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ntral hierarchical structure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8초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분산계층 구조용 도로 유지관리설비의 고장정보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ult Signal Process of Hierarchical Distributed Structure for Highway Maintenance systems using neural Network)

  • 류승기;문학룡;홍규장;최도혁;한태환;유정웅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69-76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도로 교통 정보설비의 유지관리를 위해 지능형으로 수행하는 원격감시제어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국도 3호선에 설치되는 도로교통 설비에 대하여 유지관리를 수행하도록 시스템적으로 구축되어 있으며, 전송된 고장 정보는 중앙감시센터의 고장 정보 분석 알고리즘에 의해서 정보의 특성을 파악하도록 하였다. 분석 알고리즘은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다중으로 발생하는 고장정보에 대해서 지식 기반의 고장현상을 추론하도록 제안하였다. 고장 정보 분석 알고리즘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현장으로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바이너리 신호의 패턴을 5가지 형태로 분류하여 성능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중앙감시센터에서의 유지관리용 운영환경 하에서 구현되도록 하였다.

  • PDF

모바일 싱크 네트워크를 적용한 망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Network Management System Based on Mobile Sink Networks)

  • 김동옥
    • 정보통신설비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16-222
    • /
    • 2009
  • This paper proposes an integrated mobile sink networks management system which can monitor and control various kinds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located in many different areas divided by their managing groups, from multi-vendors, and their operations in networks. The proposed system has the center-local interoperability structure cooperating with local-center servers which can perform the same operations as the central servers for wireless lan access points from multi-vendors and wireless lan centric management features. For this purpose, we propose a new way of data design, messaging policy, and hierarchical system structure such that we can achieve stable and consistent management methods for various wireless access points on distributed networks.

  • PDF

언론보도와 비평의 구조: 신문보도의 비평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Exploring the Structure of Media Criticism: A Network Analysis of the Problems in Korean Newspaper Reporting)

  • 장하용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16권
    • /
    • pp.108-135
    • /
    • 2001
  •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e of the problems of Korean newspaper reporting raised by the civil society. Ba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mode of presentation, the problems of newspaper reporting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prominent, associated, and isolate problem. The relations among these problems were defined as the degree of co-occurrence in the monitoring articles. A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tructure of the problems in Korean newspaper reporting. A $33{\times}33$ similarity matrix of the problems was created by analyzing the data from one monitoring report and two weekly media critics newspapers. The results showed that of the 33 problems, most of them were mentioned as prominent or associated problems. The problems related to the news contents were mostly treated as prominent ones, while the problems about the news writing and reporting styles were frequently treated as associated ones. The network structure of newspaper criticism based on the co-occurrence of 33 problems were divided into six clusters. Among them, the most central was the group including the problems of "unfairness,' "biased interpretation," and "vagueness". In addition, the problems were found to have different roles in the network. Of the 33 problems, two were liaisons and four were attached isolates, indicating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problems in newspaper reporting.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he light of two viewpoints; the absence of objective criteria in media criticism, and the need for the comparisons of the current study's results with the opinions of newspaper readers and journalists. finally, th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presented.

  • PDF

국내 한국학 분야의 연구 영역 식별을 위한 거시적 지식구조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Macro Analysis of Knowledge Structure of the Domestic Korean Studies for Identifying the Research Fields)

  • 송민선;고영만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1-23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학 분야 국내 학술지 논문 데이터를 대상으로 계층적 군집 분석을 적용해 한국학 분야의 지식 구조를 구성하는 연구 영역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KCI에서 탑재된 한국학 관련 학술지 중 2011년~2013년도 기준 3년치 평균 Impact Factor 값이 0.5 이상이며, 2004년부터 2013년까지의 10년치 누적 논문 데이터를 갖고 있는 14종의 학술지에 수록된 논문 중 한글 저자키워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3,800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심 연구 분야는 대체로 성리학과 실학 중심의 유교사상을 기반으로 한 정치와 사회에 관한 연구, 한반도의 분단 체제를 둘러싼 정치 관련 연구, 그리고 일제 강점기에서 근현대의 역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기적으로는 고대나 현대 시점보다는 조선시대부터 근대 시기까지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행정구역체계의 문제점과 개편의 방향 (Problems of administrative area system in Korea and reforming direction)

  • 임석회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5-83
    • /
    • 1994
  • 현행 행정구역체계의 기본골격은 조선시대와 일제초기에 만들어질 것으로 그간의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 및 교통, 통신의 발달에 제대로 상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개 편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현행 행정구역체계의 가장 큰 문제점을 전체적으로 검토하고 그것의 합리적인 개편의 기본원칙과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현행 행정구역체계의 가장 큰 문제점은 주민에 의해 자생적으로 형성된 실질적 공간체계와 관련 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실질적 공간체계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국토공간계획의 차원에 서 지역적 형평과 균형의 원리와 함께 중심도시와 배후지의 통합, 생활권의 계층체계와 행 정계층의 일치, 생활권의 범위와 행정구역의 일치 등을 원칙으로 한 행정구역개편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 PDF

Abell 2261: a fossil galaxy cluster in a transition phase

  • Kim, Hyowon;Ko, Jongwan;Kim, Jae-woo;Smith, Rory;Song, Hyunmi;Hwang, Ho Seong
    • 천문학회보
    • /
    • 제43권2호
    • /
    • pp.33.2-33.2
    • /
    • 2018
  • Fossil galaxy cluster has a dominant central elliptical galaxy (${\Delta}M12$ >2 in 0.5Rvir) embedded in highly relaxed X-ray halo, which indicates dynamically stable and passively evolved system. These features are expected as a final stage of the cluster evolution in the hierarchical structure formation paradigm. It is known that Abell 2261(A2261 hereafter) is classified as a fossil cluster, but has unusual features such as a high central X-ray entropy (i.e., non-cool core system), which is not expected in normal fossil clusters. We perform a kinematic study with a spectroscopic data of 589 galaxies in the A2261 field. We define cluster member galaxies using the caustic method and discover a new second bright galaxy at ~1.5 Rvir (nearly the splash-back region). It implies the current fossil state of the cluster can break in the near future. In addition, with three independent substructure finding methods, we find that A2261 has many substructures within 3 Mpc from the center of the cluster. These findings support that A2261 is not in a dynamically stable state. We argue that A2261 is in a transitional phase of dynamical evolution of the galaxy cluster and maybe previously defined fossil cluster does not mean the final stage of the evolution of galaxy clusters.

  • PDF

실시간 위성통신망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al-Time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System)

  • 김신홍;채의근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3권5호
    • /
    • pp.1198-1206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무궁화 위성을 통하여 구축하게 될 DAMA-SCPC Ground Systen-200 (DGS-200) 방식을 이용한 위성 통신망의 중앙제어국에서 수행되는 통신망 관리기능을 제시한다. 그리고 효율적인 통신망 운용 관리를 위하여 통신망 구성 요소를 계층 구조 적으로 분류하여, 나무 구조를 갖는 그래픽 객체 구성 요소들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 논문에서는 실시간 통신망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 표현 방법을 제시하고 클라이언트/서버로 구성된 실시간 통신망 관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시된 방법들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신뢰성 있는 클러스터 기반 동적 인증 기법 (A Reliable Cluster based Dynamic Authentication Mechanism in MANET)

  • 황윤철;김진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661-672
    • /
    • 2008
  •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는 이동 호스트들만으로 이루어진 자율적인 네트워크로 그 활용 범위가 점차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는 무선 링크의 취약성과 중심이 되는 기반 구조의 부재로 인해 모든 네트워킹을 구성하고 있는 노드들의 협력에 의존하고 있어 일반 네트워크 보다 보안 측면에서 훨씬 심각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클러스터 기반으로 구성되는 계층적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 구조를 사용하여 중심이 되는 기반 구조의 부재를 해결하고 각 계층 노드 간 상호인증을 통하여 보안 취약점을 개선하여 신뢰할 수 있는 노드들만이 통신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클러스터 기반 동적 인증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이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의 보안 취약점을 보완하고 신뢰성이나 확장성 측면에 있어서 기존의 기법보다 우수함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하였다.

  • PDF

Climate Change Scenario Generation and Uncertainty Assessment: Multiple variables and potential hydrological impacts

  • 권현한;박래건;최병규;박세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268-272
    • /
    • 2010
  • The research presented here represents a collaborative effort with the SFWMD on developing scenarios for future climate for the SFWMD area. The project focuses on developing methodology for simulating precipitation representing both natural quasi-oscillatory modes of variability in these climate variables and also the secular trends projected by the IPCC scenarios that are publicly available. This study specifically provides the results for precipitation modeling. The starting point for the modeling was the work of Tebaldi et al that is considered one of the benchmarks for bias correction and model combination in this context. This model was extended in the framework of a Hierarchical Bayesian Model (HBM) to formally and simultaneously consider biases between the models and observations over the historical period and trends in the observations and models out to the end of the 21st century in line with the different ensemble model simulations from the IPCC scenarios. The low frequency variability is modeled using the previously developed Wavelet Autoregressive Model (WARM), with a correction to preserve the variance associated with the full series from the HBM projections. The assumption here is that there is no useful information in the IPCC models as to the change in the low frequency variability of the regional, seasonal precipitation. This assumption is based on a preliminary analysis of these models historical and future output. Thus, preserving the low frequency structure from the historical series into the future emerges as a pragmatic goal. We fi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biases between the observations and the base case scenarios for precipitation. The biases vary across models, and are shrunk using posterior maximum likelihood to allow some models to depart from the central tendency while allowing others to cluster and reduce biases by averaging. The projected changes in the future precipitation are small compared to the bias between model base run and observations and also relative to the inter-annual and decadal variability in the precipitation.

  • PDF

'숙천제아도(宿踐諸衙圖)'를 통해 본 조선시대 중앙관아의 공간구조와 조경기법 (A Study on the Spatial Structure and landscape techniques of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中央官衙) reviewed through the 'Sukchunjeado(宿踐諸衙圖)')

  • 신상섭;김현욱;박영관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7권3호
    • /
    • pp.42-59
    • /
    • 2014
  • 조선시대 후기 고위관료였던 한필교(1807~1878)의 화첩 "숙천제아도(宿踐諸衙圖)"를 통해본 중앙관아의 공간구조와 조경기법에 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방전도묘법(四方顚倒描法)'으로 그려진 "숙천제아도"는 조선시대 중앙 및 지방관아의 공간구조와 문화경관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독보적 실증사료로서 가치를 지닌다. 조선의 정궁(경복궁) 광화문 밖 육조(六曹)거리에 자리 잡은 중앙관아는 장방형 부지에 중심시설(당상대청)과 부속 건물이 서열에 따라 상 하 또는 좌 우로 분산되는 구조인데, 주 건물은 남향으로 배치되었으며, 행정편의와 환경성, 그리고 유교적 규범성의 실천 등 위계적 토지이용 체계를 반영하고 있다. 관리들의 직무공간인 당상대청과 향청 등 주요건물은 너른 네모꼴 앞마당을 두어 실용성 위주의 중정(中庭)을 구축하였고, 중심건물(당상대청)은 연못과 정자 등 의미경관을 반영한 후원을 가꾸었다. 특히, 토지이용에 있어서 적극적 공간과 소극적 공간이 교차 반복<동(動)과 정(靜), 채(棟)와 마당(庭), 정(庭)과 원(園)>되는 중용적 사유체계를 보여준다. 중앙관아조경의 특징은 실용적 성격의 앞마당과 경관적 측면이 강조된 뒤뜰을 연계시킨 외부공간의 확장성(前庭+棟+後園), 그리고 환경쾌적성, 경관성, 상징성, 방화용수 목적 등이 복합적으로 고려된 수경시설(方池)의 도입을 들 수 있다. 또한 휴양과 심신수양을 도모하기 위한 정자의 도입 및 후원의 발달, 정심수(庭心樹 : 연, 버드나무, 소나무, 느티나무 등)로서의 의미부여와 제한적인 식물도입, 그리고 심미성, 관념성, 실용적 가치 등을 중시한 환경설계기법이 추출된다. 이러한 중앙관아의 조경기법은 우리나라 궁궐, 사찰, 서원, 상류주택 등 전통공간에서 유사하게 추출되는 보편성이자 특수성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