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attern of Pusan Station Shopping District( I )

부산역(釜山驛) 상점가(商店街)의 패턴( I )

  • 김원경 (신라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지역정보학과)
  • Published : 1999.06.30

Abstract

This study concern with the pattern of Pusan Station Shopping District within Pusan City, Korea, one of the third ranked centers within Pusan-the first ranked is CBD, the second is subCBD, the third are Spa Shopping district, Tongnae shopping district, Jobang-Ap shopping district and Yangjeong shopping district. This paper serves as a part of series studies which attempt to clarify the internal structure of Pusan as a whole. Part(I) of this study deals with the pattern of functions including information & culture, business, recreation and retail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Pusan Station is one of higher ranked class of central places within Pusan City. But the ratio of dwelling houses is the highest in Pusan Station among the 9 higher ranked central places within Pusan. It means that the residential areas still remain along the maze type of narrower streets inner part of the blocks, especially western belt of this shopping district. 2. Business functions are one of the important criteria which classified the central places within the city and Pusan Station is the first ranked shopping districts in terms of these criteria among the 9 higher ranked central places including CBD within Pusan City. It suggests that Pusan Station is the miniature of the CBD, SubCBD is not the miniature of CBD in the view point of business function. It also means that Pusan Station Shopping District has been developed as a special shopping district or as a special central place. It has not been evolved as a center of the hierarchy of central places within the city by the natural or organic growth. 3. Pusan Station as 'the third space or drinking place' and it's characteristics as a amusement center presents at so called the 'Texas Town'-free tax area- whose customers are mainly U. S. soldiers and foreign sailors. But from the 1990s, this 'Town' changed to 'Russian Town', You can easy to meet many Russians and Russian lettered signboards-not English- along the street. 4. Convenient stores distribute mainly at back streets or along the narrower streets. It means that this kinds of stores have a residential oriented character. And a certain convenient stores locate with almost same distances. It suggests that it's hinterland is limited in nearer neighborhoods.

`역전(驛前) 상점가(商店街)'는 도시 내부에 있어서 자연적 혹은 유기적인 중심지의 계층구조에 의해서 결절된 중심지가 아니다. '기차역'이라고 하는 특수한 기능의 견인력에 의해서 그 부근에 형성된, 오히려 특수 상점가적인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지역은 개항(開港) 이전에는 왜관(倭館)이 있었던 곳이며, 개항 후에는 왜관이 일본인 거류민지로 승격하게 된다. 또한 지금은 점차 쇠퇴하고 있긴 하지만 '차이나 타운'이라고 하여 중국인의 거주지가 이 지역의 서부지대에 아직까지 존속하고 있다. 이곳과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지역에 '텍사스 타운'이 있어서 과거부터 주한미군(駐韓美軍)과 외국인 선원들을 고객으로 하는 환락가가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지금의 이곳은 '러시아 타운'으로 변하여 가로의 대부분의 간판은 러시아어로 되어 있다. 이 가로를 따라서 가면 러시아 사람들을 많이 만날 수 있다. 이 상점가와 인접하여 '초량시장'이 위치하고 있어서 과거부터 인근의 주택지를 serve하는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1969년 6월 10일에 새로운 역사(驛舍)가 준공되고 부산역이 현재의 위치로 이전해 오면서 과거의 기능에 기차역이 견인하는 기능이 부가하게 된다. 크게 보면, 이러한 두 가지의 속성이 현재 부산역 상점가의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역사(驛舍)가 있는 동부지대와 전통적으로 형성되어 왔던 서부지대는 그 토지이용과 구조면에서 않은 차이가 있다. 동부지대는 업무관리기능이 집적하고 있는 반면에 소매업 중에서도 상점가의 계층을 결정할 수 있는 중심성 상점은 전혀 입지하지 않고 있다. 이 지대는 대형의 고충건물이 많은 업무지구이다. 이것은 도심의 축소판으로서의 경향을 오히려 부도심보다도 더 강하게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부산역 상점가에 대해서 그 기능구성과 분포를 중심으로 패턴을 밝히려고 한다. 이 연구는 부산시 전체의 내부공간 구조를 밝히려는 일련의 연구의 한 부분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