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 facilities for elderly

검색결과 493건 처리시간 0.03초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안전수행능력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afety Performance Ability of Patients by Caregivers)

  • 김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43-5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환자 안전에 대한 관리의식, 지식 및 태도의 정도를 확인하고, 요양보호사의 환자안전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수행 능력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G광역시와 S시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142명을 대상으로 실시 하였으며, 2020년 7월 10일에서 7월 28일까지 수집한 자료를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요양보호사의 환자안전수행능력은 교육 횟수가 많을수록, 환자안전관리의식 및 환자 안전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높을수록 안전수행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보호사의 환자안전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 환자안전관리의식, 최근 1년간 환자안전교육 참여 횟수 순이었으며, 설명력은 26.9%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요양보호사가 이수한 교육의 프로그램을 확인하고, 요양보호사의 교육프로그램에 교육방법 및 설계를 체계화하여 환자안전관리의식 및 태도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도시 농촌간 의료이용 수준의 비교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Medical Utilization between Urban and Rural Korea)

  • 주경식;김한중;이선희;민혜영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9권2호
    • /
    • pp.311-329
    • /
    • 199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level of medical utilization between the urban and rural areas of Korea and to explai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regions.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perform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Health & Social Affairs in 1992 were used for this study utilizing a sample size of 21,841 people. The level of medical utilization such as the number of physician visits and the number of hospital admissions was compared between the regions with ANOVA. Various determinants for medical use were also compared by univariate analysis. Statistical models which included enabling factors, predisposing factors, need factors and region were constructed for bivariate analysis in order to further elucidate the level of medical utiliz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greater medical use, both in terms of physician visits and inpatient care in the rural areas in spite of insufficient health resources. The particular reasons for higher medical utilization in rural areas were attributed to a higher number of initial physician visits as well as a longer the length of stay per hospital admission. Therefore, indicators representing the degree of met need (utilization/nee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medical need is larger in rural areas. 2. Use of public health facilities received a significant portion of physician visits in the rural area. The government's effort to enhance primary health care through health centers, health subcenters and the nurse practitioner's post in rural areas has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access to medical care in the rural areas. 3.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etween two regions ; There were more elderly people over the age of 65: unstable marital status, less education and lower incomes also characterized the rural areas. Therefore, among rural people, there were more predisposing factors for medical use. Additionaly, need factors such as poor self-reported health status and high morbidity level were also high in the rural area. 4. In contrast it was learned that, the supply of health resources was mostly concentrated in the urban areas except for public health facilities. Therefore, geographical access to medical care was lower in the rural area both in terms travel time and travel cost. 5. The coefficient of the region variable was insignificant in the regression model which controlled the supply factor only. However, utiliz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urban areas if the model included predisposing factors and need factors in addition to the supply factor.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as rural people have greater medical needs.

  • PDF

농촌보건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한 제도 개선방안 (Policy Measures for Improving Health Care Services in Rural Areas)

  • 문옥륜;이규식;박재용;고대하;이기효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6권2호
    • /
    • pp.97-119
    • /
    • 1991
  • 본 연구는 농촌지역의 보건의료수준이 의료자원의 양적, 질적 격차와 의료이용과 의료접근도 및 건강수준의 면 등에서 도시지역보다 낙후되어 있다는 사실을 각종 통계지표를 이용하여 논증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격차를 빚은 농촌보건사업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농촌보건사업의 조직, 인력, 시설 및 장비, 재원 및 그리고 관리라는 5가지 부문으로 나누어서 모색해 보았는데 구체적으로는 첫째, 농촌보건 인력의 자질향상과 적정배치방안의 수립, 둘째, 농촌보건인력의 생산성 증대, 셋째, 보건소 및 지소의 운영개선, 넷째, 취약지 민간병원의 운영 개선, 다섯째, 사회, 경제여건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보건사업의 개발, 여섯째, 통합적인 보건의료인력관리 전담기관의 설립 등의 정책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 PDF

장기요양수급 대상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이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munication with a Guardian of a Recipient of a Long-term Care Program on Job Satisfaction of Care Helpers)

  • 이용재;강태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56-165
    • /
    • 2014
  • 본 연구는 재가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가 요양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보호자와의 관계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수급노인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이 요양보호사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요양보호사의 근무여건개선에 근거자료로 삼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들은 하루 4시간 근무하는 계약직으로서 급여가 적은 경우에 직무만족도가 높고, 보호자와의 의사소통도 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보호사들의 대다수가 가족요양을 목적으로 자격을 취득하였고, 특정 기관에 귀속되기 보다는 유연하게 근무하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둘째, 수급노인 보호자가 남성으로 배우자 혹은 자녀인 경우, 연령이 높은 경우, 보호자로부터 부당한 요구를 받지 않는 경우에 직무만족도가 높고, 의사소통이 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보호사의 대부분이 법규에 규정된 역할이 아닌 과도한 가사지원을 보호자와 대수급자로부터 요청을 받기 때문이다. 셋째, 수급노인 보호자와 의사소통이 잘되어 관계가 좋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요양보호사 직무만족에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이 중요한 만큼, 수급노인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는 의식교육, 요양보호사를 위한 의사소통 방법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아울러 요양보호사와 보호자가 친밀감과 의사소통을 잘할 수 있도록 요양보호사와 보호자 사이의 관계를 규정한 업무매뉴얼도 마련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일부 지역사회 노인의 구강보건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oral health education for the elderly in some communities)

  • 김영;이은주;김민경;임영미;신연주;정정옥;윤혜정;이경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921-932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obtain necessary source data for development of oral health improvement and promo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by investigating the actual situations of oral health education related experience and needs that senior citizens had in Korea. Methods : In this study, convenience sampling was conducted in 430 senior citizens aged 65 years who lived in Seoul and Gyeonggi-do in Korea, for about six months from December 2011 to May 2012. For data collection,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Community-based senior citizens' welfare facilities and centres, as well as nearby churches were visited to inform them of the information on this study. Then, the senior citizen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were given the questionnaire sheets. Excluding 33 copies of inadequately completed questionnaire sheets, 397 copies (92.3% of the enti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Results : 1. In terms of the experience with oral health education, the number of elderly respondents who have not received oral health education was 202 (50.9%), whereas the number of those who have received oral health education was 195 (49.1%), which indicates that the latter shows a slightly higher proportion. 2. Examining the necessity for oral health education, the overall mean was 3.67 points based on 5 points as full marks, which suggests that senior citizens have high awareness of the necessity for oral health education. 3. Regarding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oral health education, the number of those who answered that if any opportunity to receive oral health education is given, they would be willing to receive such the education was 211 (53.1%). Conclusions : Based up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we conclude that it is required to develop more systematic and sustained, life-long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at the levels of senior citizen's welfare facilities and centres, in order to guide senior citizens to desirable oral health care practice.

경증치매노인 노인복지시설의 이용행태에 관한 융합연구: 기억학교 이용자만족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age Behavior of Elderly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with Moderate Dementia: Focusing on Satisfaction with Memory School Users)

  • 안대영;서경도;최인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353-361
    • /
    • 2017
  • 본 연구는 경증치매노인을 위한 사회복지시설인 기억학교에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와 프로그램에 대한 이용자와 보호자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기억학교의 필요성과 효과성을 확인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대구시에서 지정 설치한 기억학교 이용자와 보호자 363명을 대상으로 기억학교 이용 만족도 및 태도에 대해 조사를 하였다. 분석결과 기억학교의 이용이 이용자에게 매우 높은 수준의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동시에 보호자의 부양부담 감소에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의미 있음이 드러났다. 이를 통해 기억학교가 시설의 설치목적에 적절히 부합하는 효과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기억학교의 프로그램 수준, 서비스의 종류 등과 향후 지속성에 대한 만족도 정도가 90% 이상의 상당히 높은 결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경증치매노인을 위한 사회복지적 대응에 대한, 그리고 이를 위해 기억학교에 대한 기초자료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의료보험 고액진료비 환자의 특성연구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High Cost Patients in the Regional Medical Insurance Program)

  • 문옥륜;강선희;이은표;좌용권;이현실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3-83
    • /
    • 1993
  • A small number of high cost patients usually spend a larger proportion of scarce health resources. Korea is no exception. Unde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12% of the insured persons have consumed approximately half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expenditur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gh cost patient group, if we would like to reduce them. This study has defined high cost patients as those who have spent one and half million won and over per 6 months. The study reveals that high cost users are those who have a longer length of stays(LOS), 40days of LOS in the 6 months, have multiple admissions, 2 to 3 admissions per 6 months and are the elderly patients. They have spent 814.126won per on the average, and commonly suffered from malignant neoplasms, circulatory diseases, fracture, diabetes mellitus, etc. Unlike the case of western developed countries, early readmissions are not the major causes of high cost spending in Korea. Undoubtedly, a lengthy admission is the main cause of large spending. Health policies should vigorously be explored to respond appropriately. There are evidences that hospital beds are often misused. As the Korean health care system is lacking in a mechanism of patient evaluation under the fee-for-service remuneration system, an idea of progressive patient care needs to be tested. The Goverment should set up health policy to diversify the role of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encourage people to establish them.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large medical bills necessary for formulating the health policy on cost containment.

  • PDF

노인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이 조직의 맥락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태도와 조직풍토의 이중매개효과 (A Study on the Impact of Caregivers' Job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Contextual Performance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 윤일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675-681
    • /
    • 2024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 시설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과 조직의 맥락적 성과에 관한 매개효과를 실증 검증한 연구로서 직무태도, 조직풍토의 이중매개효과를 실증분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노인장기요양 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2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한 자료 분석은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가 나왔다. 먼저,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 직무태도, 조직풍토, 맥락적 성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과 맥락적 성과 사이에 직무태도, 조직풍토는 이중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과 맥락적성과 사이에 직무태도와 조직풍토는 유의한 매개효과 경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를 바탕으로 요양보호사의 직무성과를 향상할 수 있는 심리적인 자발적인 직무역량 방안 마련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현실화된 과제 지향 프로그램이 노인의 균형에 미치는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and Task-Oriented Programs of Balance for the Elderly)

  • 김진주;신선정;안슬기;이은별;조한울;백영림;차정진;이향숙;노종수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33-46
    • /
    • 2013
  • 목적 :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현실화된 과제 지향 프로그램이 노인의 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12명의 건강한 노인을 대상으로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현실화된 과제 지향 프로그램을 각각 6주간 주 2회씩 실시하였다. 균형 능력 변화를 위해 버그 균형 척도(Berg Balance Scale: BBS), 이동 능력검사(Timed Up and Go: TUG), 한 발 서기 검사(One-Legged Stance Test: OLST), 5회 반복 앉았다 일어서기 검사(5-Repetition Sit-To-Stand Test: 5R-STS 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 분석결과 프로그램 전 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하지만 세 집단 간 비교에서는 버그 균형 척도, 한 발 서기 검사 중 눈 뜨고 좌, 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었으며 사후 검정결과 눈 뜨고 검사 - 좌에서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현실화된 과제 지향 프로그램 간에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결론 : 현실화된 과제 지향 프로그램은 노인의 균형 능력 향상에 좀 더 긍정적이었으며 임상 및 지역사회에서 좀 더 쉽게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PDF

요양시설의 조직구성원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the impact on job satisfaction in the care facility of the empowerment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 김창태;곽경자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1권4호
    • /
    • pp.57-82
    • /
    • 2012
  • 최근 우리나라 의료복지 분야는 인구의 고령화, 만성질환의 증가, 교통사고, 각종 산업재해, 약물 오 남용, 의학의 발달, 국가복지재정의 악화 등 다양한 환경변화에 둘러싸여 있으며, 새로운 형태의 의료복지와 관련된 새롭고 다양한 서비스 개발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조만복, 2010). 국가의 경제적 수준이 높아질수록 사회복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증가하는 추세이나 복지에 대한 국가의 역할 축소와 사회복지정책에 민간참여의 확대 등 사회복지 여건의 변화는 요양시설 사회복지사들에게 시설서비스의 효과성과 효율성 제고를 위해 다양한 새로운 지식과 기술 습득, 그리고 스스로 최고의 성과를 달성하고자 노력하는 정신자세의 정립을 요구하고 있다. 요양시설에서 서비스 제공자인 사회복지사는 시설클라이언트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서비스의 효과성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양질의 서비스 제공이라는 중요한 책무성을 지니는 장애인 및 노인요양시설은 조직 및 직무환경에 있어서 직원개발 기회의 부족, 조직보상체계의 미흡, 조직의 폐쇄성, 직원자율성의 결여, 전문성의 부족 등의 다양한 문제를 경험하고 있다(이문휘, 2007; 신현석, 2006; 박정양, 2003; 김철용, 2009). 본 연구는 실천현장에서 요양시설조직 내에서 요양시설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 영향요인인 직무의 특성, 조직의 특성 요인에 대한 인식과 임파워먼트 수준 그리고 직무만족도에 관해서 알아보고 이러한 변인들이 사회인구학적 특성 변인별로 차이가 있는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요양시설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직무의 특성, 조직의 특성 그리고 임파워먼트 수준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