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nd attachment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4초

레스토랑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이 브랜드태도, 브랜드애착이 브랜드충성도간의 관계 (A study on the Effect of Consumer Lifestyle on Brand Attitude, Brand Attachment influence upon Brand Loyalty)

  • 서경도;이정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185-192
    • /
    • 2016
  •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라이프스타일, 브랜드태도, 브랜드애착, 행동유형에 따른 관계를 파악하고 하고자 하였다. 지역의 외식업체의 이용경험이 있는 고객을 모집단으로 편의표본추출 하였고 광주지역 외식업체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라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라이프스타일과 브랜드태도간의 관계는 라이프스타일은 개인적인 성향과 습관적인 행동으로서 브랜드 태도인 인지, 편안함, 친숙한 특징들은 라이프스타일의 유형과 상관없이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둘째, 라이프스타일과 애착간의 관계는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은 브랜드 애착이 현실추구형, 가치지향형, 유행추구형 순으로 유의한 관계가 형성이 되었으나 사교지향성은 브랜드애착에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지 않았다. 셋째, 고객의 브랜드태도와 브랜드충성도 관계와 고객의 브랜드애착과 브랜드충성도간의 영향관계에 있어 유의한 관계가 형성이 되었다.

The Role of Self-Construal and Emotionsin Younger Consumers' Commitment to Luxury Brands

  • Hwang, Ji-Young;Kandampully, Jay
    • 복식문화연구
    • /
    • 제20권4호
    • /
    • pp.604-615
    • /
    • 2012
  • Despite the increasing recognition of the value of emotions and younger consumers in luxury market segments, little research has focused on the role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emotions play in younger consumers' commitment to luxury brands. Drawing on the identity-motivation model and the idea of self-construal, this study identifies the contributing factors of younger consumers' commitment to luxury fashion brands.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consumer characteristics (i.e., self-construal), the self-expressiveness of brands, and emotional factors (i.e., brand love and brand attachment) in developing consumer-brand relationships. The proposed model was tested with college students in the U.S., which supplied a representative group of younger consumers of luxury fashion brand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web-based surveys and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who were characterized with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had positive perceptions of self-expressive luxury fashion brands. Furthermore, the perception of self-expressive brands promotes the consumers' brand love of and brand attachmentto luxury fashion brands. Also, while both improved brand commitment, brand attachment had a greater impact on brand commitment than brand lov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identifying driving forces of younger consumers' brand commitment. It also provides managerial implications for luxury fashion brands.

관광목적지의 브랜드자산, 자아일치성, 애착 및 행동의도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Brand Equity, Corporate personality, Attachment and Consumer behavior)

  • 서경도;이정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313-320
    • /
    • 2013
  • 본 연구에서 관광목적지의 브랜드자산과 자아일치성간에 유의한 관계와 브랜드자산이 애착과 행동의도에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했다. 첫째, 관광목적지의 브랜드자산은 관광객 자아일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의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브랜드자산은 자아일치성에 이미지와 충성도만이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관광목적지의 자아일치성은 관광객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아일치성은 애착에 대하여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관광목적지의 애착은 관광객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애착은 행동의도에 대하여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브랜드 체험 및 개성이 소비자-브랜드 관계, 브랜드 애착,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외 브랜드 커피전문점 비교 - (The Effects of Brand Experience and Personality on Consumer-Brand Relationships, Attachment, and Loyalty - A Comparison of Domestic and Global Brand Coffee Shops -)

  • 홍주영;김성수;한지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231-251
    • /
    • 2016
  • 본 연구는 커피전문접 브랜드 체험 및 개성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브랜드 애착도,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커피전문점 국내 브랜드와 국외 브랜드를 비교하여 커피전문점 브랜드의 성공적인 마케팅전략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과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자기기입방식을 활용하였으며, 서울, 경기 지역의 20~40대의 커피전문점을 이용해 본 소비자를 대상으로 2014년 8월 1일부터 8월 30일까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 500부를 배포하여 495부를 회수했으며 그 중 493부만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커피전문점 브랜드 체험 중 인지적 체험이 감각적 감성 체험에 비해 소비자-브랜드 관계에 더욱 크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개성 중 세련이 흥미에 비해 소비자-브랜드 관계에 더욱 크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 체험 중 인지적 체험만이 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감각적 감성 체험은 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 개성 요인 중 흥미만이 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세련은 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소비자-브랜드 관계가 브랜드 애착에 비해 브랜드 충성도에 더욱 크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국내 브랜드와 국외 브랜드를 비교분석한 결과, 국내 브랜드의 경우, 브랜드 개성 요인 중 세련만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외 브랜드 경우, 브랜드 개성 요인 모두 소비자-브랜드 관계에 전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험형 패션 매장에서의 쇼핑몰입이 브랜드 옹호행동에 미치는 영향 - 감정반응과 경험적 쇼핑가치 및 점포애착의 순차적 다중매개 효과 검증 - (Effects of Shopping Flow in Experiential Fashion Stores on Brand Advocacy - Multi-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Response, Experimental Shopping Value, and Store Attachment -)

  • 최미영;김우빈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31-442
    • /
    • 2022
  • Despite the rapid reorganization of the center of consumption online, the fashion industry is still strengthening brand marketing using offline stor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shopping flow by three mediators that influence the e-word of mouth(e-WOM) as a marketing performance variable in recent marketing.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line for 241 women in their 20s and 30s. The significance of multi-mediated pathways was verified using Process 3.5 Model 6. The results for multiple mediation paths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 effect of shopping flow on brand advocacy was not significant. Second, analysis of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via simple mediation found that the path mediated by shopping value in the path from the shopping flow to brand advocacy was significant. Third, analysis of the indirect effect by double mediation revealed all thre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shopping flow on brand advocacy were significant(emotional response and shopping value, emotional response and store attachment, shopping value and store attachment). Fourth, analysis of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by sequential multiple mediation established the indirect effect leading to emotional response, shopping value, and store attachment was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operation of an experiential fashion store is not just a means for sales, but a communication tool that improves and promotes the brand advocacy by providing brand experience in a store.

Linking Emotional Brand Attachment and Sales Promotion to Post-Purchase Cognitive Dissonance: The Mediating Role of Impulse Buying Behavior

  • AKBAR, Muhammad Imad Ud Din;AHMAD, Bilal;ASIF, Mirza Huzaifa;SIDDIQUI, Shahid Ali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1호
    • /
    • pp.367-379
    • /
    • 2020
  •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better understanding of consumer's post-purchase psychological state by examining the influence of sales promotion and emotional brand attachment on post-purchase cognitive dissonance, taking into account the mediating role of impulse buying behavior. The current study addresses several gaps in literature. Firstly, it is hard to find the direct impact of sales promotion and emotional brand attachment on post-purchase cognitive dissonance. Secondly,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 of impulse buying behavior in consumer research. A sample of 256 respondents was collected from Pakistani retail consumers. The statistical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sales promo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mpulse buying behavior and post-purchase cognitive dissonance. Furthermore, results indicate that emotional brand attachment has a negative influence on impulse buying behavior but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post-purchase cognitive dissonance. Meanwhile, impulse buying behavior is a potential mediator between sales promotion, emotional brand attachment, and post-purchase cognitive dissonance relationships. The moderating role of Gender describes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ales promotion and post-purchase cognitive dissonance will be stronger for women as compared to men at a higher level of sales promotion.

A Study on the Influence of Mobile Music Application Users' Social Experience on Purchasing Inten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Attachment

  • Li, Jingr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7호
    • /
    • pp.53-60
    • /
    • 2019
  • With the gradual in-depth use of social elements, music social networking has attracted more and more attention and discussion in the industry. Therefore, starting from the user experience theory and purchase intention theory, this paper explores the mechanism of user social experience and purchase intention in mobile music applications, and adds the mediating role of brand attachment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search.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user experience measurement of social network and evaluation report of mobile music applications in the industry, and combined with in-depth interviews of users, whether the user experience of mobile music applications, which pays more and more attention to social elements, has an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or not? What specific social experience can help form purchase intention? Are mediating variables at work? In practice, a total of 398 formal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o obtain first-hand data. Later,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test were carried out successively to verify the hypothe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mpirical research, firstly, content experience, atmosphere experience and interactive experience in users' social experience of mobile music application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brand attachment, secondly, atmosphere experienc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and thirdly, brand attachme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users' purchase intention. Fourthly, brand attachment plays an intermediary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atmosphere experience and content experience and purchase intent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conclusions, the author puts forward corresponding marketing strategy Suggestions, which have certain guiding significance for mobile music applications to improve users' purchase intention, and have certain reference significance for the development of mobile music applications and the expansion of business model.

제품 편익과 소비자-브랜드 관계 및 브랜드 애착, 구전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Benefit,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Brand Attachment)

  • 임재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9권1호
    • /
    • pp.117-144
    • /
    • 2010
  • 본 연구는 소비자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수로 기능적 편익, 정서적 편익, 자아표현적 편익이 어떠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이러한 소비자-브랜드 관계가 브랜드 애착과 구전에 어떠한 구조적 관계를 나타내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중에서 두 경로 간 크기를 통계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위계적 카이스퀘어 분석(hierarchical chi-squal analysis)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기능적 편익보다는 정서적 편익이 소비자-브랜드 관계 형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우세하였다. 또한 소비자-브랜드 관계 형성에 있어 정서적 편익과 자아표현적 편익은 영향력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즉, 정서적 편익과 기능적 편익 모두 소비자-브랜드 관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능적 편익보다는 자아표현적 편익이 소비자-브랜드 관계 형성에 우세한 역할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브랜드 관계 형성정도가 높을수록 브랜드 애착과 구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를 통해 보면 소비자-브랜드 관계 형성을 위해서는 기능적 편익보다는 정서적 편익과 자아표현적 편익을 통해 브랜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가치 편익을 통해 형성된 소비자-브랜드 관계는 브랜드에 대한 사랑과 같은 애착 정도가 깊어질 뿐 아니라 자발적인 구전을 통해 긍정적이고 장기적인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portswear brand authentic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brand attachment, repurchase intent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 Mi-Jeong, Kim;Kyung-Won, B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190-197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sumer's authenticity perception on brand re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through customer satisfaction and brand attachment. For this purpos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stablish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The survey was conducted offline and online, and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A total of 267 questionnaires were sampled, and 255 questionnaires were used as final valid samples, except for 12 questionnaires with errors. For the final data, SPSS Win ver. 23.0 and AMOS 20.0 statistical programs were used to analyze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verify the research model, and confir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suitability of the research model.As a result, all six hypotheses were adopt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was observed in the research model.

스포츠브랜드 기업의 브랜드 개성과 스포츠 스타 개성이 브랜드 애착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rand Personality and Sports Star Personality on Brand Attachment and Brand Loyalty)

  • 김재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92-103
    • /
    • 2017
  • 본 연구는 스포츠브랜드와 스포츠 스타의 개성이 브랜드 애착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과 차이를 비교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경상 지역의 대학교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16부를 본 연구의 유효표본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으로는 SPSS 18.0 version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대응표본 t-test,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포츠브랜드 개성 중 흥미, 세련, 강인 순으로 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스포츠브랜드 개성 중 흥미, 세련, 강인 순으로 행동적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강인, 흥미, 능력 순으로 태도적 충성도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스포츠 스타 개성 중 흥미, 신뢰, 세련 순으로 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스포츠 스타 개성 중 흥미, 신뢰, 능력 순으로 행동적, 태도적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스포츠브랜드 개성과 스포츠 스타 개성의 차이검증을 분석한 결과 모든 요인에서 평균값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