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uliflower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6초

The mycelial growth and ligninolytic enzyme activity of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latifolia)

  • Sou, Hong-Duck;Ryoo, Rhim;Ka, Kang-Hyeon;Park, Hyun
    •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3권4호
    • /
    • pp.158-163
    • /
    • 2017
  • We examined the activities of lignin-degrading enzymes of the mycelium of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latifolia). Three different strains of S. latifolia collected from several sites in Korea and one crossbred strain were cultured on potato dextrose broth (PDB) and Kirk's medium in order to study the activities of their ligninolytic enzymes. Mycelial growth reached maximum levels between 14 and 21 days after inoculation and pH increased by 0.12 units over 35 days. Laccase activity began increasing after 14 days on both types of media. Manganese peroxidase (MnP) activity followed a trend similar to that of laccase on Kirk's medium, but not on PDB. The activity of lignin peroxidase (LiP) differed from that of other enzymes; its activity decreased by half after 14 days on PDB but remained constant on Kirk's medium over 35 days. The total protein concentration increased considerably after 14 days and peaked at 21 days on PDB. A similar maximum was attained on Kirk's medium. In contrast, the residual glucose increased rapidly at 14 days on Kirk's medium, while increasing gradually up to 28 days on PDB. This study indicates that S. latifolia is more similar to white rot fungi than to other brown rot fungi.

미송톱밥을 이용한 꽃송이버섯 재배의 최적 배지 조성과 버섯의 β-glucan 함량 비교 (Optimal Medium Composition of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latifolia) Cultivation Using Douglas Fir Wood Chip and Comparison of The β-glucan Contents of The Fruiting Body)

  • 왕승진;김현석;위안진;윤병선;박화식;박형호;오득실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428-438
    • /
    • 2014
  • 최근 다양한 언론매체 및 국내외 연구논문들을 통해 꽃송이버섯의 기능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꽃송이버섯의 농가 대량재배 일반화를 위하여 최적톱밥 입자크기 및 ${\beta}$-glucan 함량이 높은 재배법 연구를 수행한 결과 T7 (1~2 mm 25%, 2~4 mm 50%, 4 mm 이상 25%) 배지와 같이 입자크기가 일정비율로 혼합된 배지에서 $11.5{\pm}1.0$ cm/44 days로 비교적 우수한 균사생장을 보였으며 자실체생산 역시 대조구보다 높은 $142.9{\pm}17.7g$의 생중량으로 상품성이 있는 꽃부분이 85%의 비율을 차지하였다. 배지조성 조건에 따른 ${\beta}$-glucan 함량은 모든 자실체에서 꽃부분에 비해 기부가 1.4~2.4배의 높은 함량을 보였고 이 중 이스트 300 ppm이 첨가된 PCF300 (미송 + 옥수수분말 + 소맥분 + 이스트 300 ppm) 배지의 꽃송이버섯 기부가 59.5%로 가장 높은 ${\beta}$-glucan 함량을 나타냈다. 그러나 꽃부분에서는 비교적 낮은 33.0%의 함량을 보여 꽃부분의 ${\beta}$-glucan 함량을 높일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꽃송이버섯 재배시 T7조건인 1~2 mm 미송톱밥 25%, 2~4 mm 미송톱밥 50%, 4 mm 이상 미송톱밥 25%의 비율로 톱밥입자 크기를 조절한후 옥수수분말과 소맥분을 첨가하여 배지조제후 이스트 300 ppm첨가하면 ${\beta}$-glucan 함량이 높은 꽃송이버섯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꽃송이버섯에 의한 침엽수 심재부후 발생환경 및 낙엽송 피해목의 재질 특성 (Environmental Condition for the Butt-Rot of Conifers by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crispa) and Wood Quality of Larix kaempferi Damaged by the Fungus)

  • 박현;오득실;가강현;유성열;박주생;황재홍;박준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1호
    • /
    • pp.16-25
    • /
    • 2009
  • 꽃송이버섯은 침엽수를 이용하여 재배할 수 있는 식 약용버섯으로 최근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 그런데, 이 버섯은 낙엽송 심재부후병균으로 악명 높은 갈색부후균이므로 임지 재배를 시도하기 위해서는 신중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 아래 꽃송이버섯의 침엽수림 내 발생환경을 조사하고, 낙엽송의 심재부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침엽수림 내에서 꽃송이버섯 재배를 시도해도 문제가 없는지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꽃송이버섯은 습도가 충분하고 비옥한 토양에서 자라는 낙엽송, 잣나무, 소나무, 전나무 등 다양한 침엽수림에서 발생하였다. 꽃송이버섯이 발생한 토양은 사양토에서 미사질양토의 범위로써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산림토양에 비하여 고운 토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pH는 4.6~5.2, 유기물 함량은 4~11%를 나타내 넓은 생육범위를 나타내었다. 꽃송이버섯 균이 침입한 목재는 육안으로 쉽게 파악이 되지 않는 부위에도 이미 균사가 퍼져 있음을 DNA 검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피해부위는 건전부위에 비하여 함수율은 30% 정도 높은 반면, 압축강도는 30% 정도 낮았다. 꽃송이버섯 균은 뿌리만이 아니라 가지치기 등을 통해 생기는 가지부위의 상처를 통해서도 침입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포자의 비산이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꽃송이버섯 균이 나무뿌리 및 줄기부위의 상처를 통하여 쉽게 침입할 수 있음을 감안할 때, 우량목 생산을 위해서는 숲가꾸기의 시기에 유의하여야 하며, 이 버섯의 임내 재배는 신중하게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만, 위생간벌 등 무육작업을 통해 통기성이 좋은 여건을 유지한다면 성숙림으로 육성하여 우량목재를 생산하는데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추론되었다.

Effects of Feeding Wastes from Brassica Species on Growth of Goats and Pesticide/Insecticide Residues in Goat Meat

  • Ngu, Nguyen Trong;Ledin, Inge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2호
    • /
    • pp.197-202
    • /
    • 2005
  • The effects of feeding Brassica vegetable market wastes on intake, body weight changes and pesticide/insecticide residues in products of goats were evaluated in two experiments. In the first experiment (Exp. 1) 16 goats (Bach Thao, 9 to 10 kg, 3 months old, 9 males and 7 females) were fed four diets with leaves either from cabbage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cauliflower (Brassica oleracea var. botrytis) or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subsp. pekinensis) with 30% of Para grass. The control group was fed 100% Para grass. All diets contained soybean waste as a supplement and the experiment lasted for 136 days. In the second experiment (Exp. 2) 24 goats (Bach Thao, 12 to 14 kg, all males) were assigned to three treatments in a completely randomised block design based on initial body weight. The goats were fed cabbage waste supplemented with 200 g or 100 g DM (dry matter) of concentrate. Para grass with 100 g DM concentrate supplementation was used as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lasted for 90 days and at the end of the study, 12 goats were slaughtered for pesticide/insecticide analysis. Due to low DM content (5.3 and 3.7%, respectively) feed intakes of cabbage and Chinese cabbage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in the experiment. The highest feed intake and body weight gain was obtained when the goats were fed cauliflower (529 g DM/day and 87.5 g/day, respectively). In Exp. 2 total intake of cabbage and concentrate was similar (484 g and 453 g DM/day) whether the goats were fed 100 or 200 g concentrate/day but lower than that of Para grass and concentrate probably due to the low DM content of the cabbage (5.9%). Crude protein intake (79 g to 86 g/day) and body weight gain (70 g to 88 g/da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Adding concentrate consequently resulted in higher DM intake than in Exp. 1 but did not result in any higher growth rate. Three of the pesticide/insecticide residues tested were found in cabbage, Alpha-Cypermethrin, Bassa-Fenobucarb and Dimethoate with levels of 0.175, 0.074 and 0.028 mg/kg fresh cabbage respectively. Weight of livers from goats fed cabbage was about 90 g higher than from goats fed Para grass but no pesticide/herbicide residues were found in meat or liver.

증기 처리한 침엽수 톱밥을 이용한 꽃송이버섯 재배 (Cultivation of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crispa) by Use of Steam-treated Coniferous Sawdusts)

  • 박현;이봉훈;가강현;박원철;오득실;박준모;천우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3호
    • /
    • pp.84-89
    • /
    • 2006
  • 꽃송이버섯 재배는 침엽수 톱밥의 좋은 사용처로 부각되었다. 하지만 6개월 이상 야적한 톱밥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기존의 재배방식은 야적공간과 시간의 문제를 낳는다. 보다 효율적인 꽃송이버섯 재배를 위하여 낙엽송, 소나무 및 잣나무 톱밥에 증기 처리를 하여 생산기간 단축을 시도하였다. 증기처리를 한 경우, 낙엽송과 잣나무 톱밥의 경우 10% 이상의 균사생장 촉진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소나무 톱밥을 이용한 재배에서는 단 1회 수확한 KFRI644 균주의 경우 12.5%(50.1 g/400 g)의 수율을 16.7%(66.7 g/400 g)로 향상시킬 수 있었다. 즉, 증기처리는 침엽수 톱밥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의 재배기간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좋은 방법이며, 침엽수 톱밥자원의 효율적인 활용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의 배양적 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of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crispa)

  • 정종천;박정식;홍인표;석순자;전창성;이찬중
    • 한국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6-21
    • /
    • 2008
  • 본 시험은 국내외에서 수집한 꽃송이버섯균 8균주에 대하여 균의 배양적 특성 및 균사체 대량배양 조건을 밝히고자 몇 가지 실험을 하였다. 꽃송이버섯균의 고체배양시 HBA(벌꿀바나나추출배지)에서 $53.0{\pm}5.3mm{\cdot}15$$^{-1}$로 균사생장이 빨랐다. 최적배양온도는 $23^{\circ}C$이었으며 pH는 6.0이 었고, 탄소원으로 fructose, 질소원은 glutamine을 잘 이용하였다. 꽃송이버섯균의 균사체 대량배양을 위한 균주로는 통기식 액체배양시 균사체 생산량이 많은 ASI150010을 선발하였다. 액체배양용 추출배지 재료인 대두박추출배지 ($15\;g{\cdot}{\ell}^{-1}$)에서 30일 동안의 균사량은 1.85g으로 감자추출배지 ($200\;g{\cdot}{\ell}^{-1}$)의 1.05g보다 1.7배가 많았다. 곡물을 이용한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시 수분조절 방법으로 현미는 1일간 침수 처리에서 균사체 생장이 빨랐으며, 밀과 보리는 삶는 방법이 좋았다. 그리고 밀은 보리보다 균배양이 빨라서 좋았다.

Deposition of Diamond Film by Hydrogen-oxyacetylen Combustion Flame

  • Ko, Chan-Kyoo;Park, Dong-Wha
    • The Korean Journal of Ceramics
    • /
    • 제4권1호
    • /
    • pp.1-4
    • /
    • 1998
  • Diamond film was deposited on Mo substrate at atmospheric pressure using combustion flame apparatus with the addition of H2. At a temperature above 100$0^{\circ}C$, parts of the film were converted into graphites and these were etched by hydrogen atoms. With increasing $C_2H_2/O_2$ ratio, the nucleation density of the film increased. But the greater part of the film was formed with cauliflower-shaped amorphous carbon. These amorphous carbn were crystallized etching amorphous carbon.

  • PDF

물리적 스트레스가 가을감자의 생육.수량 및 전분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chanical stress on the Growth, Yield and Starch Contents of Fall-planted potato(Solanum tubersoum L.))

  • 문창준;박용봉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2년도 추계 심포지엄 및 학술발표 논문집
    • /
    • pp.216-221
    • /
    • 2002
  • 물리적 스트레스는 식물의 성장과 형태형성 반응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데 14일 동안의 Brushing은 무의 기근율을 감소시켰고, 그 결과 타원형의 품질의 우수한 Radish root을 생산할 수 있었다(Latimer 1991). 그 외에도 상치, Cauliflower celery 묘의 내서성을 향상시킬 뿐아니라, 감자의 생체중과 건물중을 감소시킨다는 보고도 있다(Akers and Mithchell, 1985). (중략)

  • PDF

고등식물 형질전환용 유전자 운반체 pKCHI의 개발 (Development of a Plant Transformation Vector, pKCHI)

  • 정상호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2권1호
    • /
    • pp.23-32
    • /
    • 1989
  • We have developed a plasmid vector, pKCH1, for the purpose of higher plant transformation. It contains the promoter region of cauliflower mosaic virus 35S transcript (P35s) and the terminator region of nopaline synthase gene (Tnos) with unique cloning sites, Bam HI and Xba I, between them. After inserting a foreing gene at the cloning sites, P35s-foreign gene-Tnos cassette can be recovered by using a restriction enzyme Hind III.

  • PDF

Management of an Inappropriately Treated Case of Auricular Hematoma

  • Kim, Yoonjoong;Choi, Jin Woong;Park, Yong-Ho
    • 대한청각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5-118
    • /
    • 2021
  • Othematoma is a condition in which blood collects beneath the perichondral layer of the pinna. Recurrent auricular hematoma can be a challenging medical problem, with complications resulting in ear deformity, therefore, appropriate management is important. Improper treatment can result in a deformity known as 'cauliflower ear' or 'wrestler's ear.' We report a case of othematoma that was inappropriately treated and present a review of current treatment op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