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rder city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2초

El Ser Fronterizo como un yo Fracturado en Instrucciones para Cruzar la Frontera de Luis Humberto Crosthwaite

  • Michel, Gerardo Gomez
    • 이베로아메리카
    • /
    • 제23권2호
    • /
    • pp.179-208
    • /
    • 2021
  • Luis Humberto Crosthwaite, as a witness to the accelerated changes in Tijuana since the 80's, has built a chronicle of the city based on nostalgia, fantasy, popular language, music, and criticism of the inequality between both sides of the border, but above all, on humour and irony. Among the gallery of characters that populate his stories, the common resident of the border has a special place. Here we are not talking about the passing person or newcomers, but of those who have shaped their social and personal identity from a long every day relationship with the city and the borderline, which makes up what we will call the border-being. In this work, we dialogue with the psychoanalytic concept of border personality or borderline disorder, which refers in a general way to subjects with a deep fracture between the self and the being, which prompts a psychotic search to reconcile this division. In addition, we will engage in an interdisciplinary dialogue to analyse how Crosthwaite characterises the fracture of the border-subjects in some of the stories of the book Instrucciones para cruzar la frontera, to point out the psychosis caused by the sociocultural tensions of life in a border city like Tijuana.

월경적 상호작용과 북중 접경도시의 발전: 중국 랴오닝성 단둥시를 중심으로 (Cross-border Interaction and Cross-border City's Development in North Korea-China Borderland: A Case study of Dandong, Liaoning, China)

  • 조영국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07-330
    • /
    • 2017
  • 본 연구는 다양한 문헌자료, 현지인터뷰 그리고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북중 교역의 중심지인 단둥을 대상으로 월경적 상호작용에서 나타난 특징을 분석하고 북중 접경도시 단둥의 성격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접경도시 단둥에서 이루어지는 월경적 상호작용의 구체적 실태를 분석하여 주체들의 지대추구적 행위, 비공식적 또는 비시장적 기제에 의한 월경적 상호작용이 지배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는 통제의 수준이 높은 국경의 성격 때문에 비롯된 것인데, 본 연구에서는 중국 정부 및 지방정부의 정책들이 이와 같은 국경의 성격을 형성하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흥변부민행동규획(??富民行???)은 그 대표적인 예인데, 정책의 명칭에도 불구하고 그 기본전략은 변경지역의 안정을 통한 영토 보전에 두고 있다. 이처럼 북한의 폐쇄성, UN제재 요인 이외에도 영토 보전을 우선시하는 중국 정부의 기본 입장으로 인해 북중접경지역은 교역 이외에 높은 수준의 분업체계 발전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기능지역으로서 접경지역 발전을 기대하기는 용이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필자는 최근의 북중교역의 발전을 계기로 북중교역의 중심지인 단둥에 대해 접경도시적 발전이 전개되고 있다는 일부의 견해는 지나친 확대해석이라고 주장하고자 한다. 필자는 현재까지 단둥은 북한과 중국이 만나는 위치적 장점만이 활용되는 변경도시(border city)에 불과하고 다양한 그리고 높은 수준의 월경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접경도시(cross border city)로 간주하기는 어렵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Drawing of Concentric Zone Border Line using Landsat TM Images

  • Sato, Kiyotada;Yokoyama, Ryuz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13-14
    • /
    • 2003
  • Burgess?s concentric zone model is a famous theory in the geography of city. However, the zone border line drawing method was uncertain. We have developed the method of drawing the border using land use images.

  • PDF

인천광역시 접경지역 토지이용규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and Use Regulation on Border Area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 정진원;윤현위;이종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255-268
    • /
    • 2016
  • 인천시 강화군 및 옹진군은 접경지역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군사규제 등의 상이한 토지이용규제를 적용받고 있으며, 행정구역상 수도권이라는 이유로 각종 토지이용규제를 중첩적으로 적용받으면서 경제적 낙후와 쇠퇴가 심화된 지역으로 전락하였다. 접경지역을 위한 접경지역지원특별법, 특수상황지역 개발사업 등 상이한 지원 또한 실시되고 있으나 지원사업의 비현실성, 법령의 위계 등의 문제로 여전히 규제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천시 접경지역이 갖고 있는 지역적 특성, 즉 접경지역으로서 상이한 토지이용규제에 대한 중첩규제를 이제는 완화해야할 시점이라고 판단하고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인천시 접경지역에 대한 군사규제의 유연한 해제 및 운영, 수도권정비계획법 규제완화, 문화재 보호구역 등의 완화 등을 통한 전반적인 토지이용규제의 완화가 요구되며, 특히 인천시 접경지역은 접경지역의 특수성과 수도권과의 지역적, 문화적 여건이 상이함을 인정하여 수도권 범위에서 제외시켜 중첩규제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 PDF

The Impact of Applying Technical Equipment on the Quality of e-Learning at Northern Border University

  • Alenezi, Dr. Ahmed Maaj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2호
    • /
    • pp.261-271
    • /
    • 2022
  •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application of technical equipment for infrastructure to achieve the quality of e-learning for students in the faculties at Northern Border University, in Arar city. The study applied the analytical survey study method.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the researcher prepared a study tool which is a questionnaire to measure the impact o of applying technical instrument for the infrastructure to achieve the quality of e-learning for students. The study sample size reached (218) students from both groups from the university faculties in Arar city.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a tendency in the study sample's responses to the availability of the majority of the questionnaire criteria significantly. This indicates the positive impact of the application of technical equipment on the infrastructure to achieve the application quality of e-learning at Northern Border University, the study recommended the following: The need to pay attention to measuring the quality of electronic courses every two years in addition to the need to adjust the quality standards of e-content provided through e-learning platforms. Also, there is the gradual application of e-learning at the university in addition to spreading the culture of e-learning quality among all groups of the university community. Also, it is necessary to direct them towards benefiting from the advantages of e-learning that observes quality standards.

신라왕경의 경관형식과 공간 범역의 해석 -경주시 용강동 원지 발굴을 중심으로- (An Interpretation on Landscape Forms and Spatial Scope of the Capital City of Silla Dynasty -Some Clues From Excavation of Yonggang-Dong Pond Site of Gyongju-)

  • 조세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8-75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fine the spatial scope and landscape structure of the capital city of Shilla Dynasty. We have tried to analyze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the location and landscape form of the Yonggang-Dong pond site which was assumed a part of a king's place, and had the important implicitness in delineating the spatial scope of capital city of Shilla Dynasty. The research took the theory of landscape cognition as a tool, and processed with the book review related simultaneously.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1) It has been almost conformed that the Yonggang-Dong Pond Site was a part of the North Palace of Shilla Dynasty, and it took the form of fully enclosed by the forest, such as the names of Imjungsu and Gosungsu, and so on. This fact has leaded to the special landscape form of 'Forest with Palace' that is an similar pattern of Forest with Tumulus, Forest having Well, Forest having Well, Forest having Mountain. Each of them is symbolizing the place of holiness in the Shilla Dynasty. 2) The Yonggang-Dong Pond site and its surrounding forests made them together be the north border of the Capital City of Shilla Dynasty. This fact made it possible to consider the form of landscape of the Najung Forest with Posugjung Pavilion as the same on which was on the southern border of the city. 3) The above mentioned facts lead to clues that the border of the capital city of Shilla Dynasty does mean that it was not the mere functional one, but symbolic one. Thu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spatial scope of the capital city of Shilla Dynasty should include not only the area of block system, but also the surrounding natural area of mountains, forests, and so on, including the artificial elements of palace and pavilion. 4) This type of borders with the natural elements show basically the different type and function. We could find out some examples from China's and Japan under the same block systems and in the same era. It should be more identifiable in the form and the meaning of landscape of the capital city of Silla Dynasty in ancient Korea.

  • PDF

접경지역 변화의 관계론적 정치지리학: 북한-중국 접경지역 단둥을 중심으로 (A Relational Approach to Political Geography of Border Dynamics: Case study of North Korea-China Border Region Dandong, China)

  • 지상현;정수열;김민호;이승철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87-306
    • /
    • 2017
  • 1990년대 이후 정치지리학자들은 경계의 종류와 기능에 초점을 맞추었던 형태론적 경계연구에서 벗어나 접경지역이 구성되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이러한 변화된 연구경향은, 경계를 영토성(territoriality)의 발현으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경계와 접경지역을 다양한 관계들이 중첩되고 경합되는 관계론적(relational) 시각으로 이해하고 있다. 또한 접경지역을 구성하는 다차원의 행위주체와 접경지역 고유의 역사 문화적 과정을 강조하는 시각이 강조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최근의 논의를 기반으로 북한-중국 접경지역인 단둥을 사례로 하여 접경지역이 다양한 행위주체와 이들의 전략에 의해 어떻게 구성되어가는가를 고찰하고 있다.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에 따라 여러 차례의 경제제재가 결의되었고 시행되고 있으며, 이는 접경지역에 미치는 다양한 스케일의 행위주체의 전략이 경합되는 "관계로서의 접경"을 이해하기 적절한 사례가 된다. 또한 본 논문은 지정학 연구의 한계로 지적되었던 담론분석 위주의 설명에서 벗어나 지역이 구성되는 과정과 이로 인해 구축되는 물질성의 특성에 대한 사례연구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단동, 중국, 북한의 경제 및 무역협력에 관한 연구 (Economy and Trade Cooperation between Dandong, China and D. P. R. Korea)

  • Li, Tie-Li;Jiang, Huai-Yu;Gao, Feng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551-558
    • /
    • 2002
  • 요동반도 경제 개방 지역의 동쪽 길계에 위치한 단동시(Dandong city)는 한반도 중국, 유라시아 대륙을 연결하는 주요한 관문이다. 단동시는 중국과 북한의 경제 및 무역에서 항상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는데, 최근 중국의 개방 정책이 수행되고 동북아 지역에서 경제 협력이 강화되면서 더욱 중요성이 커졌다. 한반도에서 평화가 정착되고 북한의 개방이 진행됨에 따라 단동과 북한의 경제 및 무역 협력이 보다 큰 진전을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리아 안살두아의 『경계지대/국경』: 경계에서 경계지대로 (Gloria Anzaldúa's Borderlands/La Frontera: From the Border to the Borderland)

  • 우석균
    • 비교문화연구
    • /
    • 제46권
    • /
    • pp.63-84
    • /
    • 2017
  • 이 논문은 글로리아 안살두아의 "경계지대/국경"을 통해 저자의 경계지대 기획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미국의 지리적 상상력의 강력한 흐름 중 하나는 '산위에 있는 동네'라는 개념을 기원으로 하고 있다. 이 개념은 미국 역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가령, 미국의 국제 정치에서 고립주의 정책의 시발점이 되었다. 그러나 그것은 완전한 고립주의가 아니라 필요에 따라 경계선 긋기와 경계선 넘기를 선택하는 경계선 권력의 행사를 의미한다. 안살두아의 경계지대 기획은 경계라는 분할선을 경계지대라는 공간으로 바꾸자는 제안이다. 이는 경계선 권력에 대한 도전이요, 고립주의를 낳은 지리적 상상력에 대한 도전이고, 궁극적으로는 역사 전쟁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 역사 전쟁은 단지 치카노인들의 복원을 겨냥한 민족주의적 전쟁이 아니라, 미국 사회의 미래를 가늠하는 현재적 성격을 띤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