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areer counseling

검색결과 275건 처리시간 0.028초

대학생의 진로상담프로그램 실시전후의 진로성숙도 차이검증 (Career counseling of University Students before and after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verification)

  • 권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7호
    • /
    • pp.75-8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진로상담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진로 성숙도차이 검증을 통하여 향후 대학생들의 진로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대학의 진로 지도의 방향 설정의 기초가 되고자 한다. 검증결과 우선 대학생 진로상담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적용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태도성숙 수준이 향상되었다. 진로태도성숙 변화량의 집단간 T-test 결과는 진로태도성숙 전체에 대하여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 요인으로서는 확신성과 독립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결정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Competence)

  • 권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181-187
    • /
    • 2013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한 진로결정효능감의 효과를 검증하여 향후 대학생들의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대학의 진로 지도의 방향 설정의 기초가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창원시 소재 K대학교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실시 전후의 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 우선 대학생 진로상담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적용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결정효능감수준이 향상되었다. 진로결정효능감 변화량의 집단간 T-test 결과 진로결정효능감 전체에 대하여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 요인으로서는 계획수립, 자기평가의 변화가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Analysis of Venture Business Career Counseling Program Effectiveness)

  • 정운경;변상해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4호
    • /
    • pp.111-118
    • /
    • 2014
  • 본 연구는 벤처분야에 취업 또는 창업에 대해 고민하는 대학생들에게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성숙,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A에 소재한 대학 재학생들 중에서 60명을 선정한 후 각각 30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격주 1회 총 8회기의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참여하지 않은 이들보다 진로성숙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성숙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참여하지 않은 이들보다 진로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참여하지 않은 이들보다 진로장벽이 감소되었다. 따라서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장벽 감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진로 진학 상담 교사 제도의 현황과 과제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Career Education & Guidance Teacher System in Korea)

  • 윤옥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149-158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진로 진학 상담 교사 제도의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진로 진학 상담 교사 제도의 과제를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 진학 상담 교사 제도의 경우 ①진로 진학 상담 교사 자격요건은 법령에 따른 일정한 교육 및 연수를 통해서이다. ②진로 진학 상담 자격 취득 후 '진로 진학 상담' 교과교사로 전환 발령을 받는 것은 또 다른 선발 기준에 의한다. ③진로 진학 상담 교사는 학교당 1명 이상을 배치하여야 한다. ④서울시교육청에서 제시하는 중등 진로 진학 상담 교사 공통직무는 진로 진학상담부장 교사로서 학교의 진로 교육을 총괄하는 업무를 중심으로 15개 항목으로 제시하고 있다. ⑤교육부에서는 중등학교에서 진로지도를 할 때 참고할 진로지도 지침 진로지도 모형을 활용하고 있다. 둘째, 진로 진학 상담 교사 제도의 과제는 ①진로지도 지침에서 제시하고 있는 진로지도 모형의 이론적 근거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②전 교사의 진로 교사 화가 필요하다. ③중학교와 고등학교에 현재 1명으로 배치 되는 진로 진학 상담 교사의 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④교과 통합형 진로 교육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진로상담교재에 대한 내용분석: 진로상담전문가 역량 요소를 중심으로 (The Content Analysis of the Textbooks of Career Counseling: Focused on competency components for career counseling professionals)

  • 강혜영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3-4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로 집필 번역된 진로관련 교재의 내용을 분석하여 진로 상담전문가 역량 개발을 위해 이러한 교재들을 활용할 때의 유용성과 제한점을 제시해보고, 향후 진로관련 교재 집필 방향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는데, 첫째, 진로상담교재는 어떠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둘째, 진로상담교재의 구성 내용 비율은 교재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다. 분석대상은 10권의 진로상담관련 교재(6권은 진로상담개론서에 해당하는 교재, 4권은 진로상담기법에 초점을 두고 있으나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는 교재)였고, 국내 선행연구(유현실, 2009)에서 제시한 진로상담전문가 역량 요소를 수정 보완하여 분석범주를 설정하였으며, 분석단위는 장(chapter)으로 하였다. 주요결과는 첫째, 진로상담개론서에 해당하는 교재들은 모두 '범주1. 진로관련 이론 및 주요개념에 대한 이해'에 해당하는 내용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었고, 그 다음 많은 내용은 '범주 4. 진로상담 역량'에 해당하는 내용이었다. 이에 비해 진로상담기법에 초점을 두고 있는 교재들은 '범주 4. 진로상담역량'에 대한 내용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범주5. 진로검사 및 평가 역량', '범주3. 개인차 및 다양성 이해'에 대한 내용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분석단위로 사용한 장(chapter)의 전체 개수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범주4. 진로상담 역량'(33.33%)과 '범주1. 진로관련 이론 및 주요개념'(28.15%)의 비중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대부분의 교재에서 다루어지지 않는 내용은 개인 및 집단상담 진행에 필요한 지식과 기법(범주2), 상담자들이 실제 기관에서 전문상담자로 일할 때 필요한 타 기관과의 연계, 문제해결, 동료피드백, 행정, 윤리(범주8,9,10,11,13), 그리고 전문가로서의 성장과 자기관리에 대한 내용(범주12, 14)등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한국어로 집필 번역된 교재를 진로상담전문가 교육에서 활용할 때, 기본적인 진로상담진행과 진로관련 이론 및 주요개념에 대한 지식은 다루어줄 수 있으나 그 외 진로상담전문가 역량에 해당하는 요인, 특히 기관의 직원으로서의 역할에 필요한 역량(타 기관과의 연계, 문제해결, 동료피드백, 행정, 윤리 등)과 전문가로서의 성장과 자기관리에 대한 역량은 별도의 방법으로 보완해야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영화를 활용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Cinema on Self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Adolescent on Probation)

  • 정인주;김수진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4-172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cinema for the improving self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adolescents on probation. Methods: The subject were 36 (Experimental. 20, Control. 16) adolescents on probation who were referred to N mental health center in G city South Korea, but 2 of the experimental group did not complete the program. The program consisted of 8 sessions and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08 to February, 2009. The study variables were 'self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urvey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Results: Self identity (t=-2.797, p=.005),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3.354, p=.001) changed more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control group after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cinema.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cinema for adolescents on probation was especially effective in increasing self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대학생을 위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 학부 신입생을 대상으로 - (The Effects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areer exploration on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 조혜정;김밀양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53-36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areer exploration and to explore its effects on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Main program activities consisted of 8-week sessions. 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employed for this study. 40 college student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a group counseling of career exploration. Another 40 students were selected for a control group of this study design. The self-efficacy (23 items) was administered to both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before and after the 8-week treatmen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differences (program eff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scale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career explor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career exploration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 PDF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정체감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The Development and the Effectiveness of a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areer Maturity, Career-Identity, and Career-Decision Self-Efficacy in High School Students)

  • 김사라형선
    • 아동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3-5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ncrease the career maturity, career-identity and career-decision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such a program.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us developed, an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exposed to the program and a control group without exposure to the program were compared. The program was administered over eight weekly sessions, each session lasting ninety minut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twenty four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organized with twelve students in each. For the purpose of data processing, SPSS 16.0 was used to analyze the statistical results. The Career Maturity Scale, the Identity Scal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were used in a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The treatment group exhibited a significant statistically increasing degree of career maturity, career-identity and career-decision self-efficacy levels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e effectiveness of this newly developed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increasing career maturity, career-identity and career-decision self-efficacy levels.

의과대학생의 졸업 후 전공선택을 위한 진로지도 (Career Guidance to Help Medical School Students Choose a Specialty after Graduation)

  • 이선우
    • 의학교육논단
    • /
    • 제26권1호
    • /
    • pp.5-18
    • /
    • 2024
  • The author recommends the creation of a nationwide career guidance program at the national level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long-term cohort, involving collaboration among medical schools nationwide. This cohort would be construct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correlations from admission to medical school to post-graduate education,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a career guidance program. This will aid in career development through students' self-analysis and competency building. Each medical school should operate a systematic career guidance program. Career guidance for post-graduate major selec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regular curriculum. Schools are advised to operate student counseling rooms for various career guidance services. For example, medical schools can operate 1:1 career counseling, academic counseling, career guidance surveys, psychological tests, and counseling. It is advisable to establish a mentor-professor system, connect mentor professors, and build a network of experts related to majors to provide immediate support according to students' needs. Professional mentor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mentor professors.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xperience their career paths in advance, early clinical exposure, long-term integrated clinical practice, community-based clinical practice, participation in student research programs, career fairs, and student internship programs are recommended. In South Korea,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operate the internship system and make improvements to facilitate optical career choices. Additionally, considering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social factors on students' career choices in South Korea, efforts should be made to identify and address the issues related to these social factors.

진로장벽탐색 집단상담이 여대생의 진로장벽 인식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Career Barriers Exploration Counseling Program」 on the Perceived Career Barriers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Women's College Students)

  • 김종운;박성실
    • 직업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209-230
    • /
    • 2010
  • 본 연구는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장벽탐색 집단 상담을 실시하여 여대생들의 진로장벽인식을 완화하고 진로준비행동을 높이기 위해 진로장벽 집단상담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프로그램은 국내에서 연구된 진로상담 프로그램들을 참고하고, 한국 여성개발원 및 직업능력 개발원의 진로자료를 참고하여 개발되었다. 또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련 변인들을 연구한 선행연구 및 진로상담 관련 문헌들을 참고하였는데, 무엇보다 Gottfredson(1981)의 진로발달이론을 참고하여 프로그램의 내용을 재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여대생 10명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직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 검사 점수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는 공분산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장벽 인식 전체에서 사후 검사 점수가 현저히 낮은 것을 볼 수 있었고, 진로준비행동은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 집단이 사후 검사 점수가 현저히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된 진로장벽탐색 집단상담은 여대생의 진로장벽수준을 완화하고, 진로준비행동 수준은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