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ueberries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초

Blueberry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Blueberry)

  • 김태춘;배강순;김일광;천현자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79-183
    • /
    • 2005
  • Recent interest in the possible protective effects of dietary antioxidant compounds against human degenerative disease has prompted investigation of foods such as blueberries, which have a high antioxidant capacit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from blueberry. Blueberry was extracted with methanol and then fractionated with n-hexane, EtOAc, BuOH and water to get active fractions. And their antioxidant capacities in each fraction were determined by using the DPPH and FRAP assay, and tyrosinase inhibitor. Ethyl acetate fraction of blueberry exhibited antioxidant capacity.

Occurrence of Anthracnose on Highbush Blueberry Caused by Colletotrichum Species in Korea

  • Kim, Wan-Gyu;Hong, Sung-Kee;Choi, Hyo-Won;Lee, Young-Kee
    • Mycobiology
    • /
    • 제37권4호
    • /
    • pp.310-312
    • /
    • 2009
  • A total of 82 isolates of Colletotrichum species were obtained from anthracnose symptoms of highbush blueberry trees grown in the Gochang area of Korea during a disease survey in 2008. Out of the isolates, 75 were identified as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and the others as C. acutatum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wenty six of C. gloeosporioides isolates produced their teleomorph Glomerella cingulata in PDA culture. Three isolates of each C. gloeosporioides and C. acutatum caused anthracnose symptoms on the leaves by artificial inoculation, which were similar to what was observed in the orchards. Previously in Korea, only C. gloeosporioides has been reported as causing anthracnose in blueberries. This is the first report that C. acutatum causes anthracnose in the highbush blueberry in Korea.

국내산과 미국산 블루베리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Physicochemic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nd American blueberries)

  • 문혜경;이수원;김종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24-531
    • /
    • 2013
  • 국내산 블루베리와 미국산 블루베리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과 당도를 분석한 결과 미국산과 국내산 값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pH는 국내산 4.49, 미국산 3.46으로 낮게 나타내었으며 색도는 L, a, b 값 모두 미국산이 국내산 보다 높게 나타났다.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국내산이 205.29 mg%, 미국산이 182.87 mg%로 나타났고, DPPH radical 소거 활성능은 국내산이 93.48%, 미국산이 84.32%를 나타내었다. 유리당 함량은 국내산은 fructose 2,514.10 mg%, glucose 2,315.81 mg%, sucrose 69.01 mg%가 함유되어 있었고, 미국산은 fructose 2,106.06 mg%와 glucose 1,825.20 mg%만이 함유되어 있었다. 유기산 함량에서 국내산은 lactic acid 3.65 mg%와 tartaric acid 0.30 mg%가 함유되어 있었고, 미국산은 tartaric acid 2.51 mg%, succinic acid 2.47 mg%, malic acid 1.34 mg%, oxalic acid 0.24 mg%, lactic acid 0.16 mg%가 함유되어 있었다. 유리아미노산 40종 중 국내산 12종, 미국산 9종의 유리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었고, 총함량은 국내산 3,90.74 mg/100g, 미국산 295.61 mg/100g 으로 미국산에 비해 국내산이 32% 더 많이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함량은 미국산은 2,897.08 mg%로 국내산 2,783.51 mg%보다 조금 높았으며 oleic acid>linoleic aicd>palmitic acid 순을 나타났다. 무기질 P, K, Ca 함량에서 국내산은 각각 728.903 mg%, 460.281 mg%, 157.527 mg%, 미국산은 6,948.421 mg%, 491.750 mg%, 189.152 mg%로 나타났으며, P>K>Ca>Mg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국내산 블루베리가 유효 화학성분이나 생리활성적 특성이 미국산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멀칭 자재가 하이부쉬블루베리 생육 및 과실 특성에 미치는 영향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Highbush Blueberry by Mulching Materials)

  • 김수진;이동훈;허윤영;임동준;박서준;정성민;정경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09-221
    • /
    • 2020
  • 국내 하이부쉬블루베리의 대표 세 품종을 대상으로 멀칭 재료에 따라 토양 환경, 수체생육, 과실 특성 및 잡초 발생 등에 어떠한 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토양 온도는 우드칩 멀칭 처리구에서 변화폭이 가장 적었으며 CEC, 인산, 치환성 양이온 농도 또한 처리구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우드칩 처리구에서 줄기 수 증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톱밥, 왕겨, 부직포 순으로 나타났다. 총 신초 수는 흡지 수와 줄기 수와 마찬가지로 유기물 멀칭처리구와 부직포 처리구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유기물 멀칭 재료 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신초의 굵기는 처리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과실 특성을 조사한 결과 품종에 상관없이 우드칩 멀칭 처리구에서 과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 가용성고형물 함량, 산도, 경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확량은 품종에 상관없이 유기물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유기물 처리간에는 우드칩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주당 수확량은 Duke 3.6, Bluecrop 2.7, Elliott 품종의 경우 2.6 kg였다. 블루베리의 줄기 수와 수확량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r2 값이 0.8413으로 고도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과원에 우드칩으로 멀칭하는 것이 블루베리의 안정적인 생산과 환경친화적인 농업을 실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도입 블루베리의 생육기 및 형태적 특성에 의한 유연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 Based on Growth Period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Blueberry (Vaccinium spp.))

  • 김수진;정성민;허윤영;남종철;김세희;조강희;박정관;박서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1-109
    • /
    • 2017
  • 국내에서 주로 재배중인 28개 품종의 품종 식별을 위해 생육기 및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여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래빗아이 블루베리 품종인 'Austin', 'Brightwell', 'Powderblue', 'Southland', 'Tifblue'가 하이부쉬블루베리에 비해 수확 기간이 길고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꽃의 L/D율은 래빗아이 블루베리 품종인 'Austin', 'Brightwell', 'Powderblue', 'Tifblue'과 남부하이부쉬 블루베리인 'Brigitta' 품종의 경우 2.0 이상으로 나타나 수분에 불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블루베리 품종별 형태적 특성 결과를 군집 분석한 결과 블루베리의 생육 및 과실 의형태적 특성에 의해 크게 2개의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그룹 I은 래빗아이 블루베리 품종들이었으며 그룹 II는 하이부쉬 블루베리 품종들이었다. 따라서 생육기 및 형태적 특성만으로도 래빗아이 블루베리 품종을 식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하이부쉬블루베리 내 반수고, 북부, 남부 하이부쉬 블루베리의 구분은 되지 않았다.

한국의 주요 블루베리 품종의 항산화 활성 및 페놀화합물 함량 분석 (Antioxidant activity and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in fruits of mainly cultivated blueberries in Korea)

  • 권순은;안순영;윤해근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5권4호
    • /
    • pp.392-399
    • /
    • 2018
  • 블루베리 10품종의 과실특성으로는 과립중은 0.83 ~ 1.88 g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넬슨'이 가장 큰 과실을 결실하였으며 '블루골드'의 과실이 0.83 g으로 가장 작았다. 당도는 '시에라'에서 $16.6^{\circ}Brix$로 가장 높았고, $9.7-16.6^{\circ}Brix$를 나타내었다. 산함량은 '브리지타'에서 1.75%로 가장 높았고, '선라이즈'에서 0.94%로 가장 낮았다. 총 페놀 함량은 '노스블루'($23.75mg\;GAE{\cdot}g^{-1}\;FW$)에서 가장 높았고, '코빌'($17.15mg\;GAE{\cdot}g^{-1}\;FW$)에서 가장 낮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넬슨'($14.1mg\;QE{\cdot}g^{-1}\;FW$)에서 가장 높았고, '듀크'에서는 $10.1mg\;QE{\cdot}g^{-1}\;FW$으로 가장 낮았다. 블루베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3종류의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ABTS^+$ radical 소거능은 '란코카스'(82.2%), '블루골드'(79.6%), '넬슨'(77.8%) 등에서 높았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은 '란코카스'(76.0%)에서 가장 높았으나, hydroxy radical 소거능은 '넬슨'(73.0%)에서 가장 높았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활성 등의 특성을 수치화하여 다변량 해석을 수행한 결과, 'Bluegold', 'Nelson', 'Northblue', 'Rancocas'등의 품종이 기능성 특성이 가장 양호하여 블루베리 품종 육성을 위한 육종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블루베리로부터 분리된 Lactiplantibacillus argentratensis의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athogenic Bacteria of Lactiplantibacillus argentratensis Isolated from Blueberries)

  • ;김길하;;김완섭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41권4호
    • /
    • pp.191-202
    • /
    • 2023
  • 본 연구는 블루베리(Vaccinium)로부터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유산균은 호기와 혐기에서 모두 성장이 가능하였고, 그람염색에 의해 확인한 결과, 형태는 간상형이며, 그람 양성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균을 동정한 결과, L. argentoratensis와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이 균으로부터 배양 상징액을 분리하여 병원성균인 Salmonella와 Escherichia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시험에 이용된 Salmonella는 S. Enteritidis NCCP 16947, S. Typhimurium NCCP 16960 그리고 S. Thompson NCCP 11704로 L. argentoratensis의 배양 상징액은 이들의 성장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특히 배양 상징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항균활성은 증가하였다. 더욱이 E. coli strains(E. coli KCCM 11569, E. coli KCCM 11587, E. coli KCCM 11591, E. coli KCCM 11596, E. coli KCCM 11600)에 대한 항균활성도 Salmonella의 결과와 같이 농도가 높을수록 현저한 항균활성을 보여주었다. 항균물질이 열과 pH에 안정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산균 배양 상징액을 각각 65℃에서 30 min, 75℃에서 15 min, 85℃에서 10 min, 100℃에서 5 min의 조건으로 열처리한 후, 5% 첨가에 의해서 병원성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열처리전과 동일한 항균활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배양 상징액의 pH 3.73을 7.0으로 조정한 시험에서는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병원성균에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은 열에 안정하고 pH변화에는 불안정한 것을 보여주었다.

Antioxidative Changes of Blueberry Leaf Extracts in Emulsion-Type Sausage during In Vitro Digestion

  • Hur, Sun-Jin;Kim, Doo-Hwan;Chun, Se-Chul;Lee, Si-Kyu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89-695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 vitro human diges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blueberry leaf extracts (BLE) in emulsion-type sausages (ETS). Leaves from four cultivars of blueberries (Bluecrop, Bluegold, Duke, and Northland) collected from a wild blueberry farm were extracted with 80% ethanol. ETS were prepared with 0.2% BLE. The samples were then passed through an in vitro human digestion system which simulates the composition of the mouth, stomach, and small intestine juice. Only one phenolic compound (chlorogenic acid) was detected in the BLE. Northland BLE had appreciably higher amounts of chlorogenic acid than that of other BLE, both before and after in vitro human digestion. Antioxidant activity of any BLE was not influenced by in vitro human digestion, wherea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hlorogenic acid standard increased in response to in vitro human digestion in both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ferric-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In the present study,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BLE were not strongly influenced by in vitro human digestion,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depended on the chlorogenic acid content of ETS. Thus, compounds from blueberry leaves may have important applications in the future as natural antioxidants for meat products.

『조선(朝鮮)の특산(特産)』으로 보는 일제강점기 식품 특산물 현황 분석 (Analysis of Regional Food Specialities Status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rough 『Specialities of Joseon (朝鮮の特産)』)

  • 차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651-670
    • /
    • 2019
  •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food specialties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rough 『Specialities of Joseon (朝鮮の特産)』. The book recorded a total of 164 areas and 317 specialties, focusing on five railway lines and branch lines on the Gyeongbu, Honam, Gyeongui, Gyeongwon, and Hamgyeong. Among the specialities, 211 species were included, excluding overlapping ones. The food specialties accounted for 100 kinds in 159 regions or 47.4 percent of the specialties. There were 47 food specialties in 47 areas of the Gyeongbu Line, 21 food specialties in 20 areas of the Honam Line, 32 food specialties in 40 areas of the Gyeongui Line, 26 food specialties in 15 areas of the Gyeongwon Line, and 33 food specialties in 42 areas of the Hamgyeong Line. Among the specialties, the amount of fish and their workpiece was overwhelmingly the largest. Next came processed goods of fruits, grains, and vegetables. In modern factories, corn, tomatoes, blueberries, and sardines were made of processed goods. Factories have been constructed for glass noodles, sugar, and soju. Specialities and processed goods produced in each region were brought to Jap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olletotrichum spp. Agents of Anthracnose on Blueberry Leaves in Gangwon Province, Korea

  • Cho, Byung-Ju;Choi, Hyo-Won;Kim, DaeHo;Lee, JongKyu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7권2호
    • /
    • pp.154-162
    • /
    • 2021
  • Blueberry, which produces phenolic compounds, is one of the most popular fruits in Korea. During a survey on blueberry diseases, 16 Colletotrichum isolates were obtained from blueberry leaves in Chuncheon and Gosung, Kangwon province, Korea. Using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as Colletotrichum aenigma, C. fioriniae, C. fructicola, C. gloeosporioides, and C. nymphaeae. C. gloeosporioides was the most frequently isolated (11 isolates), and only one or two isolates of the other species were found. After inoculation with all isolates, those leaves and fruits with wounds easily developed anthracnose; whereas, fruits without wounds became infected but leaves without wounds were infected by only two of C. gloeosporioides. Typically, around seven fungicidal agents are used to control anthracnose on blueberries in Korea. Fluzinam and prochloraz manganese complex strongly (over than 80%) inhibited the growth of all Colletotrichum species, while dithianon and mancozeb only weakly (about 80% or less) inhibited their grow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