광주 전남지역의 공간 구조 변화 및 중심지 분석 (Analysis of Spatial Structures and Central Places of Gwangju and Jeonnam Region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 이지민
    • 농촌계획
    • /
    • 제23권2호
    • /
    • pp.43-54
    • /
    • 2017
  • When an age of low growth and population decline, population migr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spatial structure of region.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on migration and regional spatial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of Gwangju and Jeonnam region's spatial structure and central area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For analysis it was used that population and migration data and passenger OD(Origin and Destination) travel data released by Statistics Korea and Korea Transport Database(KTDB). Using Gephi 0.8.2, migration and passenger OD networks were visualized, and this describe network flow and density. The results of the network centrality analysis show that the most populated village is not always network center though population mass is an important factor of central places. The average eigenvector centrality of 2010 migration is the lowest during 2005-2015, and it means few regions have high centralities. When comparing migration and travel networks, travel data is more effective than migration data in determining the central location considering spatial functions.

주문크기에 따라 다른 공급처를 이용하는 다단계 물류시스템의 경제적 설계 (The Economic Design of the Multi-stage Distribution System Using Different Supplier according to Order Size)

  • 장석화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5-94
    • /
    • 2003
  • In this paper, a mathematical model is developed for economic design of multi-stage distribution system that consists of factory, central distribution centers, local distribution centers and retailers. The retailers are supplied products from different stage suppliers according to order size. The retailers are supplied products from factory if demand amount is large, central distribution center if medium, local distribution center if small. The economic design is to determine the economic size of facility factors that consist of distribution system. The cost factors are transportation cost from supply places to demand places, handling cost at distribution centers and inventory holding cost at retailers. It is to determine the transportation route of each retailer, the size and number of the vehicle at factory and distribution centers, the handling amount at distribution centers in order to minimize the total costs. The mathematical model is represented, the solution procedure is developed, and a numerical example is shown.

한국 전쟁 군사유적의 보호 및 활용에 관한 연구 - 중부접경지역(연천군, 철원군, 화천군)을 중심으로 -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Military Remains during the Korean War - Focused on the Central Border of DMZ(Yeoncheon, Cheorwon, and Hwacheon-gun) -)

  • 조태환;김태영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47-56
    • /
    • 2018
  •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military remains of Korean War(1950~53) focused on Yeonchen, Cheorwon, and Hwacheon-gun in the central border of DMZ. The Yeoncheon-gun is installing 'Yeolsoe' and 'Taepung' observatory in the frontline battlefield adjacent to Southern Limit Line(SLL), and not only protects many military remains including war memorial and crematory facilities of UN troops, but also utilizes them as active educational places. The Cheorwon-gun is actively making known 'Baengmagoji memorial, 'Labor party office' and other buildings adjacent to 'Tourist security DMZ', but needs to set up many monuments around battlefields of 'Gimhwa' and 'Daeseongsan' adjacent to 'Eco-peace park DMZ'. With the battlefield of 'Paroho' as the center, which our troops made brilliant military gains during the war, the Hwacheon-gun protects and informs military remains such as '643 and 490 battlefields', 'Kkeomeok and Guman bridge'. Developing a network for military remains in connection with the annual local festivals, the experience tour and security will be available at these places.

서울의 도심 및 부심 설정과 특화 기능 탐색 (Delineating CBD and Subcentres and Detecting Specialized Areas in that Central Places of Seoul)

  • 서민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75-298
    • /
    • 2014
  • 본 연구는 서울의 중심업무지구와 부심을 설정하고 그 기능적 특징을 비교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서울 도심 설정 연구에 대하여 두 가지 점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첫째는 기존 연구는 대부분 자료 구득 상의 어려움 때문에 도심 지역이라고 여겨지는 범위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자료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그러므로 늘 중심업무지구의 범위는 가설적인 도심 지역을 벗어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서울 전역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여 도심은 물론 부심까지 동시에 설정하였다. 두번째는 이 자료를 공간 스캔 통계 기법으로 분석함으로써 도심 범위 설정에 있어서 연구자의 주관성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서울 도심은 기존 연구에 비해 동쪽으로 더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쪽으로는 다소 축소되어 있었다. 또한 도심과 부심의 특화지역을 분석한 결과 도심은 중추 행정, 도매업이 발달하고 강남 부심은 대기업, 사무실, 병원이 발달하여 보다 근대적인 면모를 보이고 있었다.

  • PDF

대학 학생식당의 이용실태 및 환경분석에 관한 연구 - K대학 학생식당의 거주후 평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User's Behaviors and Environmental Analysis of University Dining facilities - Focused on K University Dining Facilities by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

  • 김성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8호
    • /
    • pp.164-172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user's behaviors and environmental image to show how to plan dining facilities by checking what factors make user's satisfaction and how inferior factors effect dining people. The spaces in this study are dining facilities in a University. Dining places are campus welfare facilities, students don't have other choice. Dining facilities are determined according to user's desire to convenience and time saying. And this facilities will be compliment to resting places in campus. As we know, functional planing facilities are central element in University Master Plan and must consider interior decoration, surrounding places and some other instruments. Scale of dining facilities must accommodate with many students, therefore dining facilities can served as spare place and resting space.

다트판형 공간분할 기법을 이용한 서울지역 지하철 역세권 분석 (Geo-spatial Analysis of the Seoul Subway Station Areas Using the Haversine Distance and the Azimuth Angle Formulas)

  • 조재희;백의영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39-150
    • /
    • 2018
  • This paper investigated the human distribution in subway station areas in Seoul, using geotweets and subway ridership data. Eight stations were selected from the districts of Gangnam and Gangbuk. Geotweets located within a 600-meter radius of the central coordinates of each station were extracted, and distances between the center of station and each tweet location were calculated. Donut-shaped dimension and pie-shaped dimension were generated, using the Haversine distance formula and the Azimuth angle formula respectively. By combining the two dimensions, Dartboard-shaped space division is created. Popular places within the subway station areas identified from this research are almost the same as the current well-known popular places, and this is an important case showing that people send tweets from various places where they engage in daily activities. We expect this study can be a methodological guideline for social scientists who use spatio-temporal or GPS data for their research.

부산역(釜山驛) 상점가(商店街)의 패턴( I ) (The Pattern of Pusan Station Shopping District( I ))

  • 김원경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5-75
    • /
    • 1999
  • `역전(驛前) 상점가(商店街)'는 도시 내부에 있어서 자연적 혹은 유기적인 중심지의 계층구조에 의해서 결절된 중심지가 아니다. '기차역'이라고 하는 특수한 기능의 견인력에 의해서 그 부근에 형성된, 오히려 특수 상점가적인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지역은 개항(開港) 이전에는 왜관(倭館)이 있었던 곳이며, 개항 후에는 왜관이 일본인 거류민지로 승격하게 된다. 또한 지금은 점차 쇠퇴하고 있긴 하지만 '차이나 타운'이라고 하여 중국인의 거주지가 이 지역의 서부지대에 아직까지 존속하고 있다. 이곳과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지역에 '텍사스 타운'이 있어서 과거부터 주한미군(駐韓美軍)과 외국인 선원들을 고객으로 하는 환락가가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지금의 이곳은 '러시아 타운'으로 변하여 가로의 대부분의 간판은 러시아어로 되어 있다. 이 가로를 따라서 가면 러시아 사람들을 많이 만날 수 있다. 이 상점가와 인접하여 '초량시장'이 위치하고 있어서 과거부터 인근의 주택지를 serve하는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1969년 6월 10일에 새로운 역사(驛舍)가 준공되고 부산역이 현재의 위치로 이전해 오면서 과거의 기능에 기차역이 견인하는 기능이 부가하게 된다. 크게 보면, 이러한 두 가지의 속성이 현재 부산역 상점가의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역사(驛舍)가 있는 동부지대와 전통적으로 형성되어 왔던 서부지대는 그 토지이용과 구조면에서 않은 차이가 있다. 동부지대는 업무관리기능이 집적하고 있는 반면에 소매업 중에서도 상점가의 계층을 결정할 수 있는 중심성 상점은 전혀 입지하지 않고 있다. 이 지대는 대형의 고충건물이 많은 업무지구이다. 이것은 도심의 축소판으로서의 경향을 오히려 부도심보다도 더 강하게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부산역 상점가에 대해서 그 기능구성과 분포를 중심으로 패턴을 밝히려고 한다. 이 연구는 부산시 전체의 내부공간 구조를 밝히려는 일련의 연구의 한 부분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 PDF

Role of the Third Place in Building Communities and Social Capital : Contributions of Coffee Shops as Third Places in Kuwait

  • Hissah Abdullah Kandari;Abdus Sattar Chaudry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3권1호
    • /
    • pp.59-74
    • /
    • 2023
  • Third places are those that offer a space outside of work and home for people to escape the stress associated with the primary spaces of their lives. Through social interactivity these help in acquiring some emotional support provided by a close and intimate attachment. Such social support can turn into social resources for individuals and can lead to forming communities that may become incubators for social capital through regular visits to shared socializing places. This paper focuses on social interaction that takes place through the third place and the communities that are being created as a contributing factor to knowledge management. The study being reported in this paper investigated the role of coffee shops as third places in building communities and social capital in Kuwait. A mixed-method approach was used to conduct the study. These methods included qualitative methods such as extended conversations in the form of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quantitative methods of using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coffee shop staff and visitors. Results indicated that importance attached to providing facilities by coffee shops reflected that the owners perceived these as third places. The facilities attracted customers to coffee houses where interactions took place that helped to build communities. The pattern of visits by customers showed that mostly they come in groups and have meetings and gatherings that facilitated and encouraged interactions. The communities that are being built in the coffee shops are indicative of these being perceived as third places by owners, customers, and staff. This study shows the potential of coffee shops as a major sector of the food industry promising a valuable contribution in transformation and transition to a knowl- edge-based economy in Kuw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