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ue stain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4초

천왕보심단(天王補心丹), 온담탕(溫膽湯), 귀비탕(歸脾湯)이 멜라토닌 수용체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ianwangbuxin-dan, Wendan-tang, Guipi-tang on the expression of MT1 and MT2 melatonin receptors in C6 glial cells)

  • 조윤송;김보경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3-123
    • /
    • 2010
  •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veral herbal prescriptions such as Tianwangbuxindan qu zhusha, Tianwangbuxindan, Wendantang, Guipitang on the level of $MT_1$ and $MT_2$ melatonin receptors in C6 glial cells. Methods : For this study, we exposed of C6 cells to several herbal prescriptions resulted in non-cytotoxic in various dose as measured by MTT assay, trypan blue count, morphology change and DAPI stain. Results : Tianwangbuxindan qu zhush and Tianwangbuxindan induced the levels of $MT_1$ melatonin receptor express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out altering the level of $MT_2$ melatonin receptor expression. However, the treatment with Wendantang, Guipitang don't effect of $MT_1$ and $MT_2$ melatonin receptor expression. Conclusions : This results suggest that Tianwangbuxindan can be a promising the regulation of melatonin receptor synthesis, and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to clarify the mechanism.

점액 유두상 상의세포종의 압착도말 세포학적 소견 - 1예 보고 - (Crush Cytologic Findings of Myxopapillary Ependymoma in Spinal Cord - A Case Report -)

  • 정수진;양영일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3-78
    • /
    • 1999
  • Myxopapillary ependymoma generally arise in the conus medullaris and filum terminale of adult spinal cord. These tumors are readily recognized due to unique histopathologic features, however, their cytologic features are not well described. When only a tiny sample is obtained, cytologic examination using crush preparation may be a useful diagnostic tool to help appropriate intraoperative diagnosis. We present the crush cytologic features of myxopapillary ependymoma arising in thoracic and lumbar spinal cord of a 13-year-old boy. The patient had complained of paraparesis and back pain for 1 month. The MRI image revealed a relatively well demarcated intramedullary mass in T11-L1 levels. Crush preparation for cytology were peformed by biopsy material. Crush cytologic findings revealed high cellularity and small sized branching papillary clusters on fibrillary or mucinous background. The tumor cells had uniform round or elongated nuclei. The cytoplasmic process of tumor cells were attached to the vascular wall. Between the tumor cells and vascular walls, the perivascular collar of globoid acellular stroma with metachromatic reaction on toluidin blue stain was noted. The crush preparation of myxopapillary ependymoma is considered as a simple and highly accurate diagnostic tool for differentiation from other intramedullary neoplasms of central nervous system.

  • PDF

족삼리 장기 자극이 흰쥐 위점막의 내분비세포 및 점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ngterm Acupuncture on the Endocrine Cells and Mucus of Gastric Mucosa In Rats)

  • 장경훈;김명동;이창현;유윤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1276-1280
    • /
    • 2003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upuncture at Zushanli (ST 36) in this study, gastric endocrine cells (G cell) by avidin-biotinylated complex (ABC) technique and histological examinations (HE; periodic acid schiff, PAS; alcian blue stain) of the stomach were perfomed at 1, 3, 6 weeks in normal rats. In other groups, omeprazole were fed for 1, 3, 6 weeks to compare with acupuncture effect. Acupuncture applied to the ST 36 acupoint and the administration of omeprazole increased G cell significantly at 1, 3, 6 weeks in time dependant manner. Furthermore, acupuncture applied to the other acupoint on GB 34 did not produce significant effect. When the common peronial nerve was dissected, acupuncture of ST 36 acupoint produced change of G cell. These data suggest that acupuncture at ST 36 increased G cell in point specific way and that effect was not related with surrounding nerve.

Plant Growth Promotion and Antagonistic Activities Against Anthracnose of Burkholderia sp. LPN-2 Strain

  • Kim, WonChan;Seo, SangHyun;Lee, ChangHee;Park, JunHong;Kang, SangJae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51-258
    • /
    • 2016
  • A rhizobacterium LPN-2, which showed strong antifungal activity and auxin producing ability, was isolated from a farmland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South Korea. Based on analysis of the 16S rDNA sequence, strain LPN-2 was identified as a novel strain of Burkholderia and was designated as Burkholderia sp. LPN-2. In vitro experiments showed that the isolated stain LPN-2 significantly produced auxin within 48 hr incubation. In order to check for PGPR function we performed in vivo growth promoting test in different crops, including mung bean, pea and cabbage. Application of Burkholderia sp. LPN-2 showed dramatic growth promoting effect on all the tested plants. We also confirmed siderophore and cellulase productions by Burkholderia sp. LPN-2 using CAS blue agar and CMC plate test. Further treatment with LPN-2 and the crude culture broth was effective in suppressing anthracnose in vitro test and also reduced incidence and severity of anthracnose in apple and pepper. Taken together, we conclude that Burkholderia sp. LPN-2 might be used as organic fertilizer for effective crop production in organic farming.

Lycorine의 사람 구강 암 세포주에서 survivin 단백질 분해 증진으로 세포자멸사 유도 (Lycorine induces apoptosis by enhancing protein degradation of survivin in human oral cancer cell lines)

  • 정요셉;조남표;장분실
    •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7
    • /
    • 2017
  • Lycorine, a natural alkaloid extracted from the Amaryllidaceae plant family, was reported to various phys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effects including anti-cancer activity. Nevertheless, there is no report of the anticancer effect of lycorine in oral cancer cells. The effects of lycorine on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were examined through trypan blue exclusion assay, 4'-6-diamidino-2-phenylindole (DAPI) stain, Live/Dead assay, Western blot analysis and RT-PCR. Lycorine suppressed cell viability and induced apoptosis in MC3 and HSC-3 cell lines. Lycorine decreased survivin protein but did not affect its mRNA. It regulated survivin through accelerating protein degradation in a time-dependent manner although neither proteasome nor lysosome was not associated with lycorine-mediated protein degradation. Collectively, our results suggest that lycorine may be a potential therapeutic anti-cancer drug candidate for the treatment of human oral cancer.

재조합 표피성장인자가 방사선이 조사된 섬유아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combinant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on the Proliferationand Radiation Survival of Human Fibroblast Cell Lines in Vitro)

  • 김현숙;강기문;이상욱;나재범;채규영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4권3호
    • /
    • pp.179-184
    • /
    • 2006
  • 목 적: 재조합 표피성장인자는(rhEGF) 다양한 표피와 상피 세포의 증식을 자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이 조사된 섬유아세포의 증식에 rhEGF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인간에서 기원한 섬유아세포를 초대배양(primary culture)한 세포를 이용하였다. 대웅제약에서 유전자 재조합하여 대장균에서 발현하여 생산한 rhEGF를 제공 받아 사용하였다. 방사선 조사는 4 MV 선형가속기(CLINAC 600C, Varian, Palo Alto, CA, USA)를 이용하여 분당 2 Gy 내외의 선량률로 균일하게 조사하였다. 조사된 방사선량은 8 Gy이었다. 생존세포수는 trypan blue 염색법을 이용하였고, rhEGF에 의한 세포주기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유세포 분석법을 시행하였다. 결 과: 4 Gy의 방사선을 조사한 후 7일째까지 생존 세포수를 trypan blue 염색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모든 rhEGF 농도(1.0 nM, 10 nM, 100 nM, 1,000 nM )에서 방사선 조사 단독군보다 생존세포 수가 많았다. 방사선을 조사하지 않은 섬유아세포에서 rhEGF를 10 nM처리한 후 FACS scan을 시행한 결과 세포주기 중에서 S기 비율이 증가하였다. 결 론: 방사선이 조사된 섬유아세포에서 rhEGF를 투여하면 rhEGF를 투여하지 않은 섬유아세포에 비해서 세포증식이 가속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토끼 관절 연골세포의 증식과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합성에 대한 808-nm 다이오드 레이저의 효능 평가 (In Vitro Effect of 808-nm Diode Laser on Proliferation and Glycosaminoglycan Synthesis of Rabbit Articular Chondrocytes)

  • ;황야원;최석화;김근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95-30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알지네이트 비드에서 배양한 토끼의 관절 연골세포의 증식과 황산화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합성에 대한 808-nm InGaAs 다이오드 레이저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전의 연구들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세포에서 레이저의 양성 또는 음성 자극 효과가 알려졌다. 알지네이트 비드 내의 토끼 연골세포에 1.0W 세기의 808-nm InGaAs 다이오드 레이저가 $31J/cm^2$ (1 그룹), $62J/cm^2$ (2 그룹)의 에너지 밀도로 상응하는 그룹에 10초, 20초 동안 24, 48, 72, 96시간째에 각각 조사되었다. 대조군은 처리하지 않았다. 1차 레이저 조사 1주, 2주 후에 MTT 분석이 실시되었다. 황산화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합성은 DMMB 분석을 통해 평가되었다. 조직학적 평가를 위한 세포의 분포와 세포 주변의 황산화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침착은 알시안 블루 염색을 통해 평가되었다. MTT 분석을 통해 알지네이트 비드에서 세포 증식에는 양성 자극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DMMB 분석을 통해서 2 그룹의 2주차 연골세포에서 황산화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생성이 특이적으로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알시안 블루 염색상에서도 2 그룹 연골세포에서 양성 염색상이 특이적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1.0 W 세기의 808-nm InGaAs 다이오드 레이저가 연골세포 증식에 영향이 없으나 알지네이트 비드에서 세포 분비 활동을 자극하여 황산화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침착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은대구, Anoplopoma fimbria 소화기관의 형태 및 조직학적 특징 (Morphology and Histology of the Digestive Organ in the Sablefish, Anoplopoma fimbria (Teleostei: Anoplopomatidae))

  • 김수지;강주찬;이정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9-27
    • /
    • 2016
  • 은대구의 소화관 상대길이 비는 1.52 (n=12)이며, 소화관은 위의 후방부에 5~6개의 유문수를 가진다. 점막주름의 형태는 식도와 위에서는 미분지형이지만 장에서는 분지형이다. 횡단면에서 소화관은 조직학적으로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및 장막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식도의 점막상피층은 단층이며, 원주섬모상피세포들과 점액세포들로 구성된다. 위 점막층의 위선은 관상선으로 주세포, 벽세포 및 뮤신분비세포들로 구성된다. 뮤신분비세포는 원주형으로 AB-PAS (pH 2.5) 반응에서 분홍색과 푸른색을 나타내는 분비과립을 가진다. 장의 점막상피층은 단층이며, 원주섬모상피세포들과 배상세포들로 구성된다. 점막하층은 소성결합조직층으로 주로 교원섬유들로 구성되며, 식도에서 잘 발달되어 있다. 소화관의 근육층은 종주근층과 환상근층으로 구분되며, 위에서 잘 발달되어 있다. 간은 다수의 소엽구조와 담관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H-E 염색에서 간세포의 세포질은 호산성이며, 핵과 인은 호염기성을 보였다. 췌장조직은 소화관 주변의 지방조직에 산재하며, 다수의 외분비세포들로 구성된 포상선이었다. H-E 염색에서 외분비선세포의 세포질은 호염기성을 나타내며, 다수의 호산성 전효소 과립들을 함유한다.

대복, Gomphina veneriformis의 생존 및 저질 잠입성에 미치는 TBTCl의 독성 (Tributyltin chloride (TBTCl) toxicity on the survival rate and burrowing activity of the equilateral venus, Gomphina veneriformis (Bivalvia: Veneridae))

  • 박정준;진영국;이정식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5-56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biological responses of bivalves exposed to organotin compound.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tribultyltin chloride (TBTCl) induce reduction of survival rate andburrowing activity, and histopathological feature in the foot structure of the equilateral venus, Gomphinaveneriformis. The experimental period was 36 weeks. The experimental groups consisted of a control and 3TBTCl exposure groups (0.4, 0.6, 0.8 ym TBTCl L'). The survival rate and burrowing activity were record-ed daily. For histological analysis, foot tissues were fixed in Bouin' s fluid and then stained H-E stain, AB-PAS (PH 2.5) reaction and Masson's trichrome stain after having serially sectioned the tissue by paraffinmethod at thickness of 4-6 ym. The survival rat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exposure groups for 20 weeks, but in 0.8 Um TBTCl L', it was on the decreased ever since the exposure. Theburrowing activ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exposure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up to 12weeks, but in 0.6 and 0.8 ym TBTCl L', it measured the lowest level after 20 weeks. The foot is composedof the epidermal layer, connective tissue, and muscular layer. The epidermal layer is composed of simplecolumnar, cuboidal epithelia and mucous cells. The cilia were well developed on the apical surface ofepithelium, Circular, longitudinal and transverse muscle bundle were well developed in the muscular layer.The majority mucous cells showed blue color (542c) when it subjected to AB-PAS (PH 2.5) reaction. Nohistopathological alterations in the foot were observed up to 12 weeks. After 20 weeks of exposure to 0.8 (anTBTCl L'', the foot samples of exposed G. veneriformis showed disappearance of cilia and striated borderpartially and extension of hemolymph sinus. The mucous cell increased in the marginal of foot. At 28-weekof exposure to 0.4 ym TBTCl L', it observed weekly acid (564c), neutral (264c) and mixed mucous cell. At36-week of exposure to 0.6 ym TBTCl L', it showed fragmentation of the muscle and collagen fiber bundle,and also diappearance of cilia on epithelia and edema of epithelium in 0.8 ym TBTCl L''.

경락의 관점에서 본 근막 분리조직의 조직학적 연구 (Histological Examination of Tissue Isolated from Fascia with a View of Meridian System)

  • 김동희;등영건;장병수;정한석;김단;권기록;이규재
    • Applied Microscopy
    • /
    • 제36권3호
    • /
    • pp.183-194
    • /
    • 2006
  • 동양의학 이론의 주요 관심사인 경락의 연구에 있어 생체 내 신호전달 체계와 해부학적 실체에 대한 단서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1960년대 이루어졌던 봉한학설의 이론과 문헌을 근거로 하여 토끼의 복막에 존재하는 봉한관으로 생각되는 반투명의 회백색의 탄성이 있는 섬유상 구조물을 분리하여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였다. 각 조직 샘플은 봉한관 확인을 위하여 hematoxylin eosin과 Masson's trichrome 염색, 교원섬유는 Van Gieson's 염색, 신경은 Kluver Barrera's luxol fast blul 염색을 하여 비교함으로써 구성성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광학현미경상에서 관찰된 조직들은 교원섬유와 신경으로 구성된 집합체였으며 다발의 형태를 이루고 있었고, 여러 개의 myoid spindle형태의 세포들이 종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이러한 세포들은 신경의 슈반세포이며 봉한관의 myoid형태의 세포들과 같은 소견이었다. 같은 부위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잘 배열된 교원섬유와 신경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신경다발 사이로 교원섬유가 둘러싸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복막에 존재하는 봉한관은 교원섬유와 어우러진 신경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신경과 어우러져 존재하는 교원섬유의 절연성과, 침의 치료에 있어 교원섬유가 주위의 신경과의 신호전달 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교원섬유와 신경 그리고 혈관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교원섬유의 새로운 역할 규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